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본문
1. 성형수술이란?
2. 미용성형수술의 발전
3. 여성의 외모주의적 배경
1)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로서의 미의 신화
2) 생산과 노동의 영역
3) 소비와 욕망의 영역
4. 성형수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성별
2) 학년
3) 계열
4) 성적
5) 거주지역
6) 형제자매의 수
7) 가구소득
8) 자아존중감
5. 성형수술의 종류 및 방법
1) 재건 성형술
2) 미용 성형술
6. 성형수술에 대한 찬성의견
1) 개인의 행복과 성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2) 심리적인 만족감을 가질 수 있다.
3) 미적인 욕망 충족
4) 현대 사회의 ‘건강’에 대한 개념 확대
5) 콤플렉스와 자신감 회복에 도움을 준다.
참고자료
본문
1. 성형수술이란?
2. 미용성형수술의 발전
3. 여성의 외모주의적 배경
1)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로서의 미의 신화
2) 생산과 노동의 영역
3) 소비와 욕망의 영역
4. 성형수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성별
2) 학년
3) 계열
4) 성적
5) 거주지역
6) 형제자매의 수
7) 가구소득
8) 자아존중감
5. 성형수술의 종류 및 방법
1) 재건 성형술
2) 미용 성형술
6. 성형수술에 대한 찬성의견
1) 개인의 행복과 성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2) 심리적인 만족감을 가질 수 있다.
3) 미적인 욕망 충족
4) 현대 사회의 ‘건강’에 대한 개념 확대
5) 콤플렉스와 자신감 회복에 도움을 준다.
참고자료
본문내용
인 심리변화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미용성형외과를 찾는 사람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성형외과 수술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쌍꺼풀수술, 코 성형수술, 주름절제수술, 지방흡입수술, 가슴확대수술 등이다(Cash & Pruzinsky, 1990).
우리나라는 현재 10명중 4명(38.8%)은 ‘아름다워질 수 있다면 성형수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동아일보, 2002년 4월). 사람들은 성형수술을 하려는 중요한 이유들은 외모가 놀랄 만큼 향상되기를 바람, 자신의 느낌에 대한 향상, 자신의 외모에 대해 칭찬 받고 싶음, 부정적인 자의식 감소, 어려 보이는 효과, 젊어졌다는 느낌 등이라고 하였다(Cash & Hurton, 1990).
수술하고 싶은 심리는 귀를 뚫고 싶어하는 소년, 아버지 닮은 코를 가진 것이 불만인 사춘기소녀, 가슴 작은 것이 불만인 20대 여성, 주름 때문에 자신의 모습이 보기 싫어졌다고 생각하는 50대 주부 등 다양한 이유나 동기를 가지고 있다(임숙자 외 3인, 2000).
4) 현대 사회의 ‘건강’에 대한 개념 확대
20세기에 이르러 인류 질병의 의학적 접근이 체계화될 무렵, 의학계의 한 부분에서는 건강생활의 질적 향상이라는 부분이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건강이라는 개념은 WHO의 정의대로 건강이란, 다만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건강에 대한 세계적 사고변화의 한 축으로 일부 의사들은 인간의 타고난 외모에 대한 향상을 꾀하게 되었고, 그러한 개념적 접근에서 성형수술은 그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다(이윤호 외 1998).
5) 콤플렉스와 자신감 회복에 도움을 준다.
재건 성형수술은 선천적으로 기형이거나 후천적으로 사고 등에 의해서 유발된, 사회의 표준에 어긋나는 흉한 모습을 표준에 맞도록, 즉 정상인의 생김새처럼 만들어서 외모 때문에 겪었던 정신적 피해를 줄일 수 있으므로 필요하다. 수술을 통해 신체적 변형과 기형을 고쳐 기능적 측면에서도 향상되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Pick(1948)는 외모의 추형 때문에 성형수술을 받은 376명의 죄수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10년이 지난 후에 죄수들이 재수감되는 비율이 평균 비율보다 훨씬 낮은 겨우 1.07%였다고 하면서 미용성형수술은 사회복귀에 대한 자신감을 강화시킬 수 있고, 일찍 이런 외모의 추형이 교정되었다면 그들이 범죄자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Hay와 Heather(1973)는 미용성형수술을 받은 사람들이 2년 후에 일반적인 적대감이나 개인적인 질병, 히스테리, 강박증 등이 호전되었음을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미용 성형수술은 인간이 추구하는 아름다움을 창조할 수 있으며,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자신감 있게 살아갈 수 있도록 정신적인 면에서의 치료효과도 있다(강진성1988).
교황 비오 12세는 1958년 10월 이태리 성형외과학회 모임에서 "우리가 그리스도의 관점에서 신체의 아름다움을 고려하고 도덕적 가르침을 존중한다면 조물주의 위대한 창조물인 인간을 완전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미용수술은 신의 뜻을 거역하는 것이 아니다." 라고 하였다.
