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 CBR 시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내 CBR 시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1 실험목적 ............................................. 1
1.2 실험도구 ............................................. 1~2
1.3 실험 시 주의 사항 .............................. 2

Ⅱ. 본론
2.1 실험방법 ............................................. 3
2.2 Data sheet ......................................... 3~4
2.3 계산과정 ............................................. 4~5

Ⅲ. 결론
3.1 실험결과 값 ....................................... 5~6
3.2 고찰 ...................................................7~10
3.3 참고문헌 ............................................ 11

본문내용

. 그래서 힘이 빠져 일정한 속도와 끝까지 끌어올리지 못한다던가 하는 부분 그리고, 다섯 층의 높이를 같게 하지 못해 오차가 발생하였다.
1. 개요 및 결과 값 분석
흙의 CBR 시험은 캘리포니아 지지력비라고 하며 현장에서 팽창성, 포화로 인한 강도 손실을 추정할 수 있으므로 포장 두께의 결정 및 지반의 지지력을 판정하는데 이용되며, 비행장, 도로, 가용성 포장의 설계에 이용된다.
앞의 다짐시험[15조]에서 얻은 최적함수비[15.3%]를 이용해 3층 다짐 10회, 25회, 55회의 공시체를 만들었고 다짐에 따른 팽창률을 알아보기 위해 수침을 시켜 시간에 따른 해당시간에 따른 다이얼게이지의 변화값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오차요인으로는 최적함수비를 맞추기 위해 시료와 물을 배합하고 난 뒤 시간의 지남에 따라 수분이 증발해 나중 55회 다짐 때는 함수비가 약간 줄어들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다이얼게이지의 변화를 측정할 때 사람의 눈을 이용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오차가 발생했을 것이고 3층 다짐에 있어서 골고루 다짐을 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경우가 있다. 공시체를 수침시킴으로써 공시체가 물을 흡수하면서 부피가 팽창하는데 그 팽창하는 높이를 다이얼게이지로 측정하는 것이다. 결과 다짐횟수가 많을수록 높이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다짐횟수가 많을수록 물을 더 많이 흡수한다는 말이 된다.
다음으로 실내 CBR시험에서는 수침시켜 놓았던 3개의 공시체를 꺼내어 공시체의 해당깊이에 따른 하중강도를 측정했다. CBR은 지름 5cm의 피스톤을 어떤 깊이까지 관입시키는데 소요되는 시험 하중 강도를 표준 하중 강도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이 시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요인으로는 수침시킨 공시체를 물에서 꺼내어 공시체 공극 속의 물을 완전히 제거 하지 못해 발생되는 오차를 생각할 수 있고 하중게이지측정에서의 오차 그리고 하중 재하장치에 대한 작동조작의 미숙으로 인한 오차들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2. 분석 및 느낀 점
우리가 얻어 낸 팽창률과 지지력 그리고 CBR의 결과값으로 볼 때 다짐의 횟수에 비례하여 다짐이 많을 수록 결과값들이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입시험 결과 곡선의 형태가 10회의 경우 거의 평편하게 나왔고 25회 또한 거의 평편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55회의 경우 평편하지 못했는데 그것은 공시체의 표면이 평탄하지 못한 것과 관련이 있다. 계산결과 최대건조단위중량은 95%인 1.41이 나왔고 CBR값은0.135%가 나왔다
우리가 이번에 한 시험은 CBR시험 중 실내 CBR시험이었는데 실내 CBR시험은 수정CBR이 현장에서 기대할 수 있는 노상의 강도를 근접 추정하는 것이 지만 실제 현장에서 시행된 것보다는 실제와 맞지 않는다. 그리고 현장 CBR은 그 장소, 그 시점에서의 CBR은 비교적 정확하게 알 수 있으나 기상변화, 경년변화에 따른 상태의 변화는 측정할 수 없다. 그러나 교란되지 않은 공시체의 채취가 어려운 막자갈 등은 현장시험이 합리적이다.
CBR시험은 설계 곡선을 이용한 포장 두께의 설계와 노상, 철도노선, 성토 등의 다짐도 관리 그리고 성토 시공중의 중장비의 통과 가능성 판정 등에 이용된다.
이상으로 이번학기의 토질실험이 마무리가 되었는데 이제 지금까지 했던 실험을 종합해 조별 발표만을 남겨두었다. 시간이 오래 걸리고 힘든 실험도 있었지만 이번 기회로 흙의 성질과 흙에 대해 많은 것을 익힐 수 있었던 것 같다.
3.3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iN (www.naver.com)
토질시험의 방법과 해설 (상) , [안상로, 류신우] “도서출판 과학기술”
토질실험, [박종헌 외] “동학출판사”

키워드

CBR TEST,   흙의 CBR,   cbr,   cbrtest,   cbr test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5.31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57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