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arning과 디지털 리터러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지식정보사회의 도래

2. e-learning

3. 디지털리터러시

본문내용

는 데에 있다(강정인, 1997 ; 유영만, 1999 재인용)
, 인터넷 기반의 정보사회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우리사회가 인터넷 보급율을 비롯하여 정보국가대열에 합류한 것은 전적으로 정부의 공이 컸음을 인정하며, 이 점을 높이 평가한다. 그러나 이제 세계는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중심부에 들어서기 위해서는 보다 민간-시민 중심의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는 인간중심적 사고에 기반하여야 한다
) e-learning이 정착된 후에는 교육적이고 윤리적인 측면, 즉 인간적인 차원의 이슈가 보다 강조될 것이다. 이는 사이버공간에서의 e-learning도 역시 인간과 인간과의 정신적 만남을 통해 이루어지는 활동이기 때문이다. e-learning의 향후과제는 이와 같은 교육적, 기술적, 윤리적 이슈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과 나아가 e-learning을 명실공히 사이버교육시대의 교육패러다임으로 정착시키고 발전시키는데 있다(김영수, 2000).
. 지식정보사회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인간을 개발하기 위한 정보 흡수와 타인에게 도움이 되는 지식 창출에 있다. 실제적으로 지식정보사회에서 발생되는 부작용들은 디지털화에 현혹되어 물질에 집착함으로써 발생한다. 지식정보사회에서 인간이 강조되면, 자연히 인간적 지식이 유통되고 이러한 지식을 끊임없이 흡수·방출하기 위한 교육, 특히 e-learning 혁신이 유발됨으로써 학습능력이 진전되며, 그럼으로서 지식의 소통이 원활해지고 지식정보사회가 진화할 것이다.
참고문헌
Brain W. Ruttenbur, Ginger C. Spickler, Sebastian Lurie, eLearning : The Engine of the knowledge economy, Morgan Keegan, 2000, 7,6
Cushing Anderson, elearning : the Definition, the Practice, and the Promise, IDC, 2000.10
Erkii Liikanen, the European Commission(EC) member responsible for the Enterprise and the Information Society (www.crmdaily.com/perl/story/9754.html)
Geoffrey M. Cox, e-learning in post-sencondary education, 7th CERI/OECD, 5th June 2001
Giddens, Anthony, The Third Way : The Renewal of Social Democracy, 제3의 길 (한상진·박찬욱 옮김), 생각의 나무, 1998
Hawes, Douglass K.,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business schools.., Vol. 70, 1994
Jeremy Stuparich, e-learning in Australia : Universities and the new distance education, 7th CERI/OECD, 5th June 2001
Kofi Annan, Information technology should be used to tap knowledge from greatest Universities to bring Learning to all, 2000.8.2
Masie, E., Learning Perspectives, TechLearn TRENDS number 202, 2001.5.14. www.masie.com
Paul Gilster. Digital literacy, John Wiley & Sons, Inc.Newyork, 1997
Peter Drucker, Webucation, Forbes, 2000. 5. 15
Tapscott, D., Growing up digital : The rise of the net generation. New York : McGraw-Hills, 1988
Thornburg, Technology in K-12 education : Envisioning a new future. US, Department of Education (Ed.), White Papers on the Future of Technology in Education, 1999 (www.air.org/forum/wpapers.htm)
Walter S. Baer, "e-learning: A Catalyst for Competition in Higher Education", IMP, 1999.7 (http://www.cisp.org/imp/june_99/06_99baer.htm)
강순희, 지식정보사회의 인력개발정책, 지식정보사회의 철학과 비전에 관한 심포지엄, 경제사회연구회·한국정보사회학회, 2000.6
강정인, 정보화사회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가정보화추진과 시민사회의 참여, 제1회 연구포럼, 1997. 9. 20 (http://ifp.or.kr/academy/cyber/gul6.html)
김문환, 지식기반의 확충과 문화교육, 지식정보사회의 철학과 비전에 관한 심포지엄, 경제사회연구회·한국정보사회학회, 2000.6
김영수, 사이버교육시대의 도래와 교육패러다임의 변천-체제, 내용, 방법, 지식정보사회의 철학과 비전에 관한 심포지엄, 경제사회연구회·한국정보사회학회, 2000.6
김희수, 사이버학교 설립에 관한 토론, 교육정책포럼, 2000
박승관, 지식정보사회의 이상과 한국사회의 현실: 아는 것이 '힘'인가 '병'인가? 크리스챤아카데미 시민사회 정보포럼편. 시민이 열어가는 지식정보사회(pp.29-67). 서울: 대화출판사, 1999
앨빈토플러, 「위기를 넘어서 : 21세기 한국의 비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6
유영만, "지식경영과 elearning의 통합방안 모색", 한국교육공학회, 2001.5.19
유영만, 정보화와 성인학습의 생활화: 사이버 성인학습의 일상화와 전략, 한국성인교육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유지연, 지식기반사회에서의 e-learning 현황 및 전망, 정보통신정책285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9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6.21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11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