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주체사상의 형성과정
2) 주체사상의 내용
Ⅲ. 결론: 주체사상이 북한에 미친 영향
Ⅱ. 본론
1) 주체사상의 형성과정
2) 주체사상의 내용
Ⅲ. 결론: 주체사상이 북한에 미친 영향
본문내용
째, 주체사상은 노동당이 수령과 인민대중을 결속시키는 하나의 조직기구로서 보았으며 그로 인하여 당을 크게 만들었다. 모든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한다는 국가의 당 중에 북한의 노동당이 인구 비례로 볼 때 당원이 제일 많다. 이런 많은 당원은 주민감시, 주민동원에 도움이 된다. 넷째, 주체사상의 4대 원칙의 하나인 국방에서의 자위는 결국 군대를 비대하게 만들었으며 그 때문에 북한의 정치가 군인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었고 결국 북한은 군사문화가 군림하는 사회가 되었다. 지금 평양의 거리는 “선군 정치 만세”라는 구호가 쓰인 현수막들이 도처에 많이 걸려있다고 한다.
주체사상은 현 시기 북한에는 적절하지 않은 사상이다. 먼저 시대가 바뀌고 사회조건이 변하였는데 30여 년 전에 발달된 사상을 그냥 적용한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사회주의를 건설한다는 사람들이 수령관, 조직관 또는 군중관을 포함한 혁명관을 가지고 국민의 권리를 무시하는 정치를 한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며 시대의 요구에 어긋나는 일이다. 앞으로 김정일의 과제는 어떻게 자기가 만든 주체사상을 수정하여 북한의 사정에 맞게 통치이념을 세워서 북한주민의 의·식·주를 해결할 것인가 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하겠다.
주체사상은 현 시기 북한에는 적절하지 않은 사상이다. 먼저 시대가 바뀌고 사회조건이 변하였는데 30여 년 전에 발달된 사상을 그냥 적용한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사회주의를 건설한다는 사람들이 수령관, 조직관 또는 군중관을 포함한 혁명관을 가지고 국민의 권리를 무시하는 정치를 한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며 시대의 요구에 어긋나는 일이다. 앞으로 김정일의 과제는 어떻게 자기가 만든 주체사상을 수정하여 북한의 사정에 맞게 통치이념을 세워서 북한주민의 의·식·주를 해결할 것인가 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