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통증을 호소
하는지 사정한다.
2. Dressing할 때 대상자의 부모에게
대상자를 잡도록 하였다.
3. 대상자의 부모에게 대상자를 재우
도록 권하였다.
4.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통증 척도 결과 2점 이라고 말한다.
* 간호 진단명 : 화상 후 수분 이동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성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3/23
<객관적 자료>
- 2도 화상을
입었다
- Na 134로 정
상 수치보다
낮고, K는 4.0
으로 정상 수
치보다 높다
- 화상으로 인
해 피부의 윤기,
탄력성 떨어진다
- 대상자의 피
부 탄력성이
정상이다.
- Na,K 수치가
정상 범위 안
에 들어간다.
- 정상적인 수
분 균형을 유
지한다.
<<간호계획>>
1. 탈수 증상 및 징후를 관찰한다.
( 탈수 시 갈증, 허약감, 피부 탈력
성 저하 등)
2. 처방에 따른 IV 수액과 전해질을
공급한다.
3. 구강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4. 매일 Na,K 검사를 위해 수치를 확
인한다.
<<간호수행>>
- 탈수 증상 및 징후를 관찰 하였다.
(피부 윤기는 많은 호전 되었으나,
탄력성이 여전히 조금 떨어진다)
-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구
강 수분 섭취를 격려하였다.
-Adm 3
일째에
Na,K
수치검
사가
정상으
로 나
왔다.
-피부
탄력성
이 점
점 좋
아지고
있다.
* 간호 진단명 : 피부 보호막 손실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3/23
<객관적 자료>
- 체온이 adm
1일째에 37.3
adm 2일째에
37.6도로 높게
측정되었다.
- WBC검사
adm 1일째
16.6이었으며,
adm 2일째에
도 16.6로 정
상 수치보다
높게 나왔다.
- 화상으로 인
한 표피층 상
실로 인한 감
염의 위험성이
있다.
- 대상자는 임
상 검사 수치
가 정상 범위
로 측정된다.
- 체온이 정상
으로 측정된다
- 감염의 위험
성을 알고, 처
치와 교육에
따른다.
<<간호계획>>
1. 8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
다.
2. 감염 지표가 되는 WBC, wound
culture를 한다.
3. 드레싱 시 철저한 무균법을 지킨
다.
4. 매일 피부 간호와 구강간호를 철
저하게 한다.
5. 손 씻기를 강조한다.
6. 미온수 마사지를 권한다.
7. 처방된 항상제를 사용한다.
<<간호수행>>
1. 8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2. 매일 WBC검사를 시행 하였다.
3. 드레싱 시 철저한 무균법을 지켰
으며, 드레싱 전후 손씻기를 철저
히 하였다.
4. 미온수 마사지를 설명하였다.
마사지 후 일정한 간격두고 체온을
측정하였다.
5. 처방된 약을 주었다.
- Adm6
일째 되
는 날
체온이
정상으
로 돌아
왔다.
- WBC
Adm 3일
째 되는
날 10.0
정상으
로 측정
되었다.
- 감염
의 위험
성을 알
고, 손
씻기 등
무균법
을 철저
히 따른
다.
* 간호 진단명 : 화상부위와 관련된 잠재성 피부 통합성 장애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3/23
<객관적 자료>
- 흰 피부나
화상으로 손상
되어 있음
- 피부 탄력성
떨어져 있음
- 건조하고 주
름이 별로 없
음
-화상부위 빨
갛게 부어올라
있음
- 피부가 정상
상태로 돌아온
다.
- 화상부위 피
부 붓기가 가
라 앉는다.
1. 화상 부위 가려움 호소 시 긁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2. 상처부위 멸균 위해서 손을 함부
로 갖다 되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3. 처방된 약을 처방한다.
-피부는 건조하고 주름이 별로 없다. -화상을 입은 부위는 빨갛게 부어오른 상태이다.
* 간호 진단명 : 스트레스 및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의 위험성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3/23
<주관적 자료>
-“무서워서
밥을 못 먹게
어요“
-“입맛이 없
어요“
<객관적 자료>
- 체중이 35kg
이다.
- 식사가 나갈
때 항상 잔여
량이 많다.
- 대상장와 가
족이 영양부족
의 위험성을
알고 예방한다
- 대상자가 자
신의 키에 맞
는 체중을 가
진다.
- 식사량에 잔
여량이 없다.
<<간호계획>>
1. 대상자의 현재 체중이 표준 체중
46.8kg에 많이 못 미치는 것을 인지
시키고, 식이 교육을 시킨다.
2.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식 위주로
해서 식이 섭취량을 늘린다.
3. 대상자가 무서움을 없애도록 정서
적 지지와 교육을 한다.
4. 화상부위 상처 치유에 영양섭취가
중요하다고 인지시킨다.
