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목적 및 배경
제 2 절 연구의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 3 절 연구의 흐름도 및 선행 연구의 검토
1. 연구의 흐름도
2. 선행연구 논문의 분석
3. 선행연구 논문의 시사점
제 2 장 풍수지리와 주거입지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제 1 절 풍수지리
1. 의 의
2. 발생배경
3. 이론적 기초
제 2 절 주거입지
1. 의 의
2. 주거입지의 요인
제 3 장 풍수지리와 주거입지
제 1 절 서 설
제 2 절 풍수와 주거입지
1. 풍수의 구분
2. 풍수지리의 전개
제 3 절 현대풍수와 주거입지
1. 주거입지의 요소
2. 현대풍수와 주거입지의 적용 필요성
3. 현대풍수와 주거입지의 관계
제 4 장 풍수지리의 주거입지를 적용한 현대적 이해
제 1 절 의 의
제 2 절 주거입지의 풍수적용 사례
1. 전통가옥의 풍수적용
2. 주거입지의 아파트 풍수적용
3. 마을 주거입지의 풍수적용
4. 신도시 주거입지의 풍수적용
제 3 절 주거입지의 적용방안
1. 현대적 도시주거 공간의 활용
2. 주거입지와 근린주구이론의 적용
3. 친환경의 조성
제 5 장 결 론
참고문헌
제 1 절 연구의 목적 및 배경
제 2 절 연구의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 3 절 연구의 흐름도 및 선행 연구의 검토
1. 연구의 흐름도
2. 선행연구 논문의 분석
3. 선행연구 논문의 시사점
제 2 장 풍수지리와 주거입지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제 1 절 풍수지리
1. 의 의
2. 발생배경
3. 이론적 기초
제 2 절 주거입지
1. 의 의
2. 주거입지의 요인
제 3 장 풍수지리와 주거입지
제 1 절 서 설
제 2 절 풍수와 주거입지
1. 풍수의 구분
2. 풍수지리의 전개
제 3 절 현대풍수와 주거입지
1. 주거입지의 요소
2. 현대풍수와 주거입지의 적용 필요성
3. 현대풍수와 주거입지의 관계
제 4 장 풍수지리의 주거입지를 적용한 현대적 이해
제 1 절 의 의
제 2 절 주거입지의 풍수적용 사례
1. 전통가옥의 풍수적용
2. 주거입지의 아파트 풍수적용
3. 마을 주거입지의 풍수적용
4. 신도시 주거입지의 풍수적용
제 3 절 주거입지의 적용방안
1. 현대적 도시주거 공간의 활용
2. 주거입지와 근린주구이론의 적용
3. 친환경의 조성
제 5 장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법으로 물의 규모나 흐름의 상태, 수질, 물이 흐르는 방위 등을 살핀다. 박시익, 상게서, p.90~92.
② 물의 규모와 형태
명당은 개천과 같이 작은 물이 있는 곳에서 이루어지는데 작은 물에서 생기는 명당은 수증기가 공기 중에 퍼져 균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지금 서울시에서 복원한 청계천이 바로 명당을 이루는 중요한 물이다. 풍수에서 이상적인 물의 형태를 궁수(弓水)라고 하는데 활의 둥근 모양이나 굽이쳐 돌아가는 형태에서 곡선 중심의 안쪽을 말한다. 이러한 지세에서는 물이 잔잔하고 지기가 모여 좋은 집터를 이루며, 곡선 바깥쪽에는 기운이 모이지 않아 좋은 집터가 되지 못한다. 경북 안동하회 마을이 대표적인 궁수의 경우이다. 직선으로 흐르는 강 좌우에는 바람이 강하게 불기 때문에 기가 모일 수 없다. 풍수로 볼 때 물이 깨끗한 곳에서만 명당이 이루어지고 맑고 깨끗한 물이 있는곳 에서는 훌륭한 인물이 태어나고 사람들이 건강하게 성장 한다. 물의 청탁은 사람의 건강과 행복이 집결되기 때문이다.
③ 물이 흐르는 방향
물이 흐르는 방향은 산이 높고 낮음과 직접 관련된다. 산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경사를 이루듯, 물의 흐름도 산의 경사도와 일치하게 마련이며, 산의 경사도와 물의 경사도가 같은 방향을 이루는 경우를 산수동거 산수동거란 물이 용맥이 나가는 방향과 같이 흘러나가는 것으로 이와 같은 경우 혈에 맺힐 수 없다.
(박시익, 상게서 P.96.)
라고 한다.
