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동식이란
2. 유동식 만들기
3. 완성된 음식 1인분 중량 및 눈대중치(부피로 표시) 표기
4. 만드는 방법
5. 결과 및 고찰사항
[참고문헌]
2. 유동식 만들기
3. 완성된 음식 1인분 중량 및 눈대중치(부피로 표시) 표기
4. 만드는 방법
5. 결과 및 고찰사항
[참고문헌]
본문내용
배합비
환산값
목측량
쌀(g)
물(g)
(%)
(g)
미음
12.5
300
14.45
86.5
5부죽
25
310
15.82
158
7부죽
45
375
17.11
263
전죽
60
375
23.4
256
밥
100
125
53.19
188
4. 만드는 방법.
1) 먼저, 쌀을 분량대로 잰 다음 순서대로 씻어서 그릇에 담아놓는다.
2) 물을 각 비율로 측정하여 쌀이 담긴 그릇에 넣고 차례차례 죽을 만드는데
단, 끓일 때 너무 뚜껑을 자주 열어 보지 않는다.
3) 죽을 완성한 후에 목측량을 재고 환산값을 계산한다.
∴ × 100 =환산값(%)
4) 그릇에 담아 완성한다.
5) 각 조원들끼리 맛을 보고 평가한다.
5. 결과 및 고찰사항
미음- 제일 먼저 한 것이 미음인데 미음이라는 것에 대해 해본적도 없고 해서 그 개념을 잡지 못해 하는 방법이 잘못되었다. 쌀을 빻아야 하는데 그러지 않았고 자주 뚜껑을 열어봐서 수분이 많이 날라 갔던 것도 잘못된 원인 중 하나였다.
쌀알이 호화가 좀 덜되었고 많이 뻑뻑한 편 이었다.
5부죽- 미음과 거의 비슷하게 결과가 나왔고 맛도 비슷하였다.
미음과 거의 구분이 잘 안되었다.
7부죽- 우리 조에서 가장 잘된 것이 7부죽이었는데...물의 양이 많아서 호화가 조금
덜되긴 하였지만 전체적으로 봐서 가장 잘되고 맛도 좋았다.
전죽- 호화가 덜되고 쌀에 물 말아 놓은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과연 환자가 먹어서 소화를 잘 시킬 수 있을지 생각해보니 머가 잘못된 건지 잘 알수 있었다:;
밥- 쌀이 수분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해 밥알이 꼬들꼬들해졌다.
역시 호화가 충분하지 못했다.
환산값
목측량
쌀(g)
물(g)
(%)
(g)
미음
12.5
300
14.45
86.5
5부죽
25
310
15.82
158
7부죽
45
375
17.11
263
전죽
60
375
23.4
256
밥
100
125
53.19
188
4. 만드는 방법.
1) 먼저, 쌀을 분량대로 잰 다음 순서대로 씻어서 그릇에 담아놓는다.
2) 물을 각 비율로 측정하여 쌀이 담긴 그릇에 넣고 차례차례 죽을 만드는데
단, 끓일 때 너무 뚜껑을 자주 열어 보지 않는다.
3) 죽을 완성한 후에 목측량을 재고 환산값을 계산한다.
∴ × 100 =환산값(%)
4) 그릇에 담아 완성한다.
5) 각 조원들끼리 맛을 보고 평가한다.
5. 결과 및 고찰사항
미음- 제일 먼저 한 것이 미음인데 미음이라는 것에 대해 해본적도 없고 해서 그 개념을 잡지 못해 하는 방법이 잘못되었다. 쌀을 빻아야 하는데 그러지 않았고 자주 뚜껑을 열어봐서 수분이 많이 날라 갔던 것도 잘못된 원인 중 하나였다.
쌀알이 호화가 좀 덜되었고 많이 뻑뻑한 편 이었다.
5부죽- 미음과 거의 비슷하게 결과가 나왔고 맛도 비슷하였다.
미음과 거의 구분이 잘 안되었다.
7부죽- 우리 조에서 가장 잘된 것이 7부죽이었는데...물의 양이 많아서 호화가 조금
덜되긴 하였지만 전체적으로 봐서 가장 잘되고 맛도 좋았다.
전죽- 호화가 덜되고 쌀에 물 말아 놓은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과연 환자가 먹어서 소화를 잘 시킬 수 있을지 생각해보니 머가 잘못된 건지 잘 알수 있었다:;
밥- 쌀이 수분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해 밥알이 꼬들꼬들해졌다.
역시 호화가 충분하지 못했다.
추천자료
일본의 다도문화
파운드케잌
[우수 평가 자료]계속 모드 독후감상문.- 저자가 말하는 핵심 교훈과 시사점.
주거의 의의, 주거와 풍수사상, 서양 주거, 한국과 일본 전통주거, 아파트 모델하우스 전통주...
관광인이 알아야할 국제매너 및 직장예절 고객응대 관리
밀의 역사와 문화사적 의미
mental health promotion (우울증 극복,예방, 방지 & 조울증 예방 생활 관리)
고고학 정리 - 유물로 본 고대 사회 생활상
[성인 내과케이스] 백혈병 (leukemia) 케이스 스터디
[서양 식생활문화의 변천과정] 서양요리의 역사, 서양요리 발전과정
21. 당뇨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