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和語
2.漢語
3.外来語
4.混種語
2.漢語
3.外来語
4.混種語
본문내용
가 생겨 일본어가 된 경우가 많다. 예를들어 「スタ」는 star의 기본적인 의미는 없이「花刑」(스타)의 의미만 포함되어 있다. 별이라는 단어는 오래전부터 있었기 때문에 이 의미가 들어올 필요는 없고 파생적인 의미 하나만 들어온 것이다. 「ネム」(이름)는「ネムプレト」(명찰)「ネムバリュ」(네임밸류)와 같은 복합어성분은 별개로 두고, 단독으로는 背(세피로, 신사복)과 같은 의복과 가방과 같은 소유물에 넣는 자신의 이름에 한정되어 사용되어진다. 외래어는 어떠한 의미로 국한되어진 의미를 가지는 것이 많다.
외래어가 의미체계의 어느방면에 분포되어 있는가에 관해서 일본고유어로 본것과 같은 조사를 실시한 결과(4.1, p.82),「1.4 생산물 및 용구」가 다른 4개의 분야보다 상당히 높았다. (19%). 그중에서도
1.42 의복(スカト、ポケット、…)(30%)
1.46 기계(カメラ、テレビ、…)(29%)
1.41 자재(ボタン、ゴム、…)(21%)
1.43식재료(バタ、コヒ、…)(21%)
와 같은 것에 대해 외래어가 눈에 띄게 많다. 현재의 생활에서 떨어뜨릴 수 없게 된 외래어의 추상명사는 상당수 있지만, 외래어는 해외의 인공문물과 함께 들어온 것이 많기 때문에 그것을 말로 표현하는 구체명사가 수량적으로는 상대적으로 많은 편은 아니다.
외래어의 기본적으로 일본고유어와 달리 가지는 큰 약점은 일본인 전체에 보급되어 있지 않고 이해되어지지 않는 위험을 쉽게 동반하는게 되는 것이다. 외래어의 보급도에 관해서는 얼마 되지않는 조사의 하나를 보는 것으로 이 문제에 관한 실마리를 찾아보는 것으로 하자. 국립국어연구소가 1963년에 마츠에시 시민을 대상으로 말할 때 사용하는 단어에 관해 표본조사를 실시했을 때 부차적인 테마로 실시한 것이다. 그 결과의 일부가 표 4.1 이다. 조사의 내용은 몇 개의 성질로 분류되는 수십개의 외래어를 시민들에게 보여주고 「모르는 단어」에 대해서 표시를 하는 것 이었다. デパト、スピド、コンクル、ホムラン과 같은 단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었고 일반적인 외래어가 되어있었다. 가장 알려져있지 않았던 말은 プレタポルテ(고급기성복)였다. バカンス와プレタポルテ는 외래어로써 거의 비슷한 시기에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나 조사까지의 반년간 バカンス는 유명제조회사의 강력한 선전에 의해서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 P. 90 -
이 결과로부터 보면 외래어는 한결같은 속도로 전파되는 것은 아니었다. 남녀의 차이에 관해서 야구용어는 남성, 의복과장식품용어는 여성가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후 물어본 결과 ホムラン은 남녀모두 잘 알고 있었고, ハッスル、ルキ는 남성쪽이 잘 알고 있었다. ダツ、フリル를 모르는 여성은 예상과 같이 남성의 절반 이하였다. 남녀의 차 이외에도 연령차와 같은 것에도 조사를 해본 가운데 두 개정도의 요점을 뽑아서 보자면 먼저 젊은 층 쪽에 널리 알려진 단어가 많았지만, モボ(모던보이), モガ(모던걸)은 쇼와초기에 유행어였기 때문에 역시 고 연령층이 잘 알고 있었다. 학력에 따른 차에 대해서는 예외도 있지만 대략 고학력자일수록 잘 알고있는 경향이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외래어는 단어에 따라서 보급도에 큰 차이가 있는 것, 남녀, 연령에 따라서 균일적이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용(容, 모습이 달라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알파벳 약어(줄임말)가 많이 사용되어지기 시작된지로 꽤 오랜 시간이 지났다. NIKE, SKD와 같은 외래어와는 관계가 없는 것도 있고, 또한 표기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외래어로부터 유래되는 것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편의상 외래어의 입장에서 조금 접해보도록 하자.
