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5장 복잡계 현상과 다중 에이전트 시뮬레이션
<엘 파롤 바 문제>
<마이너리티 게임>
제 6장 의사결정지원과 다중 에이전트 시뮬레이션
<레스토랑 문제>
<오일 카르텔 문제>
<엘 파롤 바 문제>
<마이너리티 게임>
제 6장 의사결정지원과 다중 에이전트 시뮬레이션
<레스토랑 문제>
<오일 카르텔 문제>
본문내용
진행하였다.
다음은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leader 이수정
카르텔 멤버 윤원배
카르텔 멤버 김경덕
카르텔 멤버 김지영
결과를 살펴보면, 고정비용이 최대인 것을 제외하면 카르텔에게 가장 이상적인 상황이기에 Current profit이 270,000$ 나 된다.
이는 이상적인 환경이기에 가능한 수치이다.
총 공급량은 총 수요량보다 약 절반정도에 그쳐서 시장에는 항상 초과수요인 상태가 되어서 가격이 높은 수중을 유지할 것이고, 소비자인 터틀은 상품을 못 사거나(붉은색) 상품을 사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노란색). 상품을 사는데 불편하지 않은 녹색 터틀은 얼마 보이지 않는다.
결국 카르텔에게 이상적인 상황은 소비자들에게 매우 불리하고 불편한 상황을 초래하여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문제 3.
카르텔이 존재할 경우 완전시장과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설명하고, 카르텔 참여자의 입장에서 카르텔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자신의 지식을 총 동원하여 제시하시오.
<3-1> 카르텔이 존재할 경우 완전시장과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설명하시오.
완전경쟁시장은 4가지 조건에 만족을 해야 완전경쟁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시장 내에서 공급자와 수요자가 많아야 한다.
둘째, 공급되는 재화의 가격이나, 제품의 질 등은 전혀 차이가 없어야 한다.
셋째, 공급자는 시장에 자유롭게 진입하거나, 퇴출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수요자, 공급자 모두 시장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위의 조건 4가지를 완벽히 충족하고 있어야만 완전시장이 가능하다.
카르텔은 담합의 한 유형으로 명시적으로 행하는 담합을 의미한다.
'담합'이란 같은 종류의 업체들이 서로 짜고 물건 값이나 생산량 등을 조정해, 다른 경쟁 업체를 따돌리거나 부당한 이익을 챙기는 것이며, 담합은 불법. 담합은 공정거래법을 어기는 죄. 담합은 자유로운 경쟁을 통해서 이윤을 내는 '시장 경제 질서'를 어지럽게 만드는 불법 행위로 볼 수 있다.
카르텔은 같은 분야의 기업들이 시장 통제를 목적으로 각각 그 경제적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상품의 생산량·가격 등에 대한 여러 가지 협약을 맺는 일이다. 구체적인 방법은 동종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서로 가격이나 생산량, 출하량 등을 협정해서 경쟁을 피하고 이륜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런데, 시장에 카르텔이 존재할 경우,
1) 새로운 공급자가 시장에 진입하려고 해도 일단은 카르텔이라는 진입장벽이 하나 생기게 되어서 완전시장의 첫 번째 요건 중 하나인 공급자의 숫자가 많아지지 못하는 상황이 생긴다. (예: 중세길드)
2) 세 번째 요건인 공급자의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이 어렵게 된다.(예: 중세길드)
3) 마지막으로 상품에 대한 가격이나 생산량 등의 정보를 공급자가 정하게 되므로, 정보의 편중성이 공급자에게 치우치기 때문에 네 번째 조건이 충족되지 못한다.(예:OPEC)
그 결과로 상품의 가격이 효율적으로 정해지지 못하기 때문에, 시장 가격의 왜곡으로 인한 피해를 누군가는 보게 되는데, 그 때, 그 피해는 소비자가 입게 되고 상대적인 이익을 공급자가 얻게 된다. 그래서 시장 자체는 보다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게 된다.
현실적으로 오일카르텔의 경우는 1)과 2)의 경우보다는 3)의 경우와 같이 시장의 상품가격이 공급자에 의해서 정해지는 일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3-2> 카르텔 참여자의 입장에서 카르텔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자신의 지식을 총 동원하여 제시하시오.
자신이 카르텔의 참여자라면 카르텔을 어떻게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인가?
공급자의 시장에서의 목적은 최대의 수익을 얻는 것이다. 그렇기 위해서는 안정된 수익을 보다 장기적으로 누릴 수 있어야 한다. 카르텔은 인간이 만든 모든 단체가 그렇듯, 한 사회나 국가 또는 세계경제 안에 존재하는 것이다.
