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서론
2.본론
1) 사건의 개요
(1) 지존파의 결성 및 범행동기
(2) 지존파의 범행
(3) 지존파 검거
2) 지존파 사건 범죄학적 분석
(1) 긴장 이론
(2) 낙인 이론
3) 지존파 범죄의 대책방안
(1) 건전한 대중문화 마련
(2) 불합리한 인식의 변화
3.결론
1.서론
2.본론
1) 사건의 개요
(1) 지존파의 결성 및 범행동기
(2) 지존파의 범행
(3) 지존파 검거
2) 지존파 사건 범죄학적 분석
(1) 긴장 이론
(2) 낙인 이론
3) 지존파 범죄의 대책방안
(1) 건전한 대중문화 마련
(2) 불합리한 인식의 변화
3.결론
본문내용
다는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이런 사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전한 대중문화의 정착이 필요하다. 사람들은 영화나 TV속에서의 행동을 그대로 모방하고 따라할 수 있기 때문에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방송보다는 교육적이고 품위있는 방송을 통해 국민들의 정신 건강을 맑고 깨끗하게 해야 한다. 우리사회의 건전한 문화가 정착되면 지존파와 같은 범죄를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2) 불합리한 인식의 변화
지존파는 자신들이 실패하고 낙오된 삶을 사는 이유가 환경과 사회 탓이라고 생각하는 등 반사회적 경향이 강했다. 이런 생각 때문에 가진 자들을 혐오하기 시작하여 범죄를 저질렀다. 즉 자신은 사회의 피해자라는 인식이 점점 더 부정적으로 변화면서 범죄를 저질렀다. 잘못된 인식이 사회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 지 보여주었다. 이런 가치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회 전체 구성원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 부유층들은 하류층을 무시하고 경멸해서는 안되며 하류층 역시 자신들은 부유층의 피해자라는 인식을 벗어나야 할 것이다. 이런 인식의 변화가 사회에 만연하게 되면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되는 범죄들이 크게 감소하게 될 것이다.
3. 결론
우리 사회에서 범죄를 완전히 근절한다는 것은 불가능할 수 도 있다. 하지만 교육이나 정신위생적인 면에서의 적절한 예방책을 통해서 감소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개인의 정신위생으로서 욕구불만은 평화적이고 합리적인 배출구를 찾는다면 생활의 원동력, 활력소가 될 것이다.
욕구불만에 대한 인내성이나 사회적으로 용인된 감정의 발산법을 익숙케 하기 위해서는 유아 초기에 있어서 건전한 가정환경 속에서 적절한 사회화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건강한 자기통제력을 몸에 익힌 사람은 어떠한 위기에 처해도 공격적인 행위를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긴장을 내포한 가정은 올바른 가치관을 심는 교육에 유념해야 할 것이고 사회의 저변에 있거나 주변인으로부터 열등감이나 소외감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삶의 보람이나 사회와의 연대감을 회복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형사정책적인 관점에서는 살인행위와 결부되기 쉬운 총기, 도검류, 독극물 등의 단속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TV나 영화를 중심으로 하는 매스컴의 규제에 관하여서도 만족할 만한 해결책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 외에도 교도소에서 사회에 복귀한 전과자들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을 없애고 심리적 강제의 방법에 의하여 정상적인 사람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관용의 정신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몇 가지 대책을 실행해 나가다 보면 우리 사회의 범죄는 감소 할 것이며, 다시는 지존파와 같은 범죄가 나타나지 않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 문헌
1. 범죄학 이론(2005) / 로널드L. 에이커스 , 크리스틴 S. 셀러스 / 나남출판
2. 한국의 연쇄살인(2005) / 표창원 / 랜덤하우스중앙
3. 범죄심리학 제3판(2004) / 이상현 / 박영사
4. 현대사회와 범죄(2007) / 강맹진, 김진철 / 대왕사
(2) 불합리한 인식의 변화
지존파는 자신들이 실패하고 낙오된 삶을 사는 이유가 환경과 사회 탓이라고 생각하는 등 반사회적 경향이 강했다. 이런 생각 때문에 가진 자들을 혐오하기 시작하여 범죄를 저질렀다. 즉 자신은 사회의 피해자라는 인식이 점점 더 부정적으로 변화면서 범죄를 저질렀다. 잘못된 인식이 사회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 지 보여주었다. 이런 가치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회 전체 구성원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 부유층들은 하류층을 무시하고 경멸해서는 안되며 하류층 역시 자신들은 부유층의 피해자라는 인식을 벗어나야 할 것이다. 이런 인식의 변화가 사회에 만연하게 되면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되는 범죄들이 크게 감소하게 될 것이다.
3. 결론
우리 사회에서 범죄를 완전히 근절한다는 것은 불가능할 수 도 있다. 하지만 교육이나 정신위생적인 면에서의 적절한 예방책을 통해서 감소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개인의 정신위생으로서 욕구불만은 평화적이고 합리적인 배출구를 찾는다면 생활의 원동력, 활력소가 될 것이다.
욕구불만에 대한 인내성이나 사회적으로 용인된 감정의 발산법을 익숙케 하기 위해서는 유아 초기에 있어서 건전한 가정환경 속에서 적절한 사회화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건강한 자기통제력을 몸에 익힌 사람은 어떠한 위기에 처해도 공격적인 행위를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긴장을 내포한 가정은 올바른 가치관을 심는 교육에 유념해야 할 것이고 사회의 저변에 있거나 주변인으로부터 열등감이나 소외감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삶의 보람이나 사회와의 연대감을 회복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형사정책적인 관점에서는 살인행위와 결부되기 쉬운 총기, 도검류, 독극물 등의 단속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TV나 영화를 중심으로 하는 매스컴의 규제에 관하여서도 만족할 만한 해결책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 외에도 교도소에서 사회에 복귀한 전과자들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을 없애고 심리적 강제의 방법에 의하여 정상적인 사람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관용의 정신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몇 가지 대책을 실행해 나가다 보면 우리 사회의 범죄는 감소 할 것이며, 다시는 지존파와 같은 범죄가 나타나지 않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 문헌
1. 범죄학 이론(2005) / 로널드L. 에이커스 , 크리스틴 S. 셀러스 / 나남출판
2. 한국의 연쇄살인(2005) / 표창원 / 랜덤하우스중앙
3. 범죄심리학 제3판(2004) / 이상현 / 박영사
4. 현대사회와 범죄(2007) / 강맹진, 김진철 / 대왕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