외모에 자신감 없는 사람은 사회적으로 거절당하고, 사진 찍는 일이나 신체적 노출을 꺼리며, 사회적 반응에 대해서도 과민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성형수술이 미치는 영향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부정적인 자의식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성형수술을 받은 대다수는 수술 결과에 만족하고 수술로 변화된 외모에 긍정적인 느낌을 가지고 있으며, 자아존중감 향상, 우울증과 불안의 감소, 인간관계 향상을 나타낸다. 수술 후에는 결점이 사라지므로 숨기고자 하는 행동이 사라지고 몸치장을 하고 새로운 관리를 시도하며, 옷 스타일의 변화를 시도하게 된다. 가슴 확대수술 60%가 수술 후에 노출된 옷을 입기 시작하였고 성격도 외향적으로 바뀌었다. 수술로 개인이 자신감을 가진다면 사회적인 반응은 긍정적이 된다(Beale, Lisper & Palm, 1980: Goin & Goin, 1981: Schlebusch, 1989). 변금순 외 3, "미용성형수술과 정신건강", <신경정신의학>, 94-104. / 지경환이상익, "미용성형수술 환자의 심리적 특성과 미용수술이 이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지> 40(4). 559-569. 2001. / 이인자ㆍ이경희ㆍ신효정, "의상심리", 교문사, 2001.
참고자료
1. 한국일보, "외모편견이 익숙한 사회", 2000.04.27.
2. 중앙일보, "성형수술보다 실력수술을", 2002.09.10.
3. 박성희, "청소년심리학", 양서원, 1998.
4. 최백화, "미용성형수술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2003.
5. 사라 할프린, 최순희 역, "예쁜 얼굴 콤플렉스", 문학사상사, 1996.
6. 한설아, "여성의 외모 관리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이화여대, 1998.
7. 이제진, "상업고 여학생의 취업교육 현실", 사무직 여성 16호, 1994.
8. 이성욱, "여자의 눈길-볼거리의 숙명에 대하여", 문화과학 4호, 1993.
9. 김은실, "여성의 건강관리와 육체이미지의 소비문화", 문옥표 편, <한국인의 소비와 여가생활>, 정문연, 1997.
10. 우경자, "여성의 외모주의와 성형의료산업", 연세대학교, 2002.
11. 이영호, "성형의 과학", <의학문화>, 1993.
12. 강진성, "성형 외과학",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6.
13. 배진주, "중학생의 신체상 지각수준과 성형수술 허용도", 한국교원대학교, 2005.
14. 변금순 외 3, "미용성형수술과 정신건강", <신경정신의학>, 94-104.
15. 지경환이상익, "미용성형수술 환자의 심리적 특성과 미용수술이 이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지> 40(4). 559-569. 2001.
16. 이윤호 외 25, "미용성형외과학", 군자출판사, 1998.
17. 강진성, "성형외과학"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8.
18. 이인자ㆍ이경희ㆍ신효정, "의상심리", 교문사, 2001.
우리나라는 현재 10명중 4명(38.8%)은 ‘아름다워질 수 있다면 성형수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동아일보, 2002년 4월). 사람들은 성형수술을 하려는 중요한 이유들은 외모가 놀랄 만큼 향상되기를 바람, 자신의 느낌에 대한 향상, 자신의 외모에 대해 칭찬 받고 싶음, 부정적인 자의식 감소, 어려 보이는 효과, 젊어졌다는 느낌 등이라고 하였다(Cash & Hurton, 1990).
수술하고 싶은 심리는 귀를 뚫고 싶어하는 소년, 아버지 닮은 코를 가진 것이 불만인 사춘기소녀, 가슴 작은 것이 불만인 20대 여성, 주름 때문에 자신의 모습이 보기 싫어졌다고 생각하는 50대 주부 등 다양한 이유나 동기를 가지고 있다(임숙자 외 3인, 2000).
4) 현대 사회의 ‘건강’에 대한 개념 확대
20세기에 이르러 인류 질병의 의학적 접근이 체계화될 무렵, 의학계의 한 부분에서는 건강생활의 질적 향상이라는 부분이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건강이라는 개념은 WHO의 정의대로 건강이란, 다만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건강에 대한 세계적 사고변화의 한 축으로 일부 의사들은 인간의 타고난 외모에 대한 향상을 꾀하게 되었고, 그러한 개념적 접근에서 성형수술은 그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다(이윤호 외 1998).
5) 콤플렉스와 자신감 회복에 도움을 준다.
재건 성형수술은 선천적으로 기형이거나 후천적으로 사고 등에 의해서 유발된, 사회의 표준에 어긋나는 흉한 모습을 표준에 맞도록, 즉 정상인의 생김새처럼 만들어서 외모 때문에 겪었던 정신적 피해를 줄일 수 있으므로 필요하다. 수술을 통해 신체적 변형과 기형을 고쳐 기능적 측면에서도 향상되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Pick(1948)는 외모의 추형 때문에 성형수술을 받은 376명의 죄수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10년이 지난 후에 죄수들이 재수감되는 비율이 평균 비율보다 훨씬 낮은 겨우 1.07%였다고 하면서 미용성형수술은 사회복귀에 대한 자신감을 강화시킬 수 있고, 일찍 이런 외모의 추형이 교정되었다면 그들이 범죄자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Hay와 Heather(1973)는 미용성형수술을 받은 사람들이 2년 후에 일반적인 적대감이나 개인적인 질병, 히스테리, 강박증 등이 호전되었음을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미용 성형수술은 인간이 추구하는 아름다움을 창조할 수 있으며,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자신감 있게 살아갈 수 있도록 정신적인 면에서의 치료효과도 있다(강진성1988).
