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1 - 염색법
1. 단일염색법 (simple stain)
2. 그람염색법 (Gram stain)
3. 그람음성(간균, 구균)균의 분류
1) 세균 Gram염색하기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및 배경
3. 실험도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결과
6. Gram 양성균, 음성균 종류
7. 주의점
실험 2 - 배지
1. 한천배지 (Agar)
2. 평판배지 도말과정
2) 세균 배지 만들기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및 배경
3. 실험도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결과
① 대장균 배지
② 일반 세균 배지
6. 주의점
1. 단일염색법 (simple stain)
2. 그람염색법 (Gram stain)
3. 그람음성(간균, 구균)균의 분류
1) 세균 Gram염색하기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및 배경
3. 실험도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결과
6. Gram 양성균, 음성균 종류
7. 주의점
실험 2 - 배지
1. 한천배지 (Agar)
2. 평판배지 도말과정
2) 세균 배지 만들기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및 배경
3. 실험도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결과
① 대장균 배지
② 일반 세균 배지
6. 주의점
본문내용
에 쥐고 작균한다.
3. 평판을 놓고 미사용 평판을 쥐고 평판에 도말한다.
실험 2) 세균 배지 만들기
1. 실험목적
동물의 배설물의 균은 어떻게 자라는지, 일반 세균(먼지)은 어떻게 자라는지, 배지를 만들어 익힌다.
2. 실험원리 및 배경
배지는 미생물을 생육시키기 위한 각종 영양소의 혼합물이다. 배지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고체배지는 액체배지에 한천(Agar) 1.5~2.0% 넣어 고화시킨 것으로 한천배지는 미생물의 보존, 미생물의 순수분리, 미생물의 발육상 관찰, 미생물의 생균수 측정, 미생물의 운동성 관찰(Semisolid agar) 등을 할 수 있다.
3. 실험도구 및 시약
대장균 배지, 일반세균 배지
4. 실험방법
실험사진
1. 대장균 배지(왼쪽), 일반세균 배지(오른쪽)를 준비한다. 대장균 배지에 동물의 배설물을 도말한다. 일반세균 배지에 창틀의 먼지를 면봉으로 문질러 도말한다.
2. 배지를 뒤집어서 놓은 후 incubator에 넣는다.
5. 결과
① 대장균 배지 : 색이 분홍색에서 점차 연한황색으로 변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도말한 부위가 갈색으로 변했고 가스방울이 많이 생겼다. 대장균이 잘 번식했음을 알 수 있다.
② 일반 세균 배지 : 연한 노란색이던 배지가 점차 투명하게 변한 것을 볼 수 있다. 안타깝게도 곰팡이가 많이 생겨서 일반 세균 콜로니를 확인하는 것은 힘들었다. 일반 세균 콜로니는 생각보다 잘 자라지 않았다.
6. 주의점
대장균의 종류 : 대장균 중에는 식중독을 유발하는 몇 가지 종류의 병원성 세균이 있다.
장관병원성 대장균(Enteropathogenic E. coli; EPEC), 장관침입성 대장균(Enteroinvasive E. coli; EIEC), 장관독소원성 대장균(Enterotoxigenic E. coli; ETEC), 장관출혈성 대장균(Enterohemorrhagic E. coli; EHEC) 등 4가지 주요 군으로 나눈다. 그 중에서도 대장균 O157:H7은 베로독소(Verotoxin)를 형성하여 심한 경우 출혈성 대장염과 어린이나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에게는 용혈성 요독증후군(HUS), 성인 환자에게서는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TTP)으로 생명
을 앗아가는 장관출혈성 대장균이다.
일반세균의 종류 : 토양, 물, 하수에 서식하는 Acinetobacter 속은 Gram 음성으로 피부나 점막을 덮고 있기도 하며 장내 세균들과 집락이나 성장 형태가 비슷하다.
Flavobacterium 속은 호기성 Gram 음성 간균으로 자연계에 폭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토양과 물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Bacillus 속은 음성 간균이며 대부분 비병원성이지만 B. anthracis, B.cereus 등은 병원성이다. B.cereus는 토양과 수중, 공기 또는 식물 표면과 그 밖의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그 외에도 Proteus 속, Micrococcus 속, Klebsiella 속, Serratia 속, Pseudomonas 속 등이 있다.
