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Ⅰ)연보
각 읍면별 항일운동지도자 존영
Ⅱ)주요 활동 내용
1)전남운동협의회 주요활동내용
①전남운동협의회 사건
②전남운동협의회사건과 약산협의회사건
③완도군 항일운동 관련사건 재판기록
-전남운동협의회 사건
Ⅲ)활동이 갖는 민족사적 의미
맺음말
Ⅰ)연보
각 읍면별 항일운동지도자 존영
Ⅱ)주요 활동 내용
1)전남운동협의회 주요활동내용
①전남운동협의회 사건
②전남운동협의회사건과 약산협의회사건
③완도군 항일운동 관련사건 재판기록
-전남운동협의회 사건
Ⅲ)활동이 갖는 민족사적 의미
맺음말
본문내용
입하여 야학교사, 독서회원 등으로 민족의식 고취에 전념하였다. 1932년 초 전남운동협의회가 조직되자, 그 산하기관으로 완도군농민조합 건설위원회를 만들고 그는 재정책임을 맡아 활동하였다. 그는 야학과 독서회를 통하여 농민계몽과 항일투쟁을 계속하였으며, 1933년 8월 강진군 병영주재소 방화사건을 계기로 일경의 집요한 추적을 받게되어 전남운동협의회가 탐지됨에 따라 그도 1934년 2월 동지들과 함께 피체되었다. 장기간에 걸친 고문과 옥중 투쟁 끝에 그는 결국 1936년 12월 28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다시 징역 1년 6월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82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註·판결문(1930. 10. 27 광주지방법원)·판결문(1931. 6. 13 대구복심법원)·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238면·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분책 725면·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9권 490·497면·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3권 265·1624∼1633·1654∼1708면
조동선(趙東善)
전남 완도(莞島) 사람이다.1929년 4월 서울 경신학교(儆新學校) 3학년에 재학하고 있을 때 악질적인 교사들을 배척하기 위한 운동을 주동하다가 퇴학당하고, 일본 동경(東京)에서 입명관대학(立命 大學) 전문부에 진학하였다가 1931년 11월 귀국하여 향리에서 농업에 종사하였다.그 뒤 1931년 12월 중순 전남 완도(莞島)에서 동지들과 함께 완도군 내의 농민운동과 어민운동의 활동방법을 협의하고 유력한 인사들을 이 운동에 참가시키고 동지를 규합할 것을 결의하였다.1932년 11월 완도농민운동을 위하여 우선 소작인과 어업조합원들을 동원하여 소작쟁의(小作爭議)와 어업조합 폐지운동을 일으키고 야학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등 항일투쟁을 위한 활동을 하다가 피체되었다.1936년 12월 28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월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註·판결문(1936. 12. 28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
김인학(金仁學)
전남 완도(莞島) 사람이다.그는 1933년 전남운동협의회(全南運動協議會)에 가입하여 항일운동을 폈다.전남운동협의회는 해남(海南) 지역에서 김홍배(金洪培)·오문현(吳文鉉)과 완도에서 황동윤(黃同允)이 중심이 되어 1933년 5월 14일 해남군 북평면 성도암(成道庵)에서 조직된 비밀결사였다.동회는 전남지역의 농민·어민·노동자와 인텔리를 포함한 사회주의 운동의 통일적 지도기관을 목적으로 사무부(事務部)·조직부(組織部)·조사부(調査部)·구원부(救援部)의 조직을 갖추고 기관지로서 ≪농민투쟁(農民鬪爭)≫을 발간하였다.동회는 동년 8월 11일 제3차 전체회의를 열고 운동방안에 관해 협의한 결과 운동대상에서 노동자를 제외하고 농민층을 중심으로 활동영역을 제한하였다. 또한 종래와 같은 위로부터의 조직형태를 지양하고 농촌 각 부락에 2∼5명의 농민반·청년반·소년반을 결성하여 각 반을 면(面) 단위로 확대한 후 이를 각 군(郡)의 적색농민조합의 지부로 삼는 아래로부터의 조직구성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명칭도 적색농민조합 건설준비위원회(赤色農民組合建設準備委員會)로 개칭하였다. 이후 동회는 완도·해남·강진(康津)·장흥(長興)·영암(靈岩) 등의 지방에 53개의 농민반과 26개의 야경단, 28개소의 야학(夜學)을 설치하여 조직확대와 사회주의 사상의 보급에 힘썼다.또한 장흥·해남·완도 등에서 10여 차례의 소작쟁의, 어업조합(漁業組合) 폐지운동, 강제연금 인출투쟁 등을 지도하여 다섯 차례에 걸쳐 목적을 관철하였다.