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역사 이전시대의 관광
1) 구석기 시대의 관광
2) 신석기 시대의 관광
3) 고조선 시대의 관광
4) 삼한시대의 관광
2. 삼국시대 ~ 조선시대의 관광
1) 삼국시대의 관광
2) 통일신라시대의 관광
3) 고려시대의 관광
4) 조선시대의 관광
3. 일제시대 및 해방 후의 관광
1) 개항 이후 ~ 일제시대의 관광
2) 해방 이후 ~ 1959년의 관광
3) 1960년대의 관광
4) 1970년대의 관광
5) 1980년대의 관광
6) 1990년대의 관광
1) 구석기 시대의 관광
2) 신석기 시대의 관광
3) 고조선 시대의 관광
4) 삼한시대의 관광
2. 삼국시대 ~ 조선시대의 관광
1) 삼국시대의 관광
2) 통일신라시대의 관광
3) 고려시대의 관광
4) 조선시대의 관광
3. 일제시대 및 해방 후의 관광
1) 개항 이후 ~ 일제시대의 관광
2) 해방 이후 ~ 1959년의 관광
3) 1960년대의 관광
4) 1970년대의 관광
5) 1980년대의 관광
6) 1990년대의 관광
본문내용
정
1978년 - 한국역사상 처음으로 외래객 100만 명을 넘어섬.
1979년 - PATA총회의 개최
5) 1980년대의 관광
이전까지와는 달리 민간주도의 시장경제체제로 전환되기 시작했던 80년대는 관광사업 면에서도 많은 변화가 이루어 졌다. 정부지도에 의해 주도 되어오던 관광산업이 민간 주도 에 의한 관광산업의 성장기를 맞이한 것이다. 그리고 88서울 올림픽과 86 아시안 게임의 성공적인 개최로 세계만방에 한국 관광의 이름을 빛냈다. 그러나 해외문화여행의 부재로 여러 가지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으며 사치성 향락 업종의 급증으로 인하여 소비적 여가활동의 추구가 크게 늘어 소비형태가 신분과시 수단으로 이용되는 등 천민자본주의를 부추겼다는 평도 듣게 되었다. 80년대의 관광 발달사는 다음과 같다.
1981년 - 해외 여행의 부분적인 허용.
1983년 - 50세 이상의 관광목적의 해외 여행의 자유화
1986년 - 아시안 게임의 개최
1988년 - 제24회 올림픽의 개최
1989년 - 국민 해외 여행의 전면 자유화
6) 1990년대의 관광
90년대는 독일통일, 구 소련의 붕괴 등 냉전종식과 국제화, 세계화의 기류에 편승하여 새로운 개념의 관광의 인식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정부도 국제화, 지방화, 자율화 추세에 주도적으로 대응하여 갔다. 이 시기의 우리 나라에서는 93년 대전 엑스포의 개최와 94년 한국 방문의 해 지정 등으로써 해외 여행객 유치와 세계10대 관광국으로의 도약을 준비 하였다. 90년대의 주요 관광 발달사는 다음과 같다.
1992년 - 계속되는 여행수지의 악화 개선대책으로 비자발급서류의 간소화하여 일본 여 행객 유치 증대
1993년 - 93대전 엑스포의 개최, 신경제 5개년 계획에 관광진흥 대책이 포함됨.
1994년 - 한국 방문의 해로 지정
1998년 - 경주 문화엑스포의 개최
1999년 - 99속초 세계 관광 엑스포의 개최
2001년 - 한국방문의 해
2002년 - 한-일 월드컵 유치
Ⅲ. 결론
세계는 변화하고 따라서 우리 사회의 모습도 많이 달라지고 있다. 국제관광의 태동의 시기를 지나 관광경영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우리는 급격히 변화하는 관광환경 여건에 적응하고 특히 21세기 정보화시대에 대비하여 서비스 고도화, 고품질의 관광 상품개발, 분야별 전문인 육성 및 관련정보축적 등의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고 노력하는 것이 새로운 관광시대를 맞이하는 현명한 대처 방안이라 할 수 있겠다.
1978년 - 한국역사상 처음으로 외래객 100만 명을 넘어섬.
1979년 - PATA총회의 개최
5) 1980년대의 관광
이전까지와는 달리 민간주도의 시장경제체제로 전환되기 시작했던 80년대는 관광사업 면에서도 많은 변화가 이루어 졌다. 정부지도에 의해 주도 되어오던 관광산업이 민간 주도 에 의한 관광산업의 성장기를 맞이한 것이다. 그리고 88서울 올림픽과 86 아시안 게임의 성공적인 개최로 세계만방에 한국 관광의 이름을 빛냈다. 그러나 해외문화여행의 부재로 여러 가지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으며 사치성 향락 업종의 급증으로 인하여 소비적 여가활동의 추구가 크게 늘어 소비형태가 신분과시 수단으로 이용되는 등 천민자본주의를 부추겼다는 평도 듣게 되었다. 80년대의 관광 발달사는 다음과 같다.
1981년 - 해외 여행의 부분적인 허용.
1983년 - 50세 이상의 관광목적의 해외 여행의 자유화
1986년 - 아시안 게임의 개최
1988년 - 제24회 올림픽의 개최
1989년 - 국민 해외 여행의 전면 자유화
6) 1990년대의 관광
90년대는 독일통일, 구 소련의 붕괴 등 냉전종식과 국제화, 세계화의 기류에 편승하여 새로운 개념의 관광의 인식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정부도 국제화, 지방화, 자율화 추세에 주도적으로 대응하여 갔다. 이 시기의 우리 나라에서는 93년 대전 엑스포의 개최와 94년 한국 방문의 해 지정 등으로써 해외 여행객 유치와 세계10대 관광국으로의 도약을 준비 하였다. 90년대의 주요 관광 발달사는 다음과 같다.
1992년 - 계속되는 여행수지의 악화 개선대책으로 비자발급서류의 간소화하여 일본 여 행객 유치 증대
1993년 - 93대전 엑스포의 개최, 신경제 5개년 계획에 관광진흥 대책이 포함됨.
1994년 - 한국 방문의 해로 지정
1998년 - 경주 문화엑스포의 개최
1999년 - 99속초 세계 관광 엑스포의 개최
2001년 - 한국방문의 해
2002년 - 한-일 월드컵 유치
Ⅲ. 결론
세계는 변화하고 따라서 우리 사회의 모습도 많이 달라지고 있다. 국제관광의 태동의 시기를 지나 관광경영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우리는 급격히 변화하는 관광환경 여건에 적응하고 특히 21세기 정보화시대에 대비하여 서비스 고도화, 고품질의 관광 상품개발, 분야별 전문인 육성 및 관련정보축적 등의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고 노력하는 것이 새로운 관광시대를 맞이하는 현명한 대처 방안이라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