표 4.1 외래어의 보급도(마츠에시민 대상 조사, 1963년) - 石綿 1965より
男
女
計
デパト
1
1
スピド
1
1
コンクル
2
2
4
ジュニア
51
74
125
バカンス
15
25
40
ホムラン
1
1
ハッスル
67
255
322
ルキ
127
286
413
ダツ
152
56
208
フリル
177
86
268
プレタポルテ
252
328
577
モボ、モガ
168
255
418
ミサイル
9
38
48
ボイコット
28
82
110
アンケトに答えた人
296
392
688
- P. 91 -
두자어가 어디에 사용되고 있는지를 아사히신문의 조간일일분만 조사하는 최소의 조사를 해보았다. 전40페이지 안에서 전명광고 페이지 등을 제외하고 24페이지를 조사했다. 결과는 두자어가 나오는(표제어도 본문도 구별하지 않고) 기사의 개수는 41, 두자어의 수는 53이었다. (하나의 기사에 같은 두자어가 몇 번 나와도 한 번으로 세었다.) GHQ, NPO 등은 복수의 기사에 나왔기 때문에, 두자어의 다른 어수는 46이 된다. CD, NTT처럼 익숙한 말은 예외로하고, 「名目生産(GDP)」처럼 두자어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없고 거의 한자어를 설명하는 말과 함께 사용되었기 때문에 대게 그 뜻의 이해에는 지장이 없다. 『大林第二版』의 권말의 부록 중 하나는 「알파벳약어」라는 40페이지 정도의 리스트가 있어, 약 5천어를 담고 있다. 신문에서 고른 46개의 두자어를 이 리스트에 있어서 제외할까 말까를 조사해봤다. 그러자 34개의 어가 리스트에 올랐다. 예를 들면,
NPO [Nonprofit organization] 비영리사업체. → エヌピ―オ―
처럼 사서본체 중에 찾아낸 항목을 보는 것처럼 유도하는 것이 27어 있고, 다른 것은,
QC [quality control] 품질관리. 제품의 품질을 통계분석하고 과학적 관리하는 수법.처럼 본체에서 찾은 항목은 없고, 그 곳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⑷ 혼종어
지금까지 봐왔던 3종의 어종 중에 다른 어종의 요소가 하나의 단어 중에서 섞여서 생긴 단어가 혼종어라고 불린다. 3종 중에서 2종의 결합과 결합의 전후관계에 있어서
(和+漢)場面 (漢+和) 重箱 (外+漢) 生ビル
(外+ 和) ビル風 (漢+外) 老人ホム (外+漢) スポツ選手
의 6개의 형식이 있다. 「ビル風公害」도 만약 이것을 하나의 단어라고 인지한다면 3종의 어종에서 되는 혼종어라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무엇을 단어라고 인정함에 있어서 혼종어의 범위는 크게 변화해왔다.
- P. 92 -
외래어가 의미체계의 어느방면에 분포되어 있는가에 관해서 일본고유어로 본것과 같은 조사를 실시한 결과(4.1, p.82),「1.4 생산물 및 용구」가 다른 4개의 분야보다 상당히 높았다. (19%). 그중에서도
1.42 의복(スカト、ポケット、…)(30%)
1.46 기계(カメラ、テレビ、…)(29%)
1.41 자재(ボタン、ゴム、…)(21%)
1.43식재료(バタ、コヒ、…)(21%)
와 같은 것에 대해 외래어가 눈에 띄게 많다. 현재의 생활에서 떨어뜨릴 수 없게 된 외래어의 추상명사는 상당수 있지만, 외래어는 해외의 인공문물과 함께 들어온 것이 많기 때문에 그것을 말로 표현하는 구체명사가 수량적으로는 상대적으로 많은 편은 아니다.
