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 문헌고찰
1)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증상
5)진단
6)만성폐쇄성폐질환의 종류
7)합병증
8)간호중재
Ⅲ. 간호과정
연구기간 및 방법
Ⅴ.결론
참고문헌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 문헌고찰
1)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증상
5)진단
6)만성폐쇄성폐질환의 종류
7)합병증
8)간호중재
Ⅲ. 간호과정
연구기간 및 방법
Ⅴ.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응급화학검사
*BLOOD GAS ANALYSIS
결과치
참고치
단위
임상적 의의
4/8
PCO2
32.8↓
35-45
mmHg
감소 :탄산과소증,
PO2
66.7↓
75-100
mmHg
감소 :저산소증, 폐기능손상,심박출량↓
Base Exess
-6.1↓
-2 ~ +2
mEq/L
감소 :
호흡부전증. 중탄산염이 정상보다 적음
Bicarbonate
20.9↓
21-28
mEq/L
중탄산염이 정상보다 감소됨
TCO2
21.5↓
22-29
mEq/L
O2 Saturation
88.3↓
94-100
%
감소: 폐기능↓
-약물 투여
1) Privituss 8ml/pack
용량 : 8ml
효능 : 진해제
부작용 : 졸음, 구역, 구갈, 식욕부진 등
2) Asima 400mg
용량 : 400mg
효능 : 기관지 천식, 만성 기관지염의 기도 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등 완화
부작용 : 구역, 구토, 상복부 통증, 불면증, 빈맥, 부정맥
3) Meptin 25mcg
용량 : 25mcg
효능 : Beta-adrenergic bronchodilator.
기도 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등 여러 증상의 완화
*간호진단
간호진단 및 자료
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1
분비물 점성도증가와
관련된
기도개방유지불능
S.-“숨쉬기가 왜 이리 불 편하냐?”
-“목에 뭐 걸린 것 같 다”
O. -호흡수가 14회로 측 정됨.
-끈적한 객담이 배출 됨.
환자가 원활하게 기도개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환자의 호흡상태, 청색증 등을자주 관찰한다.
-ABGA를 측정하여 낮을 경우 좀 더 많은양의 산소를 투여(2L/분6L/ 분)
-거담제를 사용하여 분비물을 배출한다.
-가습기를 사용하여 분비물의 끈끈함을 감소시킨다.
-점액용해제를 사용 하여 분비물 배출 을 용이하게하고, 분무요법으로도 사 용한다.
-체위배액을 실시하 여 끈적한 객담이 배출되도록한다.
-분비물이 잘떨어지 지 않거나 많다면 흡인한다.
-환자가 정상 호흡수를 유지하였다.(14회18회20회)
-분비물의 점성도가 낮아져 환자가 숨쉬기에 불편하지 않다고함.
#2
투약과 관련된
지식부족
S-"약 봉지에서 쓴 맛 나는건 안먹었다“
-“내가 먹는 건 줄 몰랐다”
-“약 먹는걸 깜빡했 네”
O -환자분 서랍에 다 드시지 않은 약봉 지 관찰됨.
- 환자분이 제 시간 에 약을 드시지 않음.
환자분이 제 시간에 알맞게 투약 하실 수 있도록 한다.
-규칙적인 투여시간, 용법,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궁금한 사항이 있을시 언제든지 질문하도록 격려한다.
-투약과 관련된 작용, 부작용을 설명한다.
-환자분이 약을 드시는 직접 보고 확인한다.
-환자분께서 약에 대해 궁금하신 것을 물으신다.
-환자분께서 약을 제시간에 드신다.
-환자분께서 약의 부작용을 알고 약을 다 챙겨드신다.
Ⅴ.결론
경대병원은 실습이 처음이라서 처음에 검사실을 찾아 갈 때는 진짜 헷갈리고 힘들었다.