가. 주걱형 지세
명당은 물의 흐름이 산의 기운과 서로 마주치는 지역에서 발생한다. 강가에서 명당이 발생되려면 물의 흐름을 걷어 올리는 것처럼 주걱과 같은 지세여야 가능하며, 서울 청계천이 역수 지형이다. 남산 에서 흘러들어온 물이 청계천 7가에서 역수 역수란 물길이 혈을 향해 들어오는 형상으로 충수는 재물이 몰려온 다는 것.(네이버 백과사전)
로 만나게 된다. 청계천 7가는 바로 청계천이 빠져나가는 수구이다. 이곳이 서울의 생기를 만들어 주는 곳이다.
나. 행주형지세(行舟形地勢)
행주형은 강물을 따라 형성되는 명당의 대표적인 형태다. 강가에 물이 굽이쳐서 그 지역이 마치 배의 형태 또는 반달과 같은 형태의 지역을 말한다. 이 휘어나가는 부분이 수구가 된다. 행주형의 도시로는 경주의 반월성과 청주, 평양 등도 행주형 명당으로 알려지고 있다.
④ 수구와 집터
수구 수구의 종류(넓은수구 와 좁은수구), 박시익 상게서 p.101.
란 물이 강이나 개천으로 흘러나가는 부분을 말한다. 명당에서는 수구를 통해 물이 빠져나가더라도 바람은 빠져나가지 않아야 한다. 수구가 막힌 지세에서는 생기가 많이 쌓이기 때문에 큰 부자나 훌륭한 인물이 많이 배출되고 열린 수구 에서는 생기가 전혀 모이지 않아 건강과 재물, 명예를 잃게 된다. 합수(合水) 지역 에서도 명당이 형성되기 쉽다. 두개 이상의 강이나 개천이 하나로 합쳐지는 지세인 합수는 물이 합쳐지면서 기운이 합쳐져 강해지기 때문 이다. 득수란 물을 얻는다는 뜻으로 지세에서 처음 물이보이기 시작한 위치를 말한다. 물이 마지막으로 보이는 지점은 파구(波口)라고 한다. 혈은 용과 물 두 기운이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만큼 지세에 반드시 물이 있어야 명당을 이루게 된다. 골짜기는 물이 없어도 물로 해석된다.
용이 좌우 혼합된 경우에도 득수가 왼쪽이나 오른쪽 한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용이 직선으로 내려갈 경우에는 물이 왼쪽과 오른쪽 양쪽으로 분산되어 흐르게 되는데 이런 경우를 양파(兩波)라고 한다. 이런 지세에서는 가족이나 재물이 흩어지게 된다.
(2) 형국론에 의한 분석
1) 형국(形局)의 개요
형국론이란 형(形)과 국(局)을 주체와 대상으로 삼아서 풍수를 논하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의 풍토적 여건이 산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중국의 풍수가 득수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과 달리 장풍중심으로 형성 되었다. 이러한 자연적 조건은 산악숭배 사상이라는 인문적 조건을 형성시켰고 산을 비롯한 자연에 생명을 부여하였다. 서울 풍수를 논할 때 주체가 되는 진산은 북한산이며 국면은 서울시 경계선을 한계로 삼는다. 주산과 진산이 정해지면 산의 형상을 관산(觀山)하여, 모양새에 명칭을 붙여 간다. 이때는 인물과 동물 또는 식물과 문자 모양이 형국 명칭들의 주류를 이룬다. 일례로 경복궁의 배산인 백악의형상은 선인(仙人) 모양으로 관산 된다. 백악처럼 산봉우리가 뾰족한 형상을 두고, 풍수에서는 선인봉, 신선봉으로 분류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백악이 선인으로 판정되면 이때부터 차림새를 붙여 간다. 차림새는 국면 안에 있는 산천을 대상으로 삼는다. 백악선인의 해당 국면은 인왕산과 낙산 그리고 남산이 감싸고 있는 얼안이 이에 해당 된다. 그중 낙산과 인왕산은 백악에서 뻗어 내린 산줄기로서 이는 선인의 좌측팔과 우측 팔에 해당 되는데, 좌측 팔인 낙산(해발125m)에 비해, 우측 팔인 인왕산(해발333m)이 훨씬 높다. 낙산과 인왕산의좌우 팔들의 높낮이는 춤을 출 때 보는 춤사위를 연상케 한다. 그러므로 선인(백악형상)이 춤을 추는 춤사위의 차림새가 경복궁 풍수의 형국인 것이다. 오늘날 광화문 광장에서 부터 서울시청에 이르는 도로에서 월드컵 축제 등 길거리 축제가 자주 벌어지는 것도 이러한 풍수형국의 영향이라는 설도 있다.
2) 형국론의 유형
① 인물형론(人物形論) 목성과 화성의 형국
인물형론은 산의 형태 인물형론의 형국, 신영대 전게서 P.376.
