본문내용
용기도 무모함도 생기는 걸로 보아 에로스적 ? 뵉竪?가지고 있는 것 같은 반면 어떤 유형의 대상에게 잘 끌리는지 알지 못하는 걸로 보아 에로스가 아니라, 매니아인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나는 질투심과 소유욕을 보이긴 하나 상대방에게 그것을 표현하지 않으며 혼자 삭힐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 더 많은 애정과 헌신을 바라나, 요구하지는 않는다.
이처럼 사람에게는 퍼센트가 중요한 것이지 딱 어떤 사랑을 하는 유형의 인간은 없는 것 같다. 내 생각에 에로스식 사랑을 할 수만 있다면 그보다 더 이상적인 것은 없겠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때문에 아주 이성적으로 머리로만 생각했을 때는 스트로게와 프래그마가 현명한 선택이 아닐지.
내가 가장 싫어하는 사랑의 유형을 가진 사람은 루두스이다..
된통(?) 당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루두스의 특징 "성은 헌신을 표현하기 위함이 아니라 재미를 위함이며, 사랑이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도 아니다." 라는 것이다. 허나 여자들이 가장 끌리는 유형이 루두스라고 생각이 드는 것은 철이 들지 않았기 때문일까?
매니아와 루두스는 어울리지 않는다?? 이 책을 미리 읽었더라면 그런 실수는 하지 않았을까???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 그런 사랑을 원하지는 않지만 어쨌든 내가 매니아적 유형에 가장 가깝다는 것도 알았다. 그리고 내가 좋아했던 사람이 외모적으로 그리 호감있게 생기진 않았지만 많은 여자들에게 인기가 많았었다. 그 사람이 루두스적 유형이라는 것 또한 이 책을 읽고 안 것이고, 만일 내가 이 책을 읽은 후에 그 사람을 만났더라면 매니아와 루두스는 어울리지 않는 사랑유형이니까 그 사람에게 빠지는 일은 없었을까????
하지만 난 이 책을 먼저 읽었더라도 내가 그 사람에게 빠지?않았다고 장담하지 못한다.
이론은 이론일 뿐, 사람의 감정은 즉, 사랑은 사랑이니까. 어쩔 수 없는 거니까. 조절할 수 없는 거니까.
내가 한번 쯤 아니, 해보고 싶은 사랑은 스트로게적 유형이다. 남녀공학 대학의 캠퍼스 커플처럼 볼거 못 볼거 다 보여주면서 사랑에 빠지는 것을 보면 말이다. 나는 이런 사랑으로 시작해서 결혼까지 골인했으면 좋겠다.
사랑의 심리학이란 책을 읽으면서 정말 신기한 것은 글을 읽으면서 나름대로 생각했던 나의 논리가 책을 읽어가면서 작자의 생각으로 나온다는 것이다. 이처럼 사랑에 대한 유형은 다를 수도 있지만 모든 이들의 기본적인 생각들은 같은 것이라는 걸 새삼 깨달았다.
이처럼 사람에게는 퍼센트가 중요한 것이지 딱 어떤 사랑을 하는 유형의 인간은 없는 것 같다. 내 생각에 에로스식 사랑을 할 수만 있다면 그보다 더 이상적인 것은 없겠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때문에 아주 이성적으로 머리로만 생각했을 때는 스트로게와 프래그마가 현명한 선택이 아닐지.
내가 가장 싫어하는 사랑의 유형을 가진 사람은 루두스이다..
된통(?) 당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루두스의 특징 "성은 헌신을 표현하기 위함이 아니라 재미를 위함이며, 사랑이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도 아니다." 라는 것이다. 허나 여자들이 가장 끌리는 유형이 루두스라고 생각이 드는 것은 철이 들지 않았기 때문일까?
매니아와 루두스는 어울리지 않는다?? 이 책을 미리 읽었더라면 그런 실수는 하지 않았을까???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 그런 사랑을 원하지는 않지만 어쨌든 내가 매니아적 유형에 가장 가깝다는 것도 알았다. 그리고 내가 좋아했던 사람이 외모적으로 그리 호감있게 생기진 않았지만 많은 여자들에게 인기가 많았었다. 그 사람이 루두스적 유형이라는 것 또한 이 책을 읽고 안 것이고, 만일 내가 이 책을 읽은 후에 그 사람을 만났더라면 매니아와 루두스는 어울리지 않는 사랑유형이니까 그 사람에게 빠지는 일은 없었을까????
하지만 난 이 책을 먼저 읽었더라도 내가 그 사람에게 빠지?않았다고 장담하지 못한다.
이론은 이론일 뿐, 사람의 감정은 즉, 사랑은 사랑이니까. 어쩔 수 없는 거니까. 조절할 수 없는 거니까.
내가 한번 쯤 아니, 해보고 싶은 사랑은 스트로게적 유형이다. 남녀공학 대학의 캠퍼스 커플처럼 볼거 못 볼거 다 보여주면서 사랑에 빠지는 것을 보면 말이다. 나는 이런 사랑으로 시작해서 결혼까지 골인했으면 좋겠다.
사랑의 심리학이란 책을 읽으면서 정말 신기한 것은 글을 읽으면서 나름대로 생각했던 나의 논리가 책을 읽어가면서 작자의 생각으로 나온다는 것이다. 이처럼 사랑에 대한 유형은 다를 수도 있지만 모든 이들의 기본적인 생각들은 같은 것이라는 걸 새삼 깨달았다.
추천자료
드레퓌스 사건과 당시 에밀졸라를 대표하는 지식인들의 행동방식을 분석하라
양귀자『모순』-모순적인 삶을 바라보는 작가의 세상읽기 방식-
‘인생수업’ 을 통해 죽음과 삶의 의미를 고민해보고, 저자가 이야기하는 진정한 삶의 방식을 ...
수학과 문제해결능력의 필요성과 강조이유, 수학과 문제해결능력의 수업방식, 수학과 문제해...
홀리스틱교육의 정의, 홀리스틱교육의 배경, 홀리스틱교육의 특징, 홀리스틱교육의 기본방침,...
사회복지 관련조직 1개소를 선정하여 조직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마케팅과 홍보를 어떤 방...
[칼 마르크스]칼 마르크스(칼 맑스) 생산의 방식, 칼 마르크스(칼 맑스) 생산의 자본축적, 칼...
동성연애(동성애)의 의미, 묘사방식, 동성연애(동성애)의 커밍아웃(아웃팅), 호모(남성 동성...
감정 코치 프로그램의 특성 및 목적과 운영방식에 대해 조사 하시오
영상기초 - 영화 ‘가족의 탄생’을 보여주기 방식으로 분석
[★★평가우수자료★★][작품作品 속 성모마리아] 성모마리아와 그 작품 속 표현방식, 르네상스 ...
우리나라 모금기관의 현황 및 모금 방법, 배분 방식에 대해 조사.
미디어에 보도된 수많은 심리학 관련 연구는 그 해석 방식에 따라 연구결과의 의미가 다르게 ...
[삶의 보람] 삶의 보람의 개념, 보람 있는 삶, 삶의 방식 및 태도와 삶의 유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