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항일의병운동
1. 항일의병운동의 시기구분
2. 항일의병운동의 전개양상
3. 항일의병운동의 지향과 성격
Ⅱ. 애국계몽운동
1. 애국계몽운동의 시점과 형성
2. 대표적인 단체
3. 애국계몽운동에 대한 평가
4. 항일의병운동과 애국계몽운동과의 상관관계
1. 항일의병운동의 시기구분
2. 항일의병운동의 전개양상
3. 항일의병운동의 지향과 성격
Ⅱ. 애국계몽운동
1. 애국계몽운동의 시점과 형성
2. 대표적인 단체
3. 애국계몽운동에 대한 평가
4. 항일의병운동과 애국계몽운동과의 상관관계
본문내용
다.
의 역할
갑신정변·갑오개혁·독립협회운동 등 개화자강계열의 사상이 내재적으로 발전되어 형성되었고, 서양의 계몽사상과 사회진화론의 영향을 받았다는 견해로 학계의 통설로 되어있다.
*부정론
사회진화론이 가지는 '경쟁과 진보'의 양면성에 주목하여, 진보에 중점을 둘 경우에 근대주의에 빠져 제국주의적 침략을 용인하게 될 수 있다는 견해이다.
*긍정론
사회진화론은 물론이고 사회계약론·민권론 등 서양계몽사상이 한말 애국계몽가들의 자강론과 국권회복론의 사상적 기초가 되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당시 대다수의 애국계몽가들이 사회진화론을 '약자의 강자화를 위한 논리'로 활용하여, 국권회복을 위한 실력양성운동에 매진했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4. 항일의병운동과 애국계몽운동과의 상관관계
*부정론
1) 강재언
대외적으로 '민주적 자주'라는 공통된 입장이면서도 국권회복을 위한 투쟁방법이 상이하고, 대내적으로 위정척사사상과 개화사상 사이의 사상적 단층 때문에 일체화될 수 없다고 보았다.
2) 이만형
의병운동과 애국계몽운동은 병행되었다고 보았다. 신민회의 대변지인 대한매일신보가 의병운동을 적극 지지하고 대변했다는 주장은 맞지 않다고 했다.
3) 김도형
두 운동은 근본적으로 개혁이념과 개혁주체의 설정에 차이가 존재하여 서로 적대적일 수밖에 없으며 애국계몽가들의 우민관과 민중불신관이 의병을 적대적으로 인식하게 했다고 보았다. 그러면서도 애국계몽단체의 일부지회는 의병활동과 연관을 맺었음을 지적했다.
*긍정론
1) 신용하
형태만 다르지 국권회복이라는 목표가 완전히 합일되었다는 점에서 방법과 형태만 다를뿐 구조적으로 두 운동은 상호보완적이라고 보았다.
2) 조동걸
1907년 8월 후기의병에서 한말계몽주의와 의병전쟁이 구국운동차원에서 통합된 사실에 주목했다.
결론적으로, 전반적으로 또는 현상적으로 두 운동이 사상적 배경과 운동방법의 차이로 상호 비판적·대립적 관계에 있었지만, 부분적 혹은 결과적으로 상호보완적 측면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즉 두 운동은 주권피탈후에 실력양성과 무력투쟁을 결합한 민족운동노선으로 합일되어 갔던 것이다.
※ 참고문헌
유영렬, 「21세기 한국사학」, 『한국사론 30집』, 국사편찬위원회, 2000.
유영렬, 『대한제국기의 민족운동』, 일조각, 199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43, 탐구당, 1999.
한국사편집위원회, 『한국사』12, 한길사, 1994.
한국사특강편찬위원회, 『한국사특강』, 1990.
의 역할
갑신정변·갑오개혁·독립협회운동 등 개화자강계열의 사상이 내재적으로 발전되어 형성되었고, 서양의 계몽사상과 사회진화론의 영향을 받았다는 견해로 학계의 통설로 되어있다.
*부정론
사회진화론이 가지는 '경쟁과 진보'의 양면성에 주목하여, 진보에 중점을 둘 경우에 근대주의에 빠져 제국주의적 침략을 용인하게 될 수 있다는 견해이다.
*긍정론
사회진화론은 물론이고 사회계약론·민권론 등 서양계몽사상이 한말 애국계몽가들의 자강론과 국권회복론의 사상적 기초가 되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당시 대다수의 애국계몽가들이 사회진화론을 '약자의 강자화를 위한 논리'로 활용하여, 국권회복을 위한 실력양성운동에 매진했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4. 항일의병운동과 애국계몽운동과의 상관관계
*부정론
1) 강재언
대외적으로 '민주적 자주'라는 공통된 입장이면서도 국권회복을 위한 투쟁방법이 상이하고, 대내적으로 위정척사사상과 개화사상 사이의 사상적 단층 때문에 일체화될 수 없다고 보았다.
2) 이만형
의병운동과 애국계몽운동은 병행되었다고 보았다. 신민회의 대변지인 대한매일신보가 의병운동을 적극 지지하고 대변했다는 주장은 맞지 않다고 했다.
3) 김도형
두 운동은 근본적으로 개혁이념과 개혁주체의 설정에 차이가 존재하여 서로 적대적일 수밖에 없으며 애국계몽가들의 우민관과 민중불신관이 의병을 적대적으로 인식하게 했다고 보았다. 그러면서도 애국계몽단체의 일부지회는 의병활동과 연관을 맺었음을 지적했다.
*긍정론
1) 신용하
형태만 다르지 국권회복이라는 목표가 완전히 합일되었다는 점에서 방법과 형태만 다를뿐 구조적으로 두 운동은 상호보완적이라고 보았다.
2) 조동걸
1907년 8월 후기의병에서 한말계몽주의와 의병전쟁이 구국운동차원에서 통합된 사실에 주목했다.
결론적으로, 전반적으로 또는 현상적으로 두 운동이 사상적 배경과 운동방법의 차이로 상호 비판적·대립적 관계에 있었지만, 부분적 혹은 결과적으로 상호보완적 측면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즉 두 운동은 주권피탈후에 실력양성과 무력투쟁을 결합한 민족운동노선으로 합일되어 갔던 것이다.
※ 참고문헌
유영렬, 「21세기 한국사학」, 『한국사론 30집』, 국사편찬위원회, 2000.
유영렬, 『대한제국기의 민족운동』, 일조각, 199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43, 탐구당, 1999.
한국사편집위원회, 『한국사』12, 한길사, 1994.
한국사특강편찬위원회, 『한국사특강』, 199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