를 사람에 비유하여 혈처를 찾는 법을 말한다. 사람의 신체 형태로 혈을 맺는 곳이 주로 심장, 단전부위 등이다.
가. 선인망월형(仙人望月形) : 선인이 달을 바라보고 있는 형상
나. 옥녀단장형(玉女丹粧形) : 선녀가 단장을 하고 있는 형상
다. 선인무수형(仙人舞袖形形) : 선인이 소매를 펄럭이며 춤추는 형상
라. 천녀등공형(天女登空形) : 선녀가 하늘을 오르고 있는 형상
② 용사류형(龍蛇類形)수성체(水星體)의 형국
뱀이나 용의 형상 용사류형의 형국, 신영대 전게서 P.376.
으로 혈이 맺히는 곳이 보통 꼬리나 머리부분에 이루어진다고 본다. 입에는 강한 독이 있으므로 흉하다고 간주한다.
가. 이용농주형(夷龍弄珠形) : 두마리 용이 개구리를
② 물의 규모와 형태
명당은 개천과 같이 작은 물이 있는 곳에서 이루어지는데 작은 물에서 생기는 명당은 수증기가 공기 중에 퍼져 균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지금 서울시에서 복원한 청계천이 바로 명당을 이루는 중요한 물이다. 풍수에서 이상적인 물의 형태를 궁수(弓水)라고 하는데 활의 둥근 모양이나 굽이쳐 돌아가는 형태에서 곡선 중심의 안쪽을 말한다. 이러한 지세에서는 물이 잔잔하고 지기가 모여 좋은 집터를 이루며, 곡선 바깥쪽에는 기운이 모이지 않아 좋은 집터가 되지 못한다. 경북 안동하회 마을이 대표적인 궁수의 경우이다. 직선으로 흐르는 강 좌우에는 바람이 강하게 불기 때문에 기가 모일 수 없다. 풍수로 볼 때 물이 깨끗한 곳에서만 명당이 이루어지고 맑고 깨끗한 물이 있는곳 에서는 훌륭한 인물이 태어나고 사람들이 건강하게 성장 한다. 물의 청탁은 사람의 건강과 행복이 집결되기 때문이다.
③ 물이 흐르는 방향
물이 흐르는 방향은 산이 높고 낮음과 직접 관련된다. 산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경사를 이루듯, 물의 흐름도 산의 경사도와 일치하게 마련이며, 산의 경사도와 물의 경사도가 같은 방향을 이루는 경우를 산수동거 산수동거란 물이 용맥이 나가는 방향과 같이 흘러나가는 것으로 이와 같은 경우 혈에 맺힐 수 없다.
(박시익, 상게서 P.96.)
라고 한다.
가. 주걱형 지세
명당은 물의 흐름이 산의 기운과 서로 마주치는 지역에서 발생한다. 강가에서 명당이 발생되려면 물의 흐름을 걷어 올리는 것처럼 주걱과 같은 지세여야 가능하며, 서울 청계천이 역수 지형이다. 남산 에서 흘러들어온 물이 청계천 7가에서 역수 역수란 물길이 혈을 향해 들어오는 형상으로 충수는 재물이 몰려온 다는 것.(네이버 백과사전)
로 만나게 된다. 청계천 7가는 바로 청계천이 빠져나가는 수구이다. 이곳이 서울의 생기를 만들어 주는 곳이다.
나. 행주형지세(行舟形地勢)
행주형은 강물을 따라 형성되는 명당의 대표적인 형태다. 강가에 물이 굽이쳐서 그 지역이 마치 배의 형태 또는 반달과 같은 형태의 지역을 말한다. 이 휘어나가는 부분이 수구가 된다. 행주형의 도시로는 경주의 반월성과 청주, 평양 등도 행주형 명당으로 알려지고 있다.
④ 수구와 집터
수구 수구의 종류(넓은수구 와 좁은수구), 박시익 상게서 p.101.
란 물이 강이나 개천으로 흘러나가는 부분을 말한다. 명당에서는 수구를 통해 물이 빠져나가더라도 바람은 빠져나가지 않아야 한다. 수구가 막힌 지세에서는 생기가 많이 쌓이기 때문에 큰 부자나 훌륭한 인물이 많이 배출되고 열린 수구 에서는 생기가 전혀 모이지 않아 건강과 재물, 명예를 잃게 된다. 합수(合水) 지역 에서도 명당이 형성되기 쉽다. 두개 이상의 강이나 개천이 하나로 합쳐지는 지세인 합수는 물이 합쳐지면서 기운이 합쳐져 강해지기 때문 이다. 득수란 물을 얻는다는 뜻으로 지세에서 처음 물이보이기 시작한 위치를 말한다. 물이 마지막으로 보이는 지점은 파구(波口)라고 한다. 혈은 용과 물 두 기운이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만큼 지세에 반드시 물이 있어야 명당을 이루게 된다. 골짜기는 물이 없어도 물로 해석된다.