때문에, 외부적인 사회의 변수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외부 사회를 고려한 카르텔의 운영방법으로
1) 카르텔은 그들이 이익을 얻는 과정에서 그 사회 내의 구성원들에게 부담되는 심리적인 요인이 최대한 적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가격의 책정에 있어서 가격의 상승률을 완만하게 조정한다든지 가격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오일카르텔(OPEC)의 경우, 석유 값이 급격히 오르는 경우 소비자들은 그 카르텔에 대한 불만이 쌓이게 되고, 그것이 OPEC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급격한 상품 값의 변화는 그 대체재인 원자력발전소나 수소에너지, 수력발전, 태양열 발전 등의 연구를 가속시킬 수 있다.
2) 카르텔은 그 사회 내에서 정치적, 경제적 로비 활동을 잘 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정유회사가 대체 휘발유의 시장진입을 막을 수 있었던 이유는 대체 휘발유의 품질이 나쁜 것이 아니라, 바로 정유회사들이 석유를 팔면서 자연스럽게 국가에 들어가는 세금의 규모에 따른 경제적인 힘과 그들의 정치적 로비의 힘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 미국에 총기사고가 빈번하지만 총기류 회사들이 그 때마다 총기류의 사용금지를 그들의 막강한 로비로 막는 것을 보면, 카르텔의 정치적·경제적 로비의 힘은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이다.
다음으로는 내부의 분제인데 내부 참여자들의 단합을 공고히 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그렇기 위해 1) 카르텔의 경제적·정치적 힘이 커서 그 자체로 강제성을 띨 수 있으면 가장 좋을 것이다. 지금의 OPEC이 세계적으로 제 3세계에서 큰 힘을 발휘하고 그들이 미국이나 다른 선진국들의 의도에 반발 할 수 있는 몇 않되는 세력이 되었다. 그들이 스스로의 회원국들을 어느 정도 통제할 수 있는 것도 이런 정치적인 힘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2) 카르텔의 리더가 규칙과 내부 규율을 잘 세워서 조직을 잘 운영하고 규칙위반자(추가공급이나 생산)에 대한 페널티를 강화하고(물론 카르텔의 힘이 그 조직에 어느 정도 강제성을 지닌다는 가정하에) 규칙위반자들이 적어야 한다.
앞의 네 가지 정도의 외부적인 면과 내부적인 면의 방법으로 카르텔을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하여서 생산자의 첫번째 목표인 최대의 이윤추구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leader 이수정
카르텔 멤버 윤원배
카르텔 멤버 김경덕
카르텔 멤버 김지영
결과를 살펴보면, 고정비용이 최대인 것을 제외하면 카르텔에게 가장 이상적인 상황이기에 Current profit이 270,000$ 나 된다.
이는 이상적인 환경이기에 가능한 수치이다.
총 공급량은 총 수요량보다 약 절반정도에 그쳐서 시장에는 항상 초과수요인 상태가 되어서 가격이 높은 수중을 유지할 것이고, 소비자인 터틀은 상품을 못 사거나(붉은색) 상품을 사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노란색). 상품을 사는데 불편하지 않은 녹색 터틀은 얼마 보이지 않는다.
결국 카르텔에게 이상적인 상황은 소비자들에게 매우 불리하고 불편한 상황을 초래하여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문제 3.
카르텔이 존재할 경우 완전시장과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설명하고, 카르텔 참여자의 입장에서 카르텔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자신의 지식을 총 동원하여 제시하시오.
<3-1> 카르텔이 존재할 경우 완전시장과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설명하시오.
완전경쟁시장은 4가지 조건에 만족을 해야 완전경쟁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시장 내에서 공급자와 수요자가 많아야 한다.
둘째, 공급되는 재화의 가격이나, 제품의 질 등은 전혀 차이가 없어야 한다.
셋째, 공급자는 시장에 자유롭게 진입하거나, 퇴출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수요자, 공급자 모두 시장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위의 조건 4가지를 완벽히 충족하고 있어야만 완전시장이 가능하다.
카르텔은 담합의 한 유형으로 명시적으로 행하는 담합을 의미한다.
'담합'이란 같은 종류의 업체들이 서로 짜고 물건 값이나 생산량 등을 조정해, 다른 경쟁 업체를 따돌리거나 부당한 이익을 챙기는 것이며, 담합은 불법. 담합은 공정거래법을 어기는 죄. 담합은 자유로운 경쟁을 통해서 이윤을 내는 '시장 경제 질서'를 어지럽게 만드는 불법 행위로 볼 수 있다.
