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론
Ⅱ.본 론
1.정서에 관하여
1)한국인의 정서가 만들어지기까지의 배경
2)한국인의 정서
부정적인 면
긍정적인 면
3)한국인의 정서에 따른 과제
2.한
1)한의 자의
2)한의 두 가지 면
어두운 면
밝은 면
3.한국인의 정서와 한
Ⅲ.결론
Ⅱ.본 론
1.정서에 관하여
1)한국인의 정서가 만들어지기까지의 배경
2)한국인의 정서
부정적인 면
긍정적인 면
3)한국인의 정서에 따른 과제
2.한
1)한의 자의
2)한의 두 가지 면
어두운 면
밝은 면
3.한국인의 정서와 한
Ⅲ.결론
본문내용
화에 있어서 결투나 복수는 거의 인연이 없는 것이었다. 한국 사람은 자기 몫의 한을 \'삭이면서\' 살아왔던 것이다. 적어도 한을 \'삭이면서\' 살아가는 것을 윤리적 덕목으로 생각하였던 것이다. 한국인은 한을 삭이면서 인간으로 성숙해가고,그 한을 즐기면서 멋을 구하였던 것이다. 한은 한국인에 의하여 끊임없이 투사되고 표상됨으로써 멋.슬기를 생성하여온 것이다.
한국적 한에 있어서의 이 \'삭임\'의 기능을 무력한 순응주의, 퇴영적 체념주의의 표상이라고 일도양단식으로 재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물론 한국적 한은 그런 부정적인 방향으로 기울어질 개연성을 짙게 간직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도 하다. 한국적 한에 있어서의 이러한 속성은 자칫하면 한국인 특유의 체념주의, 순응주의, 패배주의에로 나아갈 개연성을 갖는 것이며, 한국적 한이 중요한 한 속성으로서 내포하는 여성 편향성도 이러한 속성과 무관하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한국적 한은 공적, 집단적 문제로서 표상되는 경우보다는 이보영이 지적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사적(私事的)\'인 문제로서 표상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도 한국적 한의 그러한 속성과 긴밀히 관련되는 면이다.
한국적 한에 있어서의 이 \'삭임\'의 행위에는 의외로 끈기있는 지향성이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삭임\'의 행위자체는 참고 견디는 행위이므로 행동적,외향적인 관점에서 보면 소극적이다. 이에는 이, 눈에는 눈, 하는 식의 투쟁적 논리로 보자면 이는 결국 약자의 윤리라 할 수 밖에 없는 것은 사실이기도 하다. 그러나 \'삭임\'의 행위는 윤리적인 관점에서 볼 때 보복의 악순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끈기가 있다. \'삭임\'의 행위는 \'삭음\'이 이루어질 때까지의 꾸준한 지향성을 전제로 한다. 우리 민족의 동질성으로서 명명한 바 \'은근과 끈기\' 중의 끈기는 한국적 한의 이 \'삭임\'의 지향성과 상통한 바 있다고 할 것이다.
Ⅲ. 결론
한 나라의 국민성이나 민족성 같은 것은 전부 해석하기 나름이고, 그것이 장점이냐 단점이냐는 그때 그때의 상황에서 이것이 될 수도 있고 저것이 될 수도 있음을 알았을 것이다.
한국인의 정서에서의 한은 참고 견디는 끈기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부정적으로만 비취어지는 한국인의 정서들을 장점으로 승화시켜 나가는 것도 큰 과제인 것 같다.
참고문헌-
한의 구조 연구, 천이두, 문학과 지성사,1993
한국인의 일상문화, 김종수, 일상문화연구회, 1996
한국인의 자기발견, 김대환, 김영사, 1993
한국적 한에 있어서의 이 \'삭임\'의 기능을 무력한 순응주의, 퇴영적 체념주의의 표상이라고 일도양단식으로 재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물론 한국적 한은 그런 부정적인 방향으로 기울어질 개연성을 짙게 간직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도 하다. 한국적 한에 있어서의 이러한 속성은 자칫하면 한국인 특유의 체념주의, 순응주의, 패배주의에로 나아갈 개연성을 갖는 것이며, 한국적 한이 중요한 한 속성으로서 내포하는 여성 편향성도 이러한 속성과 무관하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한국적 한은 공적, 집단적 문제로서 표상되는 경우보다는 이보영이 지적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사적(私事的)\'인 문제로서 표상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도 한국적 한의 그러한 속성과 긴밀히 관련되는 면이다.
한국적 한에 있어서의 이 \'삭임\'의 행위에는 의외로 끈기있는 지향성이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삭임\'의 행위자체는 참고 견디는 행위이므로 행동적,외향적인 관점에서 보면 소극적이다. 이에는 이, 눈에는 눈, 하는 식의 투쟁적 논리로 보자면 이는 결국 약자의 윤리라 할 수 밖에 없는 것은 사실이기도 하다. 그러나 \'삭임\'의 행위는 윤리적인 관점에서 볼 때 보복의 악순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끈기가 있다. \'삭임\'의 행위는 \'삭음\'이 이루어질 때까지의 꾸준한 지향성을 전제로 한다. 우리 민족의 동질성으로서 명명한 바 \'은근과 끈기\' 중의 끈기는 한국적 한의 이 \'삭임\'의 지향성과 상통한 바 있다고 할 것이다.
Ⅲ. 결론
한 나라의 국민성이나 민족성 같은 것은 전부 해석하기 나름이고, 그것이 장점이냐 단점이냐는 그때 그때의 상황에서 이것이 될 수도 있고 저것이 될 수도 있음을 알았을 것이다.
한국인의 정서에서의 한은 참고 견디는 끈기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부정적으로만 비취어지는 한국인의 정서들을 장점으로 승화시켜 나가는 것도 큰 과제인 것 같다.
참고문헌-
한의 구조 연구, 천이두, 문학과 지성사,1993
한국인의 일상문화, 김종수, 일상문화연구회, 1996
한국인의 자기발견, 김대환, 김영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