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청주시 동별 인구밀도 및 면적
2. 년도별 인구추이
3. 인구추이와 인구밀도등에 관한 그래프들..
2. 년도별 인구추이
3. 인구추이와 인구밀도등에 관한 그래프들..
본문내용
의 활성화와 대규모 아파트단지 건설등으로 인해 사직.사창동의 인구는 감소하고 반대로 가경.복대동의 인구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강서1동은 최외곽지역으로 면적은 30.71로 다른 동에 비해 상당히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나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보다는 밭 4.89 논 8.51 임야 11.36등의 비주거지역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인구밀도는 낮다.
이로 볼 때 남주동 주변의 도심만이 인구밀도가 높았던 60~70년대에 비해 70년대 이후 도시개발의 활성화와 대규모 아파트단지 건설등으로 인해 주변지역의 인구가 점차 증가했고 도심 주변으로 아파트 단지들이 많이 들어섰음을 알 수있다.
하지만 이후 도심의 지가 상승과 주변지역의 계획된 개발. 대규모 아파트단지의 외곽지역 건설등과 도심에 있던 기능들이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주변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 그리고 75년에서 92까지 갑작스런 3차산업발달로 1차 산업이 점차 희박해지자 무심천 주위에 모여있을 필요성을 잃는등으로 주변지역으로의 인구이동이 일어나게 되어 2000년에는 남주동에서 가경.복대동까지의 고른 인구분포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의 쇼핑센터등의 외곽지역 입점과 외곽지역의 개발등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볼 때 외곽지역의 인구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 조사를 하면서 강을 끼고 발달된 도시들이 기능변화에 의해 주변으로 확산되어가는 현상이 흥미로웠고, 책에서의 인구공동화현상이 정확히 들어맞지 않는 것처럼 무조건적으로 책에만 의존하지는 말아야한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해 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0^*
강서1동은 최외곽지역으로 면적은 30.71로 다른 동에 비해 상당히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나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보다는 밭 4.89 논 8.51 임야 11.36등의 비주거지역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인구밀도는 낮다.
이로 볼 때 남주동 주변의 도심만이 인구밀도가 높았던 60~70년대에 비해 70년대 이후 도시개발의 활성화와 대규모 아파트단지 건설등으로 인해 주변지역의 인구가 점차 증가했고 도심 주변으로 아파트 단지들이 많이 들어섰음을 알 수있다.
하지만 이후 도심의 지가 상승과 주변지역의 계획된 개발. 대규모 아파트단지의 외곽지역 건설등과 도심에 있던 기능들이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주변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 그리고 75년에서 92까지 갑작스런 3차산업발달로 1차 산업이 점차 희박해지자 무심천 주위에 모여있을 필요성을 잃는등으로 주변지역으로의 인구이동이 일어나게 되어 2000년에는 남주동에서 가경.복대동까지의 고른 인구분포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의 쇼핑센터등의 외곽지역 입점과 외곽지역의 개발등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볼 때 외곽지역의 인구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 조사를 하면서 강을 끼고 발달된 도시들이 기능변화에 의해 주변으로 확산되어가는 현상이 흥미로웠고, 책에서의 인구공동화현상이 정확히 들어맞지 않는 것처럼 무조건적으로 책에만 의존하지는 말아야한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해 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