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 선호와 사회복지정책 정향간의 상관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치 선호와 사회복지정책 정향간의 상관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2. 조사․연구․분석 범위 및 내용
3. 조사․연구․분석 방법

Ⅱ. 가치 선호에 관한 가치변화이론

Ⅲ. 가치 선호와 사회복지정책 정향간의 상관성

1. 가치 선호와 일반 배경변수간의 상관성
2. 가치 선호와 사회복지정책 정향간의 상관성

Ⅳ. 결 론

본문내용

가치 선호자들은 ‘참여하지 않겠다’는 응답률에서, 후기물질주의적 가치 선호자들은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에서 각각 높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다.
구 분
현 한국의 소득보장 수준에 대한 평가
전체
매우 적극
적 참여
참여
그저 그렇다
참여하지 않음
전혀 참여
하지 않음
잘 모름
물질
주의
가치 선호
빈도(명)
35
188
46
9
9
1
288
*1
12.2%
65.3%
16.0%
3.1%
3.1%
.3%
100.0%
*2
53.0%
66.7%
51.7%
81.8%
90.0%
100.0%
62.7%
후기물질주의
가치 선호
빈도(명)
31
94
43
2
1
171
*1
18.1%
55.0%
25.1%
1.2%
.6%
100.0%
*2
47.0%
33.3%
48.3%
18.2%
10.0%
37.3%


빈도(명)
66
282
89
11
10
1
459
*1
14.4%
61.4%
19.4%
2.4%
2.2%
.2%
100.0%
*2
100%
100%
100%
100%
100%
100%
100%
pearson ²=14.660; 자유도=5; 유의확률=.012
*1=가치선호의 %; *2=향후 사회복지 개선을 위해 활동할 의지 정도의 %
Ⅳ. 결 론
앞에서 논의한 잉글하트의 가치변화이론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세대변수, 교육의 정도, 성별 변수 등이 본 연구결과에 그대로 적용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적실성을 찾을 수 있다고 보겠다.
가치 선호와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정향간의 상관성 조사 분석에서 네 가지 사회복지정책과 관련된 정향 즉, (1) 현 정부가 집행하는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정향, (2) 현 한국의 소득보장 수준에 대한 정향, (3) 현 한국에서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할 복지 분야, (4) 사회복지 개선을 위한 활동에 참여할 의지의 정도에서는 매우 유의미한 차별성 내지 상관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조사 분석결과를 통해 잉글하트의 가치변화 이론에 근거한 가치 선호와 사회복지정책 정향간에는 매우 적실한 상관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평 가
이 논문을 쓰기 위하여 전북지역의 3개 대학에 500부의 설문지를 직접 면접 조사를 통해 실시하고, 처음에 제기된 문제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한 것에 대해 칭찬을 보내고 싶다.
몇 가지 아쉬운 점에 대해 지적하자면 가치 선호와 사회복지정책과의 상관성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할 때 다양한 연령층을 조사하여야 보편적이고 타당할 것 같은데이 논문에서는 전북에 소재해 있는 대학생들만을 중심으로 조사했다는 것이 일반화의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의 사회복지 수준에 대한 설문, 정부의 국민 건강에 대한 정책 수준에 대해서, 한국의 교육정책 수준에 대해서 대학생들이 제대로 파악한 상태에서 설문에 응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또한 잉글하트의 가치변화이론에 의하면 물질주의적 가치로부터 후기물질주의적 가치로의 변화는 연령과 교육정도에 따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이 논문에서는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였고 대학생들을 조사하였기에 교육정도에 따른 밀접한 연관성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잉글하트의 가치 변화 이론과 일정부분 그 적절성이 인정되지만 전체가 인정될 수 없다고 하겠다.
저자는 “가치 선호와 사회복지정책 정향간의 상관성”에 대해 논제 하고자 잉글하트의 가치변화이론을 사용하여 논제를 하였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의 “가치변화이론”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고 오직 잉글하트의 이론만을 범위로 한정하였기에 기타 다른 이론과 비교가 되지 않아 물질주의적 가치와 후기물질주의적 가치에 대한 추론이 일방적인 결론만을 제시한 것 같다.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6.09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79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