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개인 예정 교리의 배경
제 2 장 개인 예정 교리의 발전
제 3 장 칼빈주의, 아르미니안주의, 그리고 웨슬레주의의 신학적 특징
제 4 장 정통 신학에 끼친 웨슬레안의 영향
제 5장 특별 예정 교리에 의해 야기된 신학적 갈등
제 6장 성령에 대한 웨슬레의 교리가 신학에 끼친 영향
제 2 장 개인 예정 교리의 발전
제 3 장 칼빈주의, 아르미니안주의, 그리고 웨슬레주의의 신학적 특징
제 4 장 정통 신학에 끼친 웨슬레안의 영향
제 5장 특별 예정 교리에 의해 야기된 신학적 갈등
제 6장 성령에 대한 웨슬레의 교리가 신학에 끼친 영향
본문내용
앙의 정수는 단순히 믿음이 아니라 사랑이다. 즉 믿음의 시작이 곧 사랑의 시작인 것이다. 웨슬레주의는 구원이 부분적으로는 하나님에 의하고 부분적으로는 인간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하지 않는다. 믿음은 정확히 자기 노력의 종착점이다. 그러나 그것은 능동적인 사랑과 복종에 의하여 특정지어지고 무한의 발전에 의해 지배받는 계속적인 신뢰이다. 복종과 사랑을 포함하고 그 자체가 역동적이며 하나님의 은총에 계속적으로 응답하는 믿음은 다른 사람들과의 전반적인 윤리적 관계와 하나님을 향하는 전적인 사랑에 전념하도록 이끈다. 이것이 '완전한 사랑' 또는 '성결'인 것이다.
제 6장 성령에 대한 웨슬레의 교리가 신학에 끼친 영향
웨슬레안-아르미니안의 가르침이 성화 후의 성장과 문제점들을 간과하고 성화의 극적인 면을 강조하는 데 반해 케스윅 사람들은 분리의 측면이나 결정적이고 극적인 면을 무시하는 성자의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둘 다 어떤 심각한 사회적 책임성은 회피하고 개인의 영적인 삶을 위한 상습적인 은둔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두 신학적 교파간의 갈등은 인격의 심리학에 초점이 갖춰져 온건한 칼빈주의자들과 케스윅파는 인간의 본성 자체는 원죄에 의해 부패하여 그것은 신자이건 아니건 간에 모든 사람들의 생각, 말, 행동에 어쩔 수 없이 영향을 끼치며 신실한 웨슬레안들은 또한 무의식의 삶에 의해 제기된 문제들을 깨닫게 된다고 한다. 둘 다 승리의 삶에 관심을 가지고는 있으나 승리의 기초와 본질이 서로 상반되며 그리스도인의 삶이 산출하게 될 것에 대한 기대들이 서로 매우 다르다.
결론적으로 사랑은 실제적인 힘이며 성결은 실제적으로 살아 있고 자라는 것이다. 믿음과 사랑은 함께 자라며 믿음이 하나님의 약속을 굳게 잡고 자신의 뜻을 하나님의 뜻에 일치시키면 시킬수록 사랑은 완전해지고 사랑이 완전해질수록 믿음은 강건해지는 것이다. 건전하고 담대하며 적극적인 그리스도인의 생활에 필요한 것은 성결의 의미와 내용이며 성결은 곧 사랑인 것이다. 사랑은 실제가 아닌 원칙에서만 우리를 구원하는 추상적이며 전가되고 비실재적인 구원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총으로 우리와 근본 자아에 작용하며 자아와 함께 상호 작용하고 우리의 존재에 인격체의 모든 요소들을 성령의 내주하심에 의해 주 예수 그리스도의 지배 아래로 가져 오게 하는 것인데 구원은 하나님의 작정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렇지 않으면 죄 가운데서 절망적으로 멸망한다는 구원관과는 아주 다른 것이다.
제 6장 성령에 대한 웨슬레의 교리가 신학에 끼친 영향
웨슬레안-아르미니안의 가르침이 성화 후의 성장과 문제점들을 간과하고 성화의 극적인 면을 강조하는 데 반해 케스윅 사람들은 분리의 측면이나 결정적이고 극적인 면을 무시하는 성자의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둘 다 어떤 심각한 사회적 책임성은 회피하고 개인의 영적인 삶을 위한 상습적인 은둔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두 신학적 교파간의 갈등은 인격의 심리학에 초점이 갖춰져 온건한 칼빈주의자들과 케스윅파는 인간의 본성 자체는 원죄에 의해 부패하여 그것은 신자이건 아니건 간에 모든 사람들의 생각, 말, 행동에 어쩔 수 없이 영향을 끼치며 신실한 웨슬레안들은 또한 무의식의 삶에 의해 제기된 문제들을 깨닫게 된다고 한다. 둘 다 승리의 삶에 관심을 가지고는 있으나 승리의 기초와 본질이 서로 상반되며 그리스도인의 삶이 산출하게 될 것에 대한 기대들이 서로 매우 다르다.
결론적으로 사랑은 실제적인 힘이며 성결은 실제적으로 살아 있고 자라는 것이다. 믿음과 사랑은 함께 자라며 믿음이 하나님의 약속을 굳게 잡고 자신의 뜻을 하나님의 뜻에 일치시키면 시킬수록 사랑은 완전해지고 사랑이 완전해질수록 믿음은 강건해지는 것이다. 건전하고 담대하며 적극적인 그리스도인의 생활에 필요한 것은 성결의 의미와 내용이며 성결은 곧 사랑인 것이다. 사랑은 실제가 아닌 원칙에서만 우리를 구원하는 추상적이며 전가되고 비실재적인 구원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총으로 우리와 근본 자아에 작용하며 자아와 함께 상호 작용하고 우리의 존재에 인격체의 모든 요소들을 성령의 내주하심에 의해 주 예수 그리스도의 지배 아래로 가져 오게 하는 것인데 구원은 하나님의 작정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렇지 않으면 죄 가운데서 절망적으로 멸망한다는 구원관과는 아주 다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