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속 인물들의 사랑 유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속 인물들의 사랑 유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용기도 무모함도 생기는 걸로 보아 에로스적 ? 뵉竪?가지고 있는 것 같은 반면 어떤 유형의 대상에게 잘 끌리는지 알지 못하는 걸로 보아 에로스가 아니라, 매니아인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나는 질투심과 소유욕을 보이긴 하나 상대방에게 그것을 표현하지 않으며 혼자 삭힐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 더 많은 애정과 헌신을 바라나, 요구하지는 않는다.
이처럼 사람에게는 퍼센트가 중요한 것이지 딱 어떤 사랑을 하는 유형의 인간은 없는 것 같다. 내 생각에 에로스식 사랑을 할 수만 있다면 그보다 더 이상적인 것은 없겠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때문에 아주 이성적으로 머리로만 생각했을 때는 스트로게와 프래그마가 현명한 선택이 아닐지.
내가 가장 싫어하는 사랑의 유형을 가진 사람은 루두스이다..
된통(?) 당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루두스의 특징 "성은 헌신을 표현하기 위함이 아니라 재미를 위함이며, 사랑이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도 아니다." 라는 것이다. 허나 여자들이 가장 끌리는 유형이 루두스라고 생각이 드는 것은 철이 들지 않았기 때문일까?
매니아와 루두스는 어울리지 않는다?? 이 책을 미리 읽었더라면 그런 실수는 하지 않았을까???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 그런 사랑을 원하지는 않지만 어쨌든 내가 매니아적 유형에 가장 가깝다는 것도 알았다. 그리고 내가 좋아했던 사람이 외모적으로 그리 호감있게 생기진 않았지만 많은 여자들에게 인기가 많았었다. 그 사람이 루두스적 유형이라는 것 또한 이 책을 읽고 안 것이고, 만일 내가 이 책을 읽은 후에 그 사람을 만났더라면 매니아와 루두스는 어울리지 않는 사랑유형이니까 그 사람에게 빠지는 일은 없었을까????
하지만 난 이 책을 먼저 읽었더라도 내가 그 사람에게 빠지?않았다고 장담하지 못한다.
이론은 이론일 뿐, 사람의 감정은 즉, 사랑은 사랑이니까. 어쩔 수 없는 거니까. 조절할 수 없는 거니까.
내가 한번 쯤 아니, 해보고 싶은 사랑은 스트로게적 유형이다. 남녀공학 대학의 캠퍼스 커플처럼 볼거 못 볼거 다 보여주면서 사랑에 빠지는 것을 보면 말이다. 나는 이런 사랑으로 시작해서 결혼까지 골인했으면 좋겠다.
사랑의 심리학이란 책을 읽으면서 정말 신기한 것은 글을 읽으면서 나름대로 생각했던 나의 논리가 책을 읽어가면서 작자의 생각으로 나온다는 것이다. 이처럼 사랑에 대한 유형은 다를 수도 있지만 모든 이들의 기본적인 생각들은 같은 것이라는 걸 새삼 깨달았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27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4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