그는 1933년 12월 완도군 군외면 불목리 박동준(朴東俊)의 집에서 박동준 외 1명을 반원으로 하는 청년반을 조직하고 책임자로 활약하였다.그런데 이와 같은 활동을 펴던 중 조직이 노출되어 그를 비롯한 동지들은 1934년 2월 중순 일경에 피체되었다.그는 1937년 1월 광주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1년형을 언도받았으나 일경으로부터 받은 가혹한 고문의 여독으로 동년 2월 13일 순국하였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註·판결문(1936. 12. 28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동아일보(1934. 9. 10)·조선일보(1934. 9. 7, 1936. 12. 31)
박노호(朴魯灝)
전남 완도(莞島) 사람이다. 그는 완도군 고금면(古今面)의 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31년 보성고등보통학교(普成高等普通學校)에 입학하였으나 중퇴한 후 고향에서 농업에 종사하였다.1933년 이기홍(李基弘)의 지도로 사상서적을 탐독하면서 사회주의 사상에 공명하게 되어 전남운동협의회(全南運動協議會)에 가입·활동하였다.전남운동협의회는 해남(海南) 지역에서 김홍배(金洪培)·오문현(吳文鉉)과 완도에서 황동윤(黃同允)이 중심이 되어 1933년 5월 14일 해남군 북평면 성도암(成道庵)에서 조직된 항일비밀결사였다.동회는 전남지역의 농민·어민·노동자와 인텔리를 포함한 사회주의 운동의 통일적 지도기관을 목적으로 사무부(事務部)·조직부(組織部)·조사부(調査部)·구원부(救援部)의 조직을 갖추고 기관지로서 ≪농민투쟁(農民鬪爭)≫을 발간하였다.그는 1933년 9월 2일 황동윤·이기홍 등과 함께 완도군 고금면 청룡리의 부락사무소에서 노동자·농민들의 비참한 생활상과 일제와 친일지주의 착취를 풍자한 혹농민(或農民)이라는 소인극(素人劇)을 공연하여 부락민들의 항일의식과 사회주의 사상을 고취하였다. 또한 동년 10월 이기홍 등의 동지와 함께 청년반을 조직하고 책임자로 활동하였다.그런데 이와 같은 활동을 펴던 중 조직이 노출되어 그를 비롯한 동지들은 1934년 2월 중순 일경에 피체되었다.그는 1936년 12월 28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징역 1년 6월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註·판결문(1936. 12. 28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조선일보(1934. 9. 7, 1936. 12. 31)
조동선(趙東善)
전남 완도(莞島) 사람이다.1929년 4월 서울 경신학교(儆新學校) 3학년에 재학하고 있을 때 악질적인 교사들을 배척하기 위한 운동을 주동하다가 퇴학당하고, 일본 동경(東京)에서 입명관대학(立命 大學) 전문부에 진학하였다가 1931년 11월 귀국하여 향리에서 농업에 종사하였다.그 뒤 1931년 12월 중순 전남 완도(莞島)에서 동지들과 함께 완도군 내의 농민운동과 어민운동의 활동방법을 협의하고 유력한 인사들을 이 운동에 참가시키고 동지를 규합할 것을 결의하였다.1932년 11월 완도농민운동을 위하여 우선 소작인과 어업조합원들을 동원하여 소작쟁의(小作爭議)와 어업조합 폐지운동을 일으키고 야학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등 항일투쟁을 위한 활동을 하다가 피체되었다.1936년 12월 28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월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註·판결문(1936. 12. 28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
김인학(金仁學)
전남 완도(莞島) 사람이다.그는 1933년 전남운동협의회(全南運動協議會)에 가입하여 항일운동을 폈다.전남운동협의회는 해남(海南) 지역에서 김홍배(金洪培)·오문현(吳文鉉)과 완도에서 황동윤(黃同允)이 중심이 되어 1933년 5월 14일 해남군 북평면 성도암(成道庵)에서 조직된 비밀결사였다.동회는 전남지역의 농민·어민·노동자와 인텔리를 포함한 사회주의 운동의 통일적 지도기관을 목적으로 사무부(事務部)·조직부(組織部)·조사부(調査部)·구원부(救援部)의 조직을 갖추고 기관지로서 ≪농민투쟁(農民鬪爭)≫을 발간하였다.동회는 동년 8월 11일 제3차 전체회의를 열고 운동방안에 관해 협의한 결과 운동대상에서 노동자를 제외하고 농민층을 중심으로 활동영역을 제한하였다. 