왜냐하면 다른 병원보다 병원 구조가 복잡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vital을 기계로 재는 것이어서 신기하였다. 아무래도 기계로 하는 것이라서 시간이 적게 걸렸지만 그만큼 오차가 나기도 했다.
그리고 이번에 호흡기 내과에 처음 실습하는 것이라서 사전에 호흡기에 대해 조금 알아보았는데 곧 성인 간호에서 자세히 배울 성인간호 파트였다.
그래서 이번에 실습이 끝나고 수업을 들을 때는 집중도 잘되고 이해도 더 잘 될 것 갗다.
비록 호흡기 질병 중에서 한가지인 COPD에 대해서만 조사하고 공부하였지만 병동에서 검사실도 가고 이 환자가 왜 이 검사를 해야 하는지 이 검사를 하면 무엇을 알 수 있는지도 조금씩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또 수업을 들을 때 아무래도 내가 직접보고 들었기 때문이다.
또 간호사 선생님께서 환자를 처지 하는 것을 보고 왜 이렇게 처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도 듣게 되어 기억에 남았다.
이번에 실습마지막 주는 조금 힘들었다. 대부분의 학교가 시험기간이라서 데이나 이브닝은 혼자 해야 하기 때문이다. 저번에 영대에서 무단으로 빠진 다른 학교 학생 때문에 혼자 해 본적이 있지만 정말 혼자서 하는 건 버거웠다.
실습을 하면 할수록 아는 것도 많아지고 행동도 민첩해지고 환자와의 라포를 어떻게 형성해야 하는지도 알게 되어서 뿌듯했다.
참고문헌
성인 간호학. 전시자, 김강미자 외 2명 지음. 현문사
성인 간호학(호흡기,순환계,혈액계). 최정신 외. 정담
Essential of Clinical NursingⅠ. 강병철. 한우리
기본 간호학. 손정태,장은희 외 2명지음. 현문사
*BLOOD GAS ANALYSIS
결과치
참고치
단위
임상적 의의
4/8
PCO2
32.8↓
35-45
mmHg
감소 :탄산과소증,
PO2
66.7↓
75-100
mmHg
감소 :저산소증, 폐기능손상,심박출량↓
Base Exess
-6.1↓
-2 ~ +2
mEq/L
감소 :
호흡부전증. 중탄산염이 정상보다 적음
Bicarbonate
20.9↓
21-28
mEq/L
중탄산염이 정상보다 감소됨
TCO2
21.5↓
22-29
mEq/L
O2 Saturation
88.3↓
94-100
%
감소: 폐기능↓
-약물 투여
1) Privituss 8ml/pack
용량 : 8ml
효능 : 진해제
부작용 : 졸음, 구역, 구갈, 식욕부진 등
2) Asima 400mg
용량 : 400mg
효능 : 기관지 천식, 만성 기관지염의 기도 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등 완화
부작용 : 구역, 구토, 상복부 통증, 불면증, 빈맥, 부정맥
3) Meptin 25mcg
용량 : 25mcg
효능 : Beta-adrenergic bronchodilator.
기도 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등 여러 증상의 완화
*간호진단
간호진단 및 자료
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1
분비물 점성도증가와
관련된
기도개방유지불능
S.-“숨쉬기가 왜 이리 불 편하냐?”
-“목에 뭐 걸린 것 같 다”
O. -호흡수가 14회로 측 정됨.
-끈적한 객담이 배출 됨.
환자가 원활하게 기도개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환자의 호흡상태, 청색증 등을자주 관찰한다.
-ABGA를 측정하여 낮을 경우 좀 더 많은양의 산소를 투여(2L/분6L/ 분)
-거담제를 사용하여 분비물을 배출한다.
-가습기를 사용하여 분비물의 끈끈함을 감소시킨다.
-점액용해제를 사용 하여 분비물 배출 을 용이하게하고, 분무요법으로도 사 용한다.
-체위배액을 실시하 여 끈적한 객담이 배출되도록한다.
