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두의 개요
2. 수두의 역학
3. 수두의 병태생리
4. 수두의 임상증상
5. 수두의 진단
6. 수두의 치료
7. 수두의 예방
8. 수두 치료의 주요사용 약물
9. 수두 조사의 참고문헌
2. 수두의 역학
3. 수두의 병태생리
4. 수두의 임상증상
5. 수두의 진단
6. 수두의 치료
7. 수두의 예방
8. 수두 치료의 주요사용 약물
9. 수두 조사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수두의 개요
1) 수두는 대부분 소아에서 발생하고, 소포성 피부발진을 나타내는 전신성•접촉성 바이러스 감염질환이다.
2) 수두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에 의해 생기며 성인에서 대상포진을 일으키도 한다.
3) VZV - 5개 이상의 glycoprotein을 갖는 α-herpesvirininae계 바이러스로 Double stranded DNA의 분자량은 80 million, 인간이 유일한 natural host이다.
4) 발진이 머리부터 몸통 손이나 발바닥까지 여기저기 돋아서, 작고 부드러운 물집이 되어 몇 시간이 지나면 터지고 작은 딱지가 된다. 발진은 한 번에 2-3개씩 나고 몸, 얼굴, 머리에서 나기 시작하고 사지로 퍼져 나간다. 여러 개의 딱지가 앉은 뾰루지들 틈에서 2-3개의 작은 물집이 새로 생긴 경우 진단할 수 있다. 딱지는 긁어내면 된다. 수두를 긁어 세균이 감염되어 종기가 될 수 있다.
2. 수두의 역학
1) 수두는 환자의 타액에 의한 비말감염(droplet infection)이나 직접접촉에 의해 유행성으로 퍼진다.
2) 호발연령은 5∼9세로서 전염성이 매우 강해서 감수성 있는 사람이 가족 내 접촉시 거의 100% 감염된다.
3) 계절상으로는 늦겨울에서 초봄 사이에 호발(3월경이 가장 많이 나타남)하고 산발적으로 초여름과 늦가을에도 발생한다. 열대지방보다 온대지방에서 더 잘 전염된다.
4) 유치원이나 학교 등 단체생활은 하는 곳에서 집단적으로 발생한다.
5) 불현성 감염은 드물고(4%이하) 정상소아 경우 증상이 나타나지만 대부분 경미하다. 면역기능이 떨어진 소아나 신생아, 성인에서는 증상과 합병증이 심할 수 있다.
6) 발진이 나타나기 전에 먼저 감염되어서 발견하기 어려운데 이는 호흡기 분비물에서 분리되지 않고, 발진 후에도 분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7) 첫번째 발진이 있은 후 대개 5일 동안 전염성이 있다.(5일간 환자 격리 필요)
8) 공기로 감염 - varicella 환자
1) 수두는 대부분 소아에서 발생하고, 소포성 피부발진을 나타내는 전신성•접촉성 바이러스 감염질환이다.
2) 수두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에 의해 생기며 성인에서 대상포진을 일으키도 한다.
3) VZV - 5개 이상의 glycoprotein을 갖는 α-herpesvirininae계 바이러스로 Double stranded DNA의 분자량은 80 million, 인간이 유일한 natural host이다.
4) 발진이 머리부터 몸통 손이나 발바닥까지 여기저기 돋아서, 작고 부드러운 물집이 되어 몇 시간이 지나면 터지고 작은 딱지가 된다. 발진은 한 번에 2-3개씩 나고 몸, 얼굴, 머리에서 나기 시작하고 사지로 퍼져 나간다. 여러 개의 딱지가 앉은 뾰루지들 틈에서 2-3개의 작은 물집이 새로 생긴 경우 진단할 수 있다. 딱지는 긁어내면 된다. 수두를 긁어 세균이 감염되어 종기가 될 수 있다.
2. 수두의 역학
1) 수두는 환자의 타액에 의한 비말감염(droplet infection)이나 직접접촉에 의해 유행성으로 퍼진다.
2) 호발연령은 5∼9세로서 전염성이 매우 강해서 감수성 있는 사람이 가족 내 접촉시 거의 100% 감염된다.
3) 계절상으로는 늦겨울에서 초봄 사이에 호발(3월경이 가장 많이 나타남)하고 산발적으로 초여름과 늦가을에도 발생한다. 열대지방보다 온대지방에서 더 잘 전염된다.
4) 유치원이나 학교 등 단체생활은 하는 곳에서 집단적으로 발생한다.
5) 불현성 감염은 드물고(4%이하) 정상소아 경우 증상이 나타나지만 대부분 경미하다. 면역기능이 떨어진 소아나 신생아, 성인에서는 증상과 합병증이 심할 수 있다.
6) 발진이 나타나기 전에 먼저 감염되어서 발견하기 어려운데 이는 호흡기 분비물에서 분리되지 않고, 발진 후에도 분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7) 첫번째 발진이 있은 후 대개 5일 동안 전염성이 있다.(5일간 환자 격리 필요)
8) 공기로 감염 - varicella 환자
추천자료
[노숙자][노숙자지원사업][노숙][홈리스][노숙자쉼터]노숙자의 정의, 노숙자의 원인, 노숙자...
[청소년비행][여성비행청소년]청소년비행의 정의, 청소년비행의 관점, 청소년비행의 원인과 ...
[사막화]사막화의 이해(정의, 발생 원인, 영향, 피해), 사막화 문제의 심각성과 국내외 사막...
[근골격계질환]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정의,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원인 및 근골격계질환(...
[인간공학] 한국 중화학 공업의 근골격게질환의 실태와 문제점 {근골격계 질환의 정의와 발생...
공무원 부정부패 : 공무원 부정부패의 원인과 대처방안 ; 공무원 부정부패의 유형 및 대처방...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자폐장애 (自閉障碍 / autistic disorder) - 자폐장애의 정...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정의(개념)와 특성(특징) 및 원인(요인), ADHD의 치료
[ 저출산 문제과 해결방안연구 레포트 ] 저출산 정의,원인,문제점분석과 저출산 해결방안,선...
동맥류 (동맥류 정의, 동맥류 병태생리, 동맥류 원인, 동맥류 분류, 동맥류 호발부위, 동맥류...
심근경색증 MI ( 심근경색증 정의, 심근경색증 원인, 심근경색증 병태생리, 심근경색증 증상,...
고혈압 hypertension (고혈압 정의, 고혈압 분류, 고혈압 원인, 고혈압 병태생리, 고혈압 간...
[당뇨병 연구레포트] 당뇨병 정의,원인,증상분석및 당뇨병 치료법과 예방법분석및 나의의견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