카르텔은 같은 분야의 기업들이 시장 통제를 목적으로 각각 그 경제적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상품의 생산량·가격 등에 대한 여러 가지 협약을 맺는 일이다. 구체적인 방법은 동종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서로 가격이나 생산량, 출하량 등을 협정해서 경쟁을 피하고 이륜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런데, 시장에 카르텔이 존재할 경우,
1) 새로운 공급자가 시장에 진입하려고 해도 일단은 카르텔이라는 진입장벽이 하나 생기게 되어서 완전시장의 첫 번째 요건 중 하나인 공급자의 숫자가 많아지지 못하는 상황이 생긴다. (예: 중세길드)
2) 세 번째 요건인 공급자의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이 어렵게 된다.(예: 중세길드)
3) 마지막으로 상품에 대한 가격이나 생산량 등의 정보를 공급자가 정하게 되므로, 정보의 편중성이 공급자에게 치우치기 때문에 네 번째 조건이 충족되지 못한다.(예:OPEC)
그 결과로 상품의 가격이 효율적으로 정해지지 못하기 때문에, 시장 가격의 왜곡으로 인한 피해를 누군가는 보게 되는데, 그 때, 그 피해는 소비자가 입게 되고 상대적인 이익을 공급자가 얻게 된다. 그래서 시장 자체는 보다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게 된다.
현실적으로 오일카르텔의 경우는 1)과 2)의 경우보다는 3)의 경우와 같이 시장의 상품가격이 공급자에 의해서 정해지는 일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3-2> 카르텔 참여자의 입장에서 카르텔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자신의 지식을 총 동원하여 제시하시오.
자신이 카르텔의 참여자라면 카르텔을 어떻게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인가?
공급자의 시장에서의 목적은 최대의 수익을 얻는 것이다. 그렇기 위해서는 안정된 수익을 보다 장기적으로 누릴 수 있어야 한다. 카르텔은 인간이 만든 모든 단체가 그렇듯, 한 사회나 국가 또는 세계경제 안에 존재하는 것이다.
때문에, 외부적인 사회의 변수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외부 사회를 고려한 카르텔의 운영방법으로
1) 카르텔은 그들이 이익을 얻는 과정에서 그 사회 내의 구성원들에게 부담되는 심리적인 요인이 최대한 적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가격의 책정에 있어서 가격의 상승률을 완만하게 조정한다든지 가격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오일카르텔(OPEC)의 경우, 석유 값이 급격히 오르는 경우 소비자들은 그 카르텔에 대한 불만이 쌓이게 되고, 그것이 OPEC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급격한 상품 값의 변화는 그 대체재인 원자력발전소나 수소에너지, 수력발전, 태양열 발전 등의 연구를 가속시킬 수 있다.
2) 카르텔은 그 사회 내에서 정치적, 경제적 로비 활동을 잘 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정유회사가 대체 휘발유의 시장진입을 막을 수 있었던 이유는 대체 휘발유의 품질이 나쁜 것이 아니라, 바로 정유회사들이 석유를 팔면서 자연스럽게 국가에 들어가는 세금의 규모에 따른 경제적인 힘과 그들의 정치적 로비의 힘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 미국에 총기사고가 빈번하지만 총기류 회사들이 그 때마다 총기류의 사용금지를 그들의 막강한 로비로 막는 것을 보면, 카르텔의 정치적·경제적 로비의 힘은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이다.
다음으로는 내부의 분제인데 내부 참여자들의 단합을 공고히 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그렇기 위해 1) 카르텔의 경제적·정치적 힘이 커서 그 자체로 강제성을 띨 수 있으면 가장 좋을 것이다. 지금의 OPEC이 세계적으로 제 3세계에서 큰 힘을 발휘하고 그들이 미국이나 다른 선진국들의 의도에 반발 할 수 있는 몇 않되는 세력이 되었다. 그들이 스스로의 회원국들을 어느 정도 통제할 수 있는 것도 이런 정치적인 힘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2) 카르텔의 리더가 규칙과 내부 규율을 잘 세워서 조직을 잘 운영하고 규칙위반자(추가공급이나 생산)에 대한 페널티를 강화하고(물론 카르텔의 힘이 그 조직에 어느 정도 강제성을 지닌다는 가정하에) 규칙위반자들이 적어야 한다.
앞의 네 가지 정도의 외부적인 면과 내부적인 면의 방법으로 카르텔을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하여서 생산자의 첫번째 목표인 최대의 이윤추구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