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보장론) 정치(군주제,민주주의,권위주의), 정부(서구정당,민족주의), 테러리즘 보고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보장론) 정치(군주제,민주주의,권위주의), 정부(서구정당,민족주의), 테러리즘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2

II. 정치
1. 정치적 지배의 형태......................................2
1) 군주제.........................................................2
2) 민주주의......................................................2
3) 권위주의......................................................3
2. 민주주의의 전 세계적 확산..................................4
1) 공산주의의 붕괴...........................................4
2) 민주주의가 보편화되는 이유..........................5
3) 민주주의의 패러독스....................................6
3. 정치변동과 사회변동.................................7
1) 세계화와 사회운동.......................................7
2) 기술과 사회운동..........................................9

III. 정부
1. 서구에서의 정당과 선거.................................11
1) 정당체제..................................................11
2) 영국에서의 정당과 투표.............................12
3) 대처주의와 그 이후...................................15
4) 신노동당..................................................16
5) 제3의 길 정치..........................................18
2. 민족주의 운동........................................18
1) 민족주의 이론과 민족 국가........................18
2) 국가가 없는 민족.....................................23
3) 개발도상국에서의 민족과 민족주의.............24

IV. 테러리즘
1. 테러와 테러리즘의 기원.................................26
2. 구형의 테러리즘과 신형의 테러리즘........................28
3. 테러리즘과 전쟁........................................29

V.결론...................................................32

VI.참고문헌 ...............................................33

본문내용

할 수도 있다. 국제 사회에서 평화를 확립하고 인권을 지켜나가기 위해 어떤 행동에 나서야 한다면, 일시적인 군사행동 차원을 넘어서 테러리즘에 대한 항구적 경찰 활동과 같은 국제 행동에 관한 국제적 합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일정한 규범을 공유한다는 전제 조건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미국이 주도하는 테러와의 전쟁은 규범 공유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안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일방주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미국은 테러와의 전쟁에서 유엔의 승인을 절차적인 요소로만 인식했고, 그것마저도 적극적으로 얻어내려는 노력을 보이지 않았다. 미국은 유엔으로 상징되는 국제사회의 승인이 오히려 미국의 향후 행동에 족쇄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군사력으로 테러리즘에 대처하는 것이 생각만큼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협상을 통해 테러 조직을 정치권으로 끌어들이거나 경찰 활동으로 테러 조직을 분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왜냐하면 앞전에 나온 세스 존스와 마틴 리비키라는 사람은 1968년부터 2006년 사이에 존재했던 648개 테러 조직을 분석했는데 이중 244개 조직은 여전히 활동 중이다. 136개 조직은 각각 분열되었지만 그 조직원들은 여전히 테러 활동을 벌이고 있다. 나머지 268개 조직이 어떻게 소멸되었는지를 보면, 114개 조직(43%)은 비폭력 전술을 채택하고 정치에 참여함으로써 해산되었고, 107개 조직(40%)은 핵심 조직원이 경찰 등 지역 법집행기관에 의해 체포되거나 살해되어 사라졌으며, 27개 조직(10%)은 승리를 거두고 해체되었다. 단지 20개 조직(7%)만 군사력에 의해 소멸되었다. 이에 대해 존스와 리비키는 “정치참여 등을 통한 비폭력으로의 전환이 불가능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찰 활동이 테러 조직을 분쇄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말했다. 경찰이나 정보기관은 테러 조직에 침투해 조직을 무너뜨리는 것에 대해 더 잘 훈련받고 더 많은 정보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아울러 경찰이나 정보기관은 군대와 달리 해당 지역에 영구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지역에 위협을 주는 환경을 더 잘 이해하고 인적 정보도 더 많다는 것이다. 군사력은 테러 조직이 폭동을 일으킬 만큼 규모가 크며 잘 무장되고 잘 조직되어 있을 경우에 가장 효과적인 경향이 있다. 반면에 대규모 군사력 동원이 민간인의 희생을 초래할 경우 주민들이 정부에 등을 돌리게 될 위험도 크다고 말했다.
Ⅴ. 결론
전통적 사회로부터 현대적 의미의 민족국가를 건설하고, 민족주의를 운용하여 건국이후 발생되는 복잡한 정합의 어려움과 내ㆍ외적인 문제들을 어떻게 극복하는가는 국가발전의 성패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중요한 사안들이다. 이처럼 민족주의는 국가발전에 크게 영향을 주는 변수로 작용된다. 또 세계화와 탈(脫)민족주의로 대변되는 지역통합과 세계화의 움직임 속에서도 민족주의는 여전히 앙금처럼 남아있는 힘든 숙제임에 분명하다.
21C인 지금 민주주의의 발전으로 이전 세기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민족의 다양성, 민족의 고유성을 인정하면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전쟁과 테러의 위협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Ⅵ.참고문헌
-앤서니기든스,『현대 사회학』,(을유문화사,2003)
-참여사회연구소,『참여 민주주의와 한국 사회』,(창작과비평사,1997), 네이버 백과사전
-자료출처: Freedom House (1974, 1984, 1994)
-민주주의의 세계화: 제3세계의 민주혁명|
- 현대 사회학, 앤서니 그든스 지음 을유문화사
- 네이버 백과사전 참고 및 블로그
- 블로그 라기세상 http://blog.naver.com/choinal?Redirect=Log&logNo=40013718156
- http://blog.naver.com/joonsiknb
- daum 백과사전 참고 및 블로그
- 현대 사회학 (5th Edition): 앤서니 기든스/을유문화사
- 사회학의 이해: 윤근섭외 공저/삼우사
- 사회학 (전면개정판): 한국 산업사회학회 엮음/한울아카데미
- 네트워크전쟁: 존 아퀼라,데이비드 론펠트/한울
- http://blog.jinbo.net/rudnf/?pid=248
- http://cafe.naver.com/crmonitor.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11
-http://ask.nate.com/qna/view.html?n=6050562
-21세기 웅진학습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위키백과
-최상용.1977. “한국민족주의와 이데올로기.” 양호민 외. 『한국민족주의의 이념』아세아정책연구원
-최갑수.1999. “프랑스 혁명과 국민의 탄생.” 한국 서양사학회 편.『서양에서의 민족과 민족주의』. 까치
-임지현.1999.『민족주의는 반역이다』. 소나무.
-Ben-Israel, Hedva. 1992. "Nationalism in historical perspective."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45-2. winter.
-Keane, John. 1994. "Nations, nationalism and the citizens in Euope." International Social Science Journal 40.
-Motyl, Alexander J. 1992. "The Modernity of nationalism : nations, states and nation-states in the contemporary world"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45-2. winter.
-임현진공유식김병국. 1994. “한국에서의 민족 형성과 국가 건설 : <결손국가론> 서설.” 준봉 구범 모 교수 회갑기념논총 편집위원회 편.『전환기 한국정치학의 새 지평』. 나남출판.
- 鄭仁均(1985). “개발도상국의 정치발전과 민군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 행정대학원」- 앤서니 기든스,『현대 사회학』, 을유문화사
- 송병록, 종족(종교)영토분쟁과 이의 극복방안
- Encyber두산백과사전 참고
- 테러리즘과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인터넷, 기사 등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0.05.31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57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