-분비물이 잘떨어지 지 않거나 많다면 흡인한다.
-환자가 정상 호흡수를 유지하였다.(14회18회20회)
-분비물의 점성도가 낮아져 환자가 숨쉬기에 불편하지 않다고함.
#2
투약과 관련된
지식부족
S-"약 봉지에서 쓴 맛 나는건 안먹었다“
-“내가 먹는 건 줄 몰랐다”
-“약 먹는걸 깜빡했 네”
O -환자분 서랍에 다 드시지 않은 약봉 지 관찰됨.
- 환자분이 제 시간 에 약을 드시지 않음.
환자분이 제 시간에 알맞게 투약 하실 수 있도록 한다.
-규칙적인 투여시간, 용법,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궁금한 사항이 있을시 언제든지 질문하도록 격려한다.
-투약과 관련된 작용, 부작용을 설명한다.
-환자분이 약을 드시는 직접 보고 확인한다.
-환자분께서 약에 대해 궁금하신 것을 물으신다.
-환자분께서 약을 제시간에 드신다.
-환자분께서 약의 부작용을 알고 약을 다 챙겨드신다.
Ⅴ.결론
경대병원은 실습이 처음이라서 처음에 검사실을 찾아 갈 때는 진짜 헷갈리고 힘들었다.
왜냐하면 다른 병원보다 병원 구조가 복잡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vital을 기계로 재는 것이어서 신기하였다. 아무래도 기계로 하는 것이라서 시간이 적게 걸렸지만 그만큼 오차가 나기도 했다.
그리고 이번에 호흡기 내과에 처음 실습하는 것이라서 사전에 호흡기에 대해 조금 알아보았는데 곧 성인 간호에서 자세히 배울 성인간호 파트였다.
그래서 이번에 실습이 끝나고 수업을 들을 때는 집중도 잘되고 이해도 더 잘 될 것 갗다.
비록 호흡기 질병 중에서 한가지인 COPD에 대해서만 조사하고 공부하였지만 병동에서 검사실도 가고 이 환자가 왜 이 검사를 해야 하는지 이 검사를 하면 무엇을 알 수 있는지도 조금씩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또 수업을 들을 때 아무래도 내가 직접보고 들었기 때문이다.
또 간호사 선생님께서 환자를 처지 하는 것을 보고 왜 이렇게 처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도 듣게 되어 기억에 남았다.
이번에 실습마지막 주는 조금 힘들었다. 대부분의 학교가 시험기간이라서 데이나 이브닝은 혼자 해야 하기 때문이다. 저번에 영대에서 무단으로 빠진 다른 학교 학생 때문에 혼자 해 본적이 있지만 정말 혼자서 하는 건 버거웠다.
실습을 하면 할수록 아는 것도 많아지고 행동도 민첩해지고 환자와의 라포를 어떻게 형성해야 하는지도 알게 되어서 뿌듯했다.
참고문헌
성인 간호학. 전시자, 김강미자 외 2명 지음. 현문사
성인 간호학(호흡기,순환계,혈액계). 최정신 외. 정담
Essential of Clinical NursingⅠ. 강병철. 한우리
기본 간호학. 손정태,장은희 외 2명지음. 현문사
추천자료
[가정학과]우수논문-식습관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식습관,비만,청소년비만
위암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로 구성됩...
지주막하출혈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2개 ...
직장암 케이스스터디입니다. 간호과정으로 다 이루어져있습니다. 간호진단은 3개해보았습니다.
척추결핵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간호진단은 3개 ...
추간판탈출증 PBL입니다. 사례가 제시되고 문제를 뽑아서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간...
화상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6개 내려보았습...
정신간호케이스-정신분열병(SPR)
간호학 - 건강사정(학령전기 아동)
간호진단 대장염 케이스
[성인간호]GS병동-위암케이스(stomach cancer casestudy)
건강 증진 간호 과정 프로그램
정신간호의 이론적 모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