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판구조론이 나오게 된 배경
① 19세기 이전의 지구관
② 대륙이동설이 제안되고 비판받는 과정(1910~1930년)
③ 대륙이동설이 잊혀진 기간(1930~1950년)
④ 대륙이동설이 다시 태어나는 과정
2. 판구조론
3. 윌슨주기
4. 판 이동의 원동력
5. 플룸구조론
① 19세기 이전의 지구관
② 대륙이동설이 제안되고 비판받는 과정(1910~1930년)
③ 대륙이동설이 잊혀진 기간(1930~1950년)
④ 대륙이동설이 다시 태어나는 과정
2. 판구조론
3. 윌슨주기
4. 판 이동의 원동력
5. 플룸구조론
본문내용
간단해 보이는데 문제는 해령 자체가 섭입하는 곳[예: 동태평양 해령이 북아메리카 대륙 아래로 섭입]이 있기 때문에 연약권의 대류로는 이러한 현상을 설명할 수 없다.
판에 작용하는 직접적인 힘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 해령 아래에서 마그마가 상승하면서 판을 양쪽으로 미는 힘이다. 둘째, 해구를 따라 내려가는 판이 잡아당기는 힘이다. 셋째, 해령에서 해구까지 점점 깊어지면서 생긴 기울기 때문에 판 자체가 미끄러지는 힘이다.
8. 플룸구조론
판구조론은 지구 표면의 중요한 지질 현상인 대륙의 이동, 조산운동, 화산작용, 지진현상 등에 대해 통일된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즉 많은 지질 현상이 판들이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동안 판과 판의 경계면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지구의 상층부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국한되어 있으며 맨틀의 깊은 곳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그 한 가지 예가 열점이다. 판구조 운동과는 관련이 없는 지질현상이 하와이 섬과 같은 판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산활동이 그것이다. 이러한 열점 화산활동은 판구조론에 대하여 큰 문제점을 던져 주었다.
판 이동의 궁극적인 힘이 맨틀대류에 의해서 나온다면 맨틀의 움직임을 정확히 이해하는 일이 중요해 보인다. 최근 지진파의 특성을 이용하여 지구 내부를 삼차원적으로 표현하려는 연구[지진파토모그래피]에 의하여 지구 내부의 모습을 그려내기 시작하였다.
이 연구에 의하면 맨틀 하부에 뜨거운 물질이 상승하는 부분이 있으며, 이를 플룸이라 부르고 플룸이 지표에서는 열점으로 표현된다는 설명이다. 플룸을 따라 상승한 맨틀물질은 지표에서 암석권을 이루어 옆으로 이동하게 되고, 해구에서 섭입하여 상부 맨틀과 하부 맨틀의 경계에 모이게 된다. 이렇게 섭입하여 모인 물질이 많이 쌓이면 차갑고 거대한 암석덩어리를 이루어 하부 맨틀 속으로 가라앉아 맨틀의 바닥까지 내려가게 된다는 설명이다. 바닥에 도달한 차가운 덩어리는 주변의 뜨거운 물질을 밀어내어 플룸을 형성시키고, 그러면 새로운 상승류가 생성된다는 해석이다.
<출처>
1p 3~ 8줄 [지구의 이해] 204~206쪽
1p 12~ 26줄 [지구의 이해] 206~208쪽
1p 30~ 2p 14줄 [지구의 이해] 209~211쪽
2p 20~ 29줄 [지구시스템과학] 132~133쪽
2p 33~ 39줄
3p 1 ~ 3줄 [지구시스템과학] 134쪽
3p 6 ~ 17줄 http://blog.naver.com/root924/140022801303
3p 30~ 4p 6줄 [숨마쿰라우데] 113쪽
3p 30~ 10줄 [숨마쿰라우데] 111~112쪽
4p 14~ 17줄 [숨마쿰라우데] 113~114쪽
4p 표 http://blog.naver.com/zgangsicz/40104341847
5p 5~ 19줄 [지구과학개론] 8~9쪽
5p 23~ 6p 12줄 [지구의 이해] 229~230쪽
6p 15~ 33줄 http://mybox.happycampus.com/good79es/590622/?agent_type=naver
판에 작용하는 직접적인 힘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 해령 아래에서 마그마가 상승하면서 판을 양쪽으로 미는 힘이다. 둘째, 해구를 따라 내려가는 판이 잡아당기는 힘이다. 셋째, 해령에서 해구까지 점점 깊어지면서 생긴 기울기 때문에 판 자체가 미끄러지는 힘이다.
