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도예와 인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도예와 인성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KBS 스페셜 ‘도자기’ 핵심내용
1부, 흙으로부터
2부. 신비의 자기
3부. 이슬람의 유산
4부. 청화의 제국
5부. 도전의 세기
6부. 문명을 넘어

3. 결론

-과거에 도자강국이던 중국과 한국이
현재 유럽이나 미국시장에 따라가고 있지 못하고 있는
현실인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KBS 스페셜 ‘도자기’ 영상물을 보고 느낀 점

본문내용

가 아니라 사소하게 보여지던 도자기라는 것을 하나로 전 세계의 문화와 역사를 훑어보게 했다. 사실 저번 과제를 하면서도 느낀 것이지만 이런 시간을 통해서가 아니면 따로 도자기나 그 고매한 정신들을 향유해 볼 수 있는 시간이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나는 6편의 영상을 보면서 그저 감탄 아닌 감탄을 했던 것이 기억에 남는다. 그리고 조금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되었다. 수업시간에 배웠던 도예에 대한 기본 지식을 영상을 보며 대입하고 되짚어보고 깨우쳐가는 날 발견했기 때문이다. 도자에 대해서는 완전히 무지했던 내가 영상물을 보며 그 내용을 알아듣고, 이해하고 있다는 사실이 기쁨으로 다가 왔다.
도자기라는 매개체를 세계적인 시선으로 펼쳐낸 이 다큐멘터리는 도자기의 역사를 통해 아시아와 유럽 그리고 이슬람 문화가 어떻게 교류하고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 했는지 시각적 효과와 동시에 음향적 효과까지 두루 갖춰 잘 보여주었다. 고감도의 영상과 음악을 배경으로 완성도 있는 영상물이 되었는데 나는 영상물을 보면서도 음악에 계속 귀가 기울여졌었다. 영상과 너무나도 맞아떨어지는 분위기의 음악이 내 감성을 자극했는데 영상을 다 보고나서 추후에 내가 다시 찾아보니 내가 참 좋아하는 재일 작곡가인 ‘양방언’님의 음악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음악적인 요소까지 모두 신경을 쓴 사실을 알게 되니 더더욱 이 영상물에 관심이 가게 되고, 영상을 소유해 다시 한 번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중국이 최초로 만들고 이슬람의 영향을 받아 유럽이 완성시킨 거대한 문명의 교류를 보며 그 속에서 소외된 조선이라는 작은 나라에 가슴이 아팠다. 그 당시의 하이테크놀로지인 도자기술을 고려와 조선을 나름대로 수용해 세계에서 몇 안 되는 도자기의 생산국이었음에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일본에게 그 자리를 내주게 되는 역사가 못내 아쉬웠다. 그리고 이 영상물을 보면서 우리나라도 언젠가는 우리가 가진 고매한 정신과 힘으로 세계문명을 아우르며 명성을 떨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도자기’ 그것은 흙으로 빚어낸 것이지만 또한 그릇이나 자기에 그치지 않고 국한되지 않으며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과, 문화, 또 정신을 담고 있는 세계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자기는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정말 소중하고 중요한 생활도구이고 또 때로는 아름다운 장식품이며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이어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라 칭할 수 있는 것 같다.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6.15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97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