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반도체 산업의 미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시장의 1/2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장기적인 품귀현상도 해소되어 가격은 연초 대비 30% 하락함. 16M는 약 550엔이고 32M는 1,000엔으로 약세이며, 128M NAND는 약 1,400엔임
- 현재 시장에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휴대전화용 NOR형이고, 앞으로는 Data file용 (NAND/AND형)이 중심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현재는 플래시 메모리 시장의 20%를 점유하고 있음
- Data file용 플래시는 도시바, 히타찌, 삼성전자 등 3社가 시장의 약 3할을 점유하고 있으며, File용 시장은 2002년에 3,000∼4,000억엔 시장으로 성장예상
- 도시바는 대용량 대응차원에서 NAND형으로 전환하고 16M∼256M가 중심인 0.16㎛에 의한 512M도 발표함. 전체 생산금액은 약 400억엔으로 추정. 2002년도는 1,000억엔을 목표. 도시바는 미국 SanDisk와 합작으로 버지니아주에 700억엔을 투자한 신공장을 건설함.
- 삼성은 File용 시장에서 30% 시장점유율을 갖고 1G 플래시 메모리를 출하
- 플래시 메모리에서 강유전체 메모리(FeRAM)으로의 전환도 앞으로 중요한 과제임
<대만의 대형 Wafer Fab 건설계획>
업체명
공장
건설지
제품
프로세스
착공
양산
初期
月産
能力(枚)
量産時月産
能力
(枚)
TSMC
Fab 6B
台南
파운드리
0.15
2000. 7
2001.2/4
4,500
TSMC
Fab 12
新竹
파운드리
0.13
2001. 4
2001.12
25,000
TSMC
Fab 14
台南
파운드리
0.13
2001. 9
2002.2/4
30,000
UMC
Fab
12A
台南
파운드리
0.13
2001. 3
2002.2/4
7,000
20,000
ProMOS
Fab 2
新竹
DRAM
0.14
2001. Q4
2002.2/4
9,000
20,000
Nanya
Fab 3
桃園
DRAM
0.15
2002. Q2
2003.1/4
20,000
SiS
Fab 2
台南
Core
Logic
0.15
2002
하반기
20,000
Winbond
Fab 6
台南
DRAM
0.18
2003
20,000
Power
chip
Fab 2
新竹
DRAM
0.15
2001. Q2
2002.3/4
7500∼
10000
25,000
(자료 : ITIS)
□ 대만 반도체 산업, 미·일에 이어 세계 3위 세력으로 약진하고 있으나 2001년에는 다시 대불황을 겪고 있음
- 대만 반도체 산업은 디바이스, 장치·재료를 포함하여 1조엔 이상의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고 미·일에 이어 3위의 세력으로 약진하고 있음.
- 대만업체들이 거대한 투자를 행하는 것이 특징(300㎜ 웨이퍼 양산)이며
- 0.13㎛의 양산기술 확립에 대부분의 업체가 성공하여 TSMC는 세계 선두로 0.1㎛ 양산을 2002년 후반에 개시할 예정
- 국제분업의 흐름에 따라 실리콘 파운드리로 크게 발전하고 있으며
TSMC, UMC의 공장 가동율은 40%로 격감하였으며 파운드리는 수주산업이라는 약점을 드러내고 있음
- 최근에는 휴대, 디지털 가전 등 분야에서 일본과의 교류촉진을 급속히 추 진하고 있음
- 기업의 도산이 증가하고 있으며 실업률은 일본보다 큼
<한국 주요부품 업체별 생산증설 계획>
업체명
품목
투자액(円)
투자시기(년)
삼성전자
반도체
5,000억
2001-2002
TFT LCD
1,000억
2001-2002
삼성SDI
유기EL
110억
2001
PDP
230억
2001
삼성전기
각종부품
430억
2001
LG전자
유기EL
80억
2001
PDP
200억
2001
LG필립스LCD
TFT LCD
1,200억
2001-2002
LG전선
광부품
125억
2001
케이블
65억
2001
LG이노텍
각종부품
18억
2001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700억
2001
두산전자BG
PCB원판
45억
2001-2002
□ 한국 반도체/액정산업, 2001년은 대불황
- D램 분야에서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반도체가 전세계에서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가격면에서도 시장을 리드하고 있음
- 집중적인 거대한 투자, 최첨단 Process 그리고 최첨단 장치도입 등의 전략으로 메모리 분야에서 선두 자리를 차지하고 있음
- TFT 분야는 삼성, LG 등의 한국업체들이 시장을 리드하고 있음
- 2001년은 가격하락으로 급속히 하락, 하이닉스는 1조 5천억엔의 막대한
적자를 기록
- PC용 반도체에 근거한 전략에 한계성을 드러내었으며 System LSI 등으로 이행하고 싶지만 인프라가 없는 상황
- PDP 유기 EL 등 일본세를 Catch-up 하고 있음
<중국의 최신 FAB 현황>
업체명
추정치
(억불)
Rule
(μm)
Size
사업
형태
생산
시기
생산량
(월)
기타
GSMC
16.3
0.25
8인치
파운드리
2002/7
5만매
상해
SMIC
15
0.25
8인치
파운드리
2002/5
4.5만매
상해
ASMC
7
0.35
8인치
파운드리
2003
3만매
상해
華夏
13.35
0.25
8인치
파운드리
2002
4.5만매
북경
訴創
2
0.35∼0.8
6인치
파운드리
2002
2만배
북경
□ 중국 반도체 시장은 2010년에 세계 최대시장으로 부상전망.
전공정 공장건설 급속히 추진
- 중국 반도체 시장은 현재 2조엔 정도로 금후에도 연간 15% 이상의 고성장을 이루어 2010년에는 세계 시장의 13%를 점유하여 세계 최대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13억의 거대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에는 고소득자가 4억명이며, 화이트칼라의 월급여는 1만 5,000엔, 엔지니어는 4만 5천엔임
- 퍼스컴은 2000년에 700만대를 출하하였으며 휴대용은 2000년말에 7,000만대를 출하함. 일본의 보급대수를 상회하여 2003년에도 2억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2001년부터 제10차 5개년 계획에 따라 북경에 20동, 상해에 40동 등 합계 60동의 반도체 신공장을 건설할 계획
- 현재 5곳에서 전공정 공장이 건설중에 있으며(53억 6,500만불 투자)
- 대만의 불황으로 상해에 인적자원이 몰리고 있으며 일본으로부터의 지원
도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
- 상해의 주식시장은 동경에 이어 80조엔 시장으로 성장함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6.15
  • 저작시기2003.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9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