4. 도말순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해야 한다.
3. 평판을 놓고 미사용 평판을 쥐고 평판에 도말한다.
실험 2) 세균 배지 만들기
1. 실험목적
동물의 배설물의 균은 어떻게 자라는지, 일반 세균(먼지)은 어떻게 자라는지, 배지를 만들어 익힌다.
2. 실험원리 및 배경
배지는 미생물을 생육시키기 위한 각종 영양소의 혼합물이다. 배지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고체배지는 액체배지에 한천(Agar) 1.5~2.0% 넣어 고화시킨 것으로 한천배지는 미생물의 보존, 미생물의 순수분리, 미생물의 발육상 관찰, 미생물의 생균수 측정, 미생물의 운동성 관찰(Semisolid agar) 등을 할 수 있다.
3. 실험도구 및 시약
대장균 배지, 일반세균 배지
4. 실험방법
실험사진
1. 대장균 배지(왼쪽), 일반세균 배지(오른쪽)를 준비한다. 대장균 배지에 동물의 배설물을 도말한다. 일반세균 배지에 창틀의 먼지를 면봉으로 문질러 도말한다.
2. 배지를 뒤집어서 놓은 후 incubator에 넣는다.
5. 결과
① 대장균 배지 : 색이 분홍색에서 점차 연한황색으로 변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도말한 부위가 갈색으로 변했고 가스방울이 많이 생겼다. 대장균이 잘 번식했음을 알 수 있다.
② 일반 세균 배지 : 연한 노란색이던 배지가 점차 투명하게 변한 것을 볼 수 있다. 안타깝게도 곰팡이가 많이 생겨서 일반 세균 콜로니를 확인하는 것은 힘들었다. 일반 세균 콜로니는 생각보다 잘 자라지 않았다.
6. 주의점
대장균의 종류 : 대장균 중에는 식중독을 유발하는 몇 가지 종류의 병원성 세균이 있다.
장관병원성 대장균(Enteropathogenic E. coli; EPEC), 장관침입성 대장균(Enteroinvasive E. coli; EIEC), 장관독소원성 대장균(Enterotoxigenic E. coli; ETEC), 장관출혈성 대장균(Enterohemorrhagic E. coli; EHEC) 등 4가지 주요 군으로 나눈다. 그 중에서도 대장균 O157:H7은 베로독소(Verotoxin)를 형성하여 심한 경우 출혈성 대장염과 어린이나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에게는 용혈성 요독증후군(HUS), 성인 환자에게서는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TTP)으로 생명
을 앗아가는 장관출혈성 대장균이다.
일반세균의 종류 : 토양, 물, 하수에 서식하는 Acinetobacter 속은 Gram 음성으로 피부나 점막을 덮고 있기도 하며 장내 세균들과 집락이나 성장 형태가 비슷하다.
Flavobacterium 속은 호기성 Gram 음성 간균으로 자연계에 폭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토양과 물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Bacillus 속은 음성 간균이며 대부분 비병원성이지만 B. anthracis, B.cereus 등은 병원성이다. B.cereus는 토양과 수중, 공기 또는 식물 표면과 그 밖의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그 외에도 Proteus 속, Micrococcus 속, Klebsiella 속, Serratia 속, Pseudomonas 속 등이 있다.
4. 도말순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해야 한다.
추천자료
Gram staining
대장균군수 측정법
gram staining, acid-fast staining, spore staining
제 2군 법정 전염병-디프테리아와 백일해
Clostridium difficile
Pneumonia(폐렴)
미생물의 형태와 염색
어류(넙치)에서 비브리오 확인(추출) 실험
[미생물학실험] 미생물 배양실험 및 피부미생물종류
6. 최적확수법(MPN)
일반 미생물학 - 병원균 조사
★ 임상미생물학및실험 - 미생물보고서(MacConkey agar Test, TSl Test, API KIT, E- test)
자궁경관염, 골반염증성질환, 골반결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