8. 플룸구조론
판구조론은 지구 표면의 중요한 지질 현상인 대륙의 이동, 조산운동, 화산작용, 지진현상 등에 대해 통일된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즉 많은 지질 현상이 판들이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동안 판과 판의 경계면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지구의 상층부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국한되어 있으며 맨틀의 깊은 곳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그 한 가지 예가 열점이다. 판구조 운동과는 관련이 없는 지질현상이 하와이 섬과 같은 판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산활동이 그것이다. 이러한 열점 화산활동은 판구조론에 대하여 큰 문제점을 던져 주었다.
판 이동의 궁극적인 힘이 맨틀대류에 의해서 나온다면 맨틀의 움직임을 정확히 이해하는 일이 중요해 보인다. 최근 지진파의 특성을 이용하여 지구 내부를 삼차원적으로 표현하려는 연구[지진파토모그래피]에 의하여 지구 내부의 모습을 그려내기 시작하였다.
이 연구에 의하면 맨틀 하부에 뜨거운 물질이 상승하는 부분이 있으며, 이를 플룸이라 부르고 플룸이 지표에서는 열점으로 표현된다는 설명이다. 플룸을 따라 상승한 맨틀물질은 지표에서 암석권을 이루어 옆으로 이동하게 되고, 해구에서 섭입하여 상부 맨틀과 하부 맨틀의 경계에 모이게 된다. 이렇게 섭입하여 모인 물질이 많이 쌓이면 차갑고 거대한 암석덩어리를 이루어 하부 맨틀 속으로 가라앉아 맨틀의 바닥까지 내려가게 된다는 설명이다. 바닥에 도달한 차가운 덩어리는 주변의 뜨거운 물질을 밀어내어 플룸을 형성시키고, 그러면 새로운 상승류가 생성된다는 해석이다.
<출처>
1p 3~ 8줄 [지구의 이해] 204~206쪽
1p 12~ 26줄 [지구의 이해] 206~208쪽
1p 30~ 2p 14줄 [지구의 이해] 209~211쪽
2p 20~ 29줄 [지구시스템과학] 132~133쪽
2p 33~ 39줄
3p 1 ~ 3줄 [지구시스템과학] 134쪽
3p 6 ~ 17줄 http://blog.naver.com/root924/140022801303
3p 30~ 4p 6줄 [숨마쿰라우데] 113쪽
3p 30~ 10줄 [숨마쿰라우데] 111~112쪽
4p 14~ 17줄 [숨마쿰라우데] 113~114쪽
4p 표 http://blog.naver.com/zgangsicz/40104341847
5p 5~ 19줄 [지구과학개론] 8~9쪽
5p 23~ 6p 12줄 [지구의 이해] 229~230쪽
6p 15~ 33줄 http://mybox.happycampus.com/good79es/590622/?agent_type=naver
추천자료
『Forbes지가 선정한 미국을 만든 비즈니스 영웅 20』
전략적 인사 관리에 대한 이해와 분석
아동 보육
알프레드 테니슨
유아기 영양관리 (유아의 성장 발달과 영양관리)
유아기 영양관리 (유아의 성장 발달과 영양관리)
청소년기 영양관리 (청소년기 성장발육 및 영양관리)
청소년기 영양관리 (청소년기 성장발육 및 영양관리)
청소년기 영양관리 ppt자료(청소년기 성장발육 및 영양관리)
아동기(학동기) 영양관리 (학동기의 성장발육 및 영양관리)
노인기 영양관리 ppt자료 (노인기 식이-운동요법)
Borda 진자를 사용하여 그 지점의 중력가속도
구심력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