교황 비오 12세는 1958년 10월 이태리 성형외과학회 모임에서 "우리가 그리스도의 관점에서 신체의 아름다움을 고려하고 도덕적 가르침을 존중한다면 조물주의 위대한 창조물인 인간을 완전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미용수술은 신의 뜻을 거역하는 것이 아니다." 라고 하였다.
외모에 자신감 없는 사람은 사회적으로 거절당하고, 사진 찍는 일이나 신체적 노출을 꺼리며, 사회적 반응에 대해서도 과민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성형수술이 미치는 영향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부정적인 자의식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성형수술을 받은 대다수는 수술 결과에 만족하고 수술로 변화된 외모에 긍정적인 느낌을 가지고 있으며, 자아존중감 향상, 우울증과 불안의 감소, 인간관계 향상을 나타낸다. 수술 후에는 결점이 사라지므로 숨기고자 하는 행동이 사라지고 몸치장을 하고 새로운 관리를 시도하며, 옷 스타일의 변화를 시도하게 된다. 가슴 확대수술 60%가 수술 후에 노출된 옷을 입기 시작하였고 성격도 외향적으로 바뀌었다. 수술로 개인이 자신감을 가진다면 사회적인 반응은 긍정적이 된다(Beale, Lisper & Palm, 1980: Goin & Goin, 1981: Schlebusch, 1989). 변금순 외 3, "미용성형수술과 정신건강", <신경정신의학>, 94-104. / 지경환이상익, "미용성형수술 환자의 심리적 특성과 미용수술이 이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지> 40(4). 559-569. 2001. / 이인자ㆍ이경희ㆍ신효정, "의상심리", 교문사, 2001.
참고자료
1. 한국일보, "외모편견이 익숙한 사회", 2000.04.27.
2. 중앙일보, "성형수술보다 실력수술을", 2002.09.10.
3. 박성희, "청소년심리학", 양서원, 1998.
4. 최백화, "미용성형수술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2003.
5. 사라 할프린, 최순희 역, "예쁜 얼굴 콤플렉스", 문학사상사, 1996.
6. 한설아, "여성의 외모 관리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이화여대, 1998.
7. 이제진, "상업고 여학생의 취업교육 현실", 사무직 여성 16호, 1994.
8. 이성욱, "여자의 눈길-볼거리의 숙명에 대하여", 문화과학 4호, 1993.
9. 김은실, "여성의 건강관리와 육체이미지의 소비문화", 문옥표 편, <한국인의 소비와 여가생활>, 정문연, 1997.
10. 우경자, "여성의 외모주의와 성형의료산업", 연세대학교, 2002.
11. 이영호, "성형의 과학", <의학문화>, 1993.
12. 강진성, "성형 외과학",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6.
13. 배진주, "중학생의 신체상 지각수준과 성형수술 허용도", 한국교원대학교, 2005.
14. 변금순 외 3, "미용성형수술과 정신건강", <신경정신의학>, 94-104.
15. 지경환이상익, "미용성형수술 환자의 심리적 특성과 미용수술이 이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지> 40(4). 559-569. 2001.
16. 이윤호 외 25, "미용성형외과학", 군자출판사, 1998.
17. 강진성, "성형외과학"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8.
18. 이인자ㆍ이경희ㆍ신효정, "의상심리", 교문사, 2001.
추천자료
인터넷 사업계획서 (가상성형)
외국인 노동자의 차별과 미(美)를 위해 성형하는 사람들의 문제들의 연관성
대중매체의 특성과 사례-우리나라여성은 성형미인이다?
몸짱 얼짱 다이어트 성형중독 에 대해 외모지상주의 문제 와 긍정적인측면
흉곽수술환자 간호
수술실, 회복실 간호사의 역할
[유방암][유방암수술][종양][유방]유방암의 개념, 유방암의 원인, 유방암의 발생 빈도, 유방...
(경추수술)경추전방 융합술-ALIF,anetrior cervical spinal fusion--수술간호,마취간호,회복...
두부손상(두부외상)의 특징, 두부손상(두부외상)의 유형, 두부손상(두부외상)의 생체역학과 ...
신경의 치유과정 & 안면신경의 수술방법 & 수술후 회복기간
적응증 및 금기증, 검사방법, 검사 전.후 간호 등(경피적 혈관성형술)
진정한 아름다움이란 - 현대인의 성형, 다이어트열풍
유동식만들기-수술전후의 식사요법, 이행식사, 유동식만드는법, 수술전후식사
암의 치료와 간호, 수술, 방사선 요법 A+( 1. 암치료의 목적 2. 수술요법 3. 방사선요법 4.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