외래어의 기본적으로 일본고유어와 달리 가지는 큰 약점은 일본인 전체에 보급되어 있지 않고 이해되어지지 않는 위험을 쉽게 동반하는게 되는 것이다. 외래어의 보급도에 관해서는 얼마 되지않는 조사의 하나를 보는 것으로 이 문제에 관한 실마리를 찾아보는 것으로 하자. 국립국어연구소가 1963년에 마츠에시 시민을 대상으로 말할 때 사용하는 단어에 관해 표본조사를 실시했을 때 부차적인 테마로 실시한 것이다. 그 결과의 일부가 표 4.1 이다. 조사의 내용은 몇 개의 성질로 분류되는 수십개의 외래어를 시민들에게 보여주고 「모르는 단어」에 대해서 표시를 하는 것 이었다. デパト、スピド、コンクル、ホムラン과 같은 단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었고 일반적인 외래어가 되어있었다. 가장 알려져있지 않았던 말은 プレタポルテ(고급기성복)였다. バカンス와プレタポルテ는 외래어로써 거의 비슷한 시기에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나 조사까지의 반년간 バカンス는 유명제조회사의 강력한 선전에 의해서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 P. 90 -
이 결과로부터 보면 외래어는 한결같은 속도로 전파되는 것은 아니었다. 남녀의 차이에 관해서 야구용어는 남성, 의복과장식품용어는 여성가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후 물어본 결과 ホムラン은 남녀모두 잘 알고 있었고, ハッスル、ルキ는 남성쪽이 잘 알고 있었다. ダツ、フリル를 모르는 여성은 예상과 같이 남성의 절반 이하였다. 남녀의 차 이외에도 연령차와 같은 것에도 조사를 해본 가운데 두 개정도의 요점을 뽑아서 보자면 먼저 젊은 층 쪽에 널리 알려진 단어가 많았지만, モボ(모던보이), モガ(모던걸)은 쇼와초기에 유행어였기 때문에 역시 고 연령층이 잘 알고 있었다. 학력에 따른 차에 대해서는 예외도 있지만 대략 고학력자일수록 잘 알고있는 경향이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외래어는 단어에 따라서 보급도에 큰 차이가 있는 것, 남녀, 연령에 따라서 균일적이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용(容, 모습이 달라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알파벳 약어(줄임말)가 많이 사용되어지기 시작된지로 꽤 오랜 시간이 지났다. NIKE, SKD와 같은 외래어와는 관계가 없는 것도 있고, 또한 표기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외래어로부터 유래되는 것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편의상 외래어의 입장에서 조금 접해보도록 하자.
표 4.1 외래어의 보급도(마츠에시민 대상 조사, 1963년) - 石綿 1965より
男
女
計
デパト
1
1
スピド
1
1
コンクル
2
2
4
ジュニア
51
74
125
バカンス
15
25
40
ホムラン
1
1
ハッスル
67
255
322
ルキ
127
286
413
ダツ
152
56
208
フリル
177
86
268
プレタポルテ
252
328
577
モボ、モガ
168
255
418
ミサイル
9
38
48
ボイコット
28
82
110
アンケトに答えた人
296
392
688
- P. 91 -
두자어가 어디에 사용되고 있는지를 아사히신문의 조간일일분만 조사하는 최소의 조사를 해보았다. 전40페이지 안에서 전명광고 페이지 등을 제외하고 24페이지를 조사했다. 결과는 두자어가 나오는(표제어도 본문도 구별하지 않고) 기사의 개수는 41, 두자어의 수는 53이었다. (하나의 기사에 같은 두자어가 몇 번 나와도 한 번으로 세었다.) GHQ, NPO 등은 복수의 기사에 나왔기 때문에, 두자어의 다른 어수는 46이 된다. CD, NTT처럼 익숙한 말은 예외로하고, 「名目生産(GDP)」처럼 두자어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없고 거의 한자어를 설명하는 말과 함께 사용되었기 때문에 대게 그 뜻의 이해에는 지장이 없다. 『大林第二版』의 권말의 부록 중 하나는 「알파벳약어」라는 40페이지 정도의 리스트가 있어, 약 5천어를 담고 있다. 신문에서 고른 46개의 두자어를 이 리스트에 있어서 제외할까 말까를 조사해봤다. 그러자 34개의 어가 리스트에 올랐다. 예를 들면,
NPO [Nonprofit organization] 비영리사업체. → エヌピ―オ―
처럼 사서본체 중에 찾아낸 항목을 보는 것처럼 유도하는 것이 27어 있고, 다른 것은,
QC [quality control] 품질관리. 제품의 품질을 통계분석하고 과학적 관리하는 수법.처럼 본체에서 찾은 항목은 없고, 그 곳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⑷ 혼종어
지금까지 봐왔던 3종의 어종 중에 다른 어종의 요소가 하나의 단어 중에서 섞여서 생긴 단어가 혼종어라고 불린다. 3종 중에서 2종의 결합과 결합의 전후관계에 있어서
(和+漢)場面 (漢+和) 重箱 (外+漢) 生ビル
(外+ 和) ビル風 (漢+外) 老人ホム (外+漢) スポツ選手
의 6개의 형식이 있다. 「ビル風公害」도 만약 이것을 하나의 단어라고 인지한다면 3종의 어종에서 되는 혼종어라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무엇을 단어라고 인정함에 있어서 혼종어의 범위는 크게 변화해왔다.
- P. 92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