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역 (Measles)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홍 역 (Measle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홍역의 정의
2. 홍역의 원인
3. 홍역의 병태생리
4. 홍역의 임상증상 및 진단법
1) 잠복기
2) 발진기
3) 회복기
4) Koplik 반점의 특징
5. 홍역의 합병증
6. 홍역의 예방
1) 능동면역
2) 수동면역
3) 백신 접종시 부작용
7. 홍역 백신접종시 주의 및 금기사항
8. 홍역의 약물요법
9. 홍역의 백신 종류
10. 홍역의 치료약물
11.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홍역의 정의
홍역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급성 발열성 발진의 전염성 질환이다.
2. 홍역의 원인
홍역의 원인은 홍역 바이러스이며 주로 호흡기를 통해 전염된다.
3. 홍역의 병태생리
일단 바이러스가 호흡기 상피 세포로 들어가면 증식이 시작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감수성이 있는 세포를가 파괴되고 합포체를 형성하여 세포융합을 촉진한다. 또한 세포 골격의 파괴, 염색체 파괴, 핵과 세포질 내 봉입체의 출현이 일어난다. 초기의 증식 후에는 림프양 조직과 골수, 간, 기타 장기, 안구, 피부를 포함하는 다른 부위로의 바이러스 파급이 일어난다. 전구기 동안 바이러스 혈증이 관찰되며 viruria는 발진이 생긴 후 4일까지 지속된다. 또한 흉선의 Hassal's corpuscle, 모세혈관 내피세포, 간 내피세포 내에서 바이러스의 증식이 일어난다. 바이러스 혈증 시기에 홍역 바이러스는 T와 B 림프구, 대식세포, 중성 백혈구에 감염을 일으킨다. 이들은 감염된 후 심각하게 융해되지 않지만 면역글로불린 합성과 중성백혈구에 의한 산소라디칼(oxygen radical)의 생성을 방해한다. 감염 초기에 naturalkiller cell과 세포독성 T세포가 바이러스 증식을 제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세포들과 면역활성의 결과로 생산되는 cytokine들이 초기의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발진이 생기는 시기에 림프구가 피부와 점막 병변에 있는 바이러스의 증식 부위에서 특정 항체가 발견된다. 이러한 일은 allergy의 발생(예를 들면 tuberculin과 같은 피부 검사항원에 대한 과민 반응이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가 소실되어 임상적인 회복이 일어나는 시기에 앞서서 일어난다. 그리고 분열유발성 자극(mitogenic stimuli)에 대한 반응에서 시험관 내 림프구 증식과 cytokine 합성이 감소된다. 점막 병변인 Koplik 반은 수포형성과 상피괴사로 이루어져 있다. Koplik 반의 조직 소견은 세포질과 핵내 봉입체, 거대세포와 세포내 부종을 나타낸다. 핵과 세포질 내 봉입체를 보여주는 다핵 상피 거대세포는 구강 점막에서 전구기와 급성기에 관찰된다. 덧붙여 망내계 거대세포가 림프절, 편도, 비장, 흉선을 포함하는 비후성 림프 양 조직에서 관찰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6.18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6202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