<<간호수행>>
1. 매일 I/O check를 하였다.
2. 매일 환자의 체중을 같은 시간에
측정하였다.
3. 상처부위에 육아조직이 빨리 자라
나기 위해서는 고단백, 고열량 영양
섭취가 중요하다고 교육 했다.
4. 식간에 대상자가 좋아하는 간식을
섭취하였다.
5. 잔여량을 매일 체크하고, 최대한
먹도록 교육하였다.
6. 대상자가 사고 당시 기억 때문에
식이 섭취를 무서워하므로, 공포를
줄여주고, 대상자의 잘못이 아니라
고 심리적 지지를 해준다.
-대상자의 체중이 1Kg 증가했다.
-잔여량이 줄었다.
* 간호 진단명 : 화상으로 인한 운동장애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3/23
<주관적 자료>
-“아파요, 쿡
쿡 쑤셔서 움
직이기 싫어요“
<객관적 자료>
- 쿡쿡 쑤시다
말하며, 움직이기를 싫어한다.
- 침상에서
거의 잘 내려
오지 않는다.
- 왼쪽 화상부
분 잘 움직인
다.
- 일상 생활을
하고운동을 한
다.
1. 가능한 일찍 대상자로 하여금
ROM 운동과 자가 간호에 참여하도
록 격려한다.
2. 손상 후 체액 변화 초기에 움직임
증가 시킨다
3. 움직임 증가시켜 순환 향상과 부
종 감소를 돕는다.
-대상자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병동 복도를 걷는다.
5.출처
성인간호학 II, 정담미디어
성인간호학 II, 수문사
Core manual of 성인간호학, 고려의학
http://health.mw.go.kr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www.hidoc.co.kr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http://www.koreaburn.or.kr 한국화상협회
http://www.hallymburnfund.org 한림화상재단
하는지 사정한다.
2. Dressing할 때 대상자의 부모에게
대상자를 잡도록 하였다.
3. 대상자의 부모에게 대상자를 재우
도록 권하였다.
4.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통증 척도 결과 2점 이라고 말한다.
* 간호 진단명 : 화상 후 수분 이동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성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3/23
<객관적 자료>
- 2도 화상을
입었다
- Na 134로 정
상 수치보다
낮고, K는 4.0
으로 정상 수
치보다 높다
- 화상으로 인
해 피부의 윤기,
탄력성 떨어진다
- 대상자의 피
부 탄력성이
정상이다.
- Na,K 수치가
정상 범위 안
에 들어간다.
- 정상적인 수
분 균형을 유
지한다.
<<간호계획>>
1. 탈수 증상 및 징후를 관찰한다.
( 탈수 시 갈증, 허약감, 피부 탈력
성 저하 등)
2. 처방에 따른 IV 수액과 전해질을
공급한다.
3. 구강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4. 매일 Na,K 검사를 위해 수치를 확
인한다.
<<간호수행>>
- 탈수 증상 및 징후를 관찰 하였다.
(피부 윤기는 많은 호전 되었으나,
탄력성이 여전히 조금 떨어진다)
-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구
강 수분 섭취를 격려하였다.
-Adm 3
일째에
Na,K
수치검
사가
정상으
로 나
왔다.
-피부
탄력성
이 점
점 좋
아지고
있다.
* 간호 진단명 : 피부 보호막 손실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3/23
<객관적 자료>
- 체온이 adm
1일째에 37.3
adm 2일째에
37.6도로 높게
측정되었다.
- WBC검사
adm 1일째
16.6이었으며,
adm 2일째에
도 16.6로 정
상 수치보다
높게 나왔다.
- 화상으로 인
한 표피층 상
실로 인한 감
염의 위험성이
있다.
- 대상자는 임
상 검사 수치
가 정상 범위
로 측정된다.
- 체온이 정상
으로 측정된다
- 감염의 위험
성을 알고, 처
치와 교육에
따른다.
<<간호계획>>
1. 8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
다.
2. 감염 지표가 되는 WBC, wound
culture를 한다.
3. 드레싱 시 철저한 무균법을 지킨
다.
4. 매일 피부 간호와 구강간호를 철
저하게 한다.
5. 손 씻기를 강조한다.
6. 미온수 마사지를 권한다.
7. 처방된 항상제를 사용한다.
<<간호수행>>
1. 8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2. 매일 WBC검사를 시행 하였다.
3. 드레싱 시 철저한 무균법을 지켰
으며, 드레싱 전후 손씻기를 철저
히 하였다.
4. 미온수 마사지를 설명하였다.
마사지 후 일정한 간격두고 체온을
측정하였다.
5. 처방된 약을 주었다.
- Adm6
일째 되
는 날
체온이
정상으
로 돌아
왔다.
- WBC
Adm 3일
째 되는
날 10.0
정상으
로 측정
되었다.