용이 좌우 혼합된 경우에도 득수가 왼쪽이나 오른쪽 한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용이 직선으로 내려갈 경우에는 물이 왼쪽과 오른쪽 양쪽으로 분산되어 흐르게 되는데 이런 경우를 양파(兩波)라고 한다. 이런 지세에서는 가족이나 재물이 흩어지게 된다.
(2) 형국론에 의한 분석
1) 형국(形局)의 개요
형국론이란 형(形)과 국(局)을 주체와 대상으로 삼아서 풍수를 논하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의 풍토적 여건이 산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중국의 풍수가 득수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과 달리 장풍중심으로 형성 되었다. 이러한 자연적 조건은 산악숭배 사상이라는 인문적 조건을 형성시켰고 산을 비롯한 자연에 생명을 부여하였다. 서울 풍수를 논할 때 주체가 되는 진산은 북한산이며 국면은 서울시 경계선을 한계로 삼는다. 주산과 진산이 정해지면 산의 형상을 관산(觀山)하여, 모양새에 명칭을 붙여 간다. 이때는 인물과 동물 또는 식물과 문자 모양이 형국 명칭들의 주류를 이룬다. 일례로 경복궁의 배산인 백악의형상은 선인(仙人) 모양으로 관산 된다. 백악처럼 산봉우리가 뾰족한 형상을 두고, 풍수에서는 선인봉, 신선봉으로 분류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백악이 선인으로 판정되면 이때부터 차림새를 붙여 간다. 차림새는 국면 안에 있는 산천을 대상으로 삼는다. 백악선인의 해당 국면은 인왕산과 낙산 그리고 남산이 감싸고 있는 얼안이 이에 해당 된다. 그중 낙산과 인왕산은 백악에서 뻗어 내린 산줄기로서 이는 선인의 좌측팔과 우측 팔에 해당 되는데, 좌측 팔인 낙산(해발125m)에 비해, 우측 팔인 인왕산(해발333m)이 훨씬 높다. 낙산과 인왕산의좌우 팔들의 높낮이는 춤을 출 때 보는 춤사위를 연상케 한다. 그러므로 선인(백악형상)이 춤을 추는 춤사위의 차림새가 경복궁 풍수의 형국인 것이다. 오늘날 광화문 광장에서 부터 서울시청에 이르는 도로에서 월드컵 축제 등 길거리 축제가 자주 벌어지는 것도 이러한 풍수형국의 영향이라는 설도 있다.
2) 형국론의 유형
① 인물형론(人物形論) 목성과 화성의 형국
인물형론은 산의 형태 인물형론의 형국, 신영대 전게서 P.376.
를 사람에 비유하여 혈처를 찾는 법을 말한다. 사람의 신체 형태로 혈을 맺는 곳이 주로 심장, 단전부위 등이다.
가. 선인망월형(仙人望月形) : 선인이 달을 바라보고 있는 형상
나. 옥녀단장형(玉女丹粧形) : 선녀가 단장을 하고 있는 형상
다. 선인무수형(仙人舞袖形形) : 선인이 소매를 펄럭이며 춤추는 형상
라. 천녀등공형(天女登空形) : 선녀가 하늘을 오르고 있는 형상
② 용사류형(龍蛇類形)수성체(水星體)의 형국
뱀이나 용의 형상 용사류형의 형국, 신영대 전게서 P.376.
으로 혈이 맺히는 곳이 보통 꼬리나 머리부분에 이루어진다고 본다. 입에는 강한 독이 있으므로 흉하다고 간주한다.
가. 이용농주형(夷龍弄珠形) : 두마리 용이 개구리를
추천자료
GIS의 부동산활용
일제의 풍수침탈
송광사와 선암사의 가람배치의 비교 분석과 현대 지리학적 접근
[과외]고등 한국지리 1-1국토의의의
창조와풍수
[이중환의 택리지] 조선의 대표지리지 택리지를 읽고
(부동산개발사업)파주시공동주택사업계획서
(부동산개발사업)대전광역시관저지구도시개발사업사업계획서
부동산입지론단원정리문제풀이
영남 지역 내 사무용부동산
일본 쓰나미가 한국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Japa...
[공법, 공법 의미, 공법상 재산권, 공법상 환매권]공법의 의미, 공법과 공법상 재산권, 공법...
부동산법제_분묘기지권을 둘러싼 제반 법적 쟁점들을 논하고 자신의 견해를 논리적으로 주장...
공통교양,법,경제=부동산법제=주거관련 사회 환경의 변화와 문제점, 그리고 이에 따른 주택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