또한 종래와 같은 위로부터의 조직형태를 지양하고 농촌 각 부락에 2∼5명의 농민반·청년반·소년반을 결성하여 각 반을 면(面) 단위로 확대한 후 이를 각 군(郡)의 적색농민조합의 지부로 삼는 아래로부터의 조직구성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명칭도 적색농민조합 건설준비위원회(赤色農民組合建設準備委員會)로 개칭하였다. 이후 동회는 완도·해남·강진(康津)·장흥(長興)·영암(靈岩) 등의 지방에 53개의 농민반과 26개의 야경단, 28개소의 야학(夜學)을 설치하여 조직확대와 사회주의 사상의 보급에 힘썼다.또한 장흥·해남·완도 등에서 10여 차례의 소작쟁의, 어업조합(漁業組合) 폐지운동, 강제연금 인출투쟁 등을 지도하여 다섯 차례에 걸쳐 목적을 관철하였다.그는 1933년 12월 완도군 군외면 불목리 박동준(朴東俊)의 집에서 박동준 외 1명을 반원으로 하는 청년반을 조직하고 책임자로 활약하였다.그런데 이와 같은 활동을 펴던 중 조직이 노출되어 그를 비롯한 동지들은 1934년 2월 중순 일경에 피체되었다.그는 1937년 1월 광주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1년형을 언도받았으나 일경으로부터 받은 가혹한 고문의 여독으로 동년 2월 13일 순국하였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註·판결문(1936. 12. 28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동아일보(1934. 9. 10)·조선일보(1934. 9. 7, 1936. 12. 31)
박노호(朴魯灝)
전남 완도(莞島) 사람이다. 그는 완도군 고금면(古今面)의 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31년 보성고등보통학교(普成高等普通學校)에 입학하였으나 중퇴한 후 고향에서 농업에 종사하였다.1933년 이기홍(李基弘)의 지도로 사상서적을 탐독하면서 사회주의 사상에 공명하게 되어 전남운동협의회(全南運動協議會)에 가입·활동하였다.전남운동협의회는 해남(海南) 지역에서 김홍배(金洪培)·오문현(吳文鉉)과 완도에서 황동윤(黃同允)이 중심이 되어 1933년 5월 14일 해남군 북평면 성도암(成道庵)에서 조직된 항일비밀결사였다.동회는 전남지역의 농민·어민·노동자와 인텔리를 포함한 사회주의 운동의 통일적 지도기관을 목적으로 사무부(事務部)·조직부(組織部)·조사부(調査部)·구원부(救援部)의 조직을 갖추고 기관지로서 ≪농민투쟁(農民鬪爭)≫을 발간하였다.그는 1933년 9월 2일 황동윤·이기홍 등과 함께 완도군 고금면 청룡리의 부락사무소에서 노동자·농민들의 비참한 생활상과 일제와 친일지주의 착취를 풍자한 혹농민(或農民)이라는 소인극(素人劇)을 공연하여 부락민들의 항일의식과 사회주의 사상을 고취하였다. 또한 동년 10월 이기홍 등의 동지와 함께 청년반을 조직하고 책임자로 활동하였다.그런데 이와 같은 활동을 펴던 중 조직이 노출되어 그를 비롯한 동지들은 1934년 2월 중순 일경에 피체되었다.그는 1936년 12월 28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징역 1년 6월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註·판결문(1936. 12. 28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조선일보(1934. 9. 7, 1936. 12. 31)
추천자료
1930년대 여성들의 농촌계몽운동과 절제운동
[백범 김구][김규식][남북협상][통일운동][김구][남북][통일]백범 김구와 김규식의 남북협상 ...
[사회복지][사회복지운동단체][사회복지서비스][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제도][사회복지체계][...
여성운동과 여성복지(여성운동연합의 활동을 중심으로 접근)
[여성평화운동][여성평화운동 현황][여성평화운동 발전과제][여성평화운동 실천방안]여성평화...
[장애인자립생활][장애인자립생활운동]장애인자립생활의 정의, 장애인자립생활의 기초, 장애...
[대학교 학생회][학생회]대학교의 정의, 대학교의 실태, 대학교 학생회의 형성, 대학교 학생...
[소비자 운동]의 개념, 의의, 대상 및 유형, 운동 전개, 문제점과 해결 방안
[소비자 운동]의 개념, 의의, 대상 및 유형, 운동 전개, 문제점과 해결 방안
인보관운동, 자선조직협회, 새마을운동의 복지적 속성과 오늘날 사회 복지발전에 기여한 점을...
1920년대 민족해방운동 [민족 유일당 운동. 신간회 운동]
5 18광주민주항쟁(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화운동) 국제화, 5 18광주민주항쟁(5 18광...
[중소기업][지식재산권운동]중소기업의 정의, 중소기업의 중요성, 중소기업의 성장배경, 중소...
[교황][교황 탄생][교황 정치][교황 적그리스도][교황 수도원운동][교황 성공회][정치][적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