- 감염
의 위험
성을 알
고, 손
씻기 등
무균법
을 철저
히 따른
다.
* 간호 진단명 : 화상부위와 관련된 잠재성 피부 통합성 장애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3/23
<객관적 자료>
- 흰 피부나
화상으로 손상
되어 있음
- 피부 탄력성
떨어져 있음
- 건조하고 주
름이 별로 없
음
-화상부위 빨
갛게 부어올라
있음
- 피부가 정상
상태로 돌아온
다.
- 화상부위 피
부 붓기가 가
라 앉는다.
1. 화상 부위 가려움 호소 시 긁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2. 상처부위 멸균 위해서 손을 함부
로 갖다 되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3. 처방된 약을 처방한다.
-피부는 건조하고 주름이 별로 없다. -화상을 입은 부위는 빨갛게 부어오른 상태이다.
* 간호 진단명 : 스트레스 및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의 위험성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3/23
<주관적 자료>
-“무서워서
밥을 못 먹게
어요“
-“입맛이 없
어요“
<객관적 자료>
- 체중이 35kg
이다.
- 식사가 나갈
때 항상 잔여
량이 많다.
- 대상장와 가
족이 영양부족
의 위험성을
알고 예방한다
- 대상자가 자
신의 키에 맞
는 체중을 가
진다.
- 식사량에 잔
여량이 없다.
<<간호계획>>
1. 대상자의 현재 체중이 표준 체중
46.8kg에 많이 못 미치는 것을 인지
시키고, 식이 교육을 시킨다.
2.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식 위주로
해서 식이 섭취량을 늘린다.
3. 대상자가 무서움을 없애도록 정서
적 지지와 교육을 한다.
4. 화상부위 상처 치유에 영양섭취가
중요하다고 인지시킨다.
<<간호수행>>
1. 매일 I/O check를 하였다.
2. 매일 환자의 체중을 같은 시간에
측정하였다.
3. 상처부위에 육아조직이 빨리 자라
나기 위해서는 고단백, 고열량 영양
섭취가 중요하다고 교육 했다.
4. 식간에 대상자가 좋아하는 간식을
섭취하였다.
5. 잔여량을 매일 체크하고, 최대한
먹도록 교육하였다.
6. 대상자가 사고 당시 기억 때문에
식이 섭취를 무서워하므로, 공포를
줄여주고, 대상자의 잘못이 아니라
고 심리적 지지를 해준다.
-대상자의 체중이 1Kg 증가했다.
-잔여량이 줄었다.
* 간호 진단명 : 화상으로 인한 운동장애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3/23
<주관적 자료>
-“아파요, 쿡
쿡 쑤셔서 움
직이기 싫어요“
<객관적 자료>
- 쿡쿡 쑤시다
말하며, 움직이기를 싫어한다.
- 침상에서
거의 잘 내려
오지 않는다.
- 왼쪽 화상부
분 잘 움직인
다.
- 일상 생활을
하고운동을 한
다.
1. 가능한 일찍 대상자로 하여금
ROM 운동과 자가 간호에 참여하도
록 격려한다.
2. 손상 후 체액 변화 초기에 움직임
증가 시킨다
3. 움직임 증가시켜 순환 향상과 부
종 감소를 돕는다.
-대상자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병동 복도를 걷는다.
5.출처
성인간호학 II, 정담미디어
성인간호학 II, 수문사
Core manual of 성인간호학, 고려의학
http://health.mw.go.kr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www.hidoc.co.kr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http://www.koreaburn.or.kr 한국화상협회
http://www.hallymburnfund.org 한림화상재단
추천자료
(의료 복지 프로포절)여성 화상 환자들의 사회복귀를 위한 능력 향상 프로그램 (프로그램 명 ...
대화로 상담을 이끌때의 대화상담의 방법, 지침, 및 실제
교수매체(OHP TP 실물화상기 융판)
[일반물리학실험Ⅰ] 10장. 컴퓨터 화상실험I-단조화운동 (결과레포트)
학습기기(교육기기, 교육기자재) 실물화상기, 학습기기(교육기기, 교육기자재) 엔코더와 디코...
[의료사회복지 실천 사례] 화상후유증으로 수술치료가 필요한 북한 청소년 사례
뇌경색 간호학 컨퍼런스 케이스 스터디
정신분열병 간호학 컨퍼런스 케이스 스터디
갑상선암 간호학 컨퍼런스 케이스 스터디 (Thyroid cancer Case Study)
아동간호학 컨퍼런스 크룹 croup 케이스스터디
기흉(Pneumothorax) 컨퍼런스 케이스
소사자의 현장 조사와 화상
[응급처치] 응급환자관리(화상,쇼크,골절,탈구,염좌,인공호흡,익수의 원인과 증상 및 응급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