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배뇨의 정의
2. 신장의 구조와 기능
3. 레닌 안지오텐신 기전
4. 배뇨기전
1. 배뇨생성
2. 배뇨반사
3. 소변배설을 조절하는 호르몬
4. 배뇨빈도
5. 소변
- 소변의 개념
- 소변의 특징
- 약물에 의한 소변색의 변화
- 소변검사
5. 배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 배뇨장애-dysuria
개념, 관련요인, 특성
잔뇨량, 잔뇨량검사
7. 배뇨양상의 변화
8. 결론
9. 참고문헌
2. 본론
1. 배뇨의 정의
2. 신장의 구조와 기능
3. 레닌 안지오텐신 기전
4. 배뇨기전
1. 배뇨생성
2. 배뇨반사
3. 소변배설을 조절하는 호르몬
4. 배뇨빈도
5. 소변
- 소변의 개념
- 소변의 특징
- 약물에 의한 소변색의 변화
- 소변검사
5. 배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 배뇨장애-dysuria
개념, 관련요인, 특성
잔뇨량, 잔뇨량검사
7. 배뇨양상의 변화
8. 결론
9. 참고문헌
본문내용
종
※잔뇨량: 배뇨 후 방광에 남아 있는 소변의 양
- 정상적으로 매 배뇨마다 1~3㎖의 소변을 제외(정상적인 잔뇨량)하고 나머지는 방광에 서 배설
- 소변량이 적거나 소변을 봐도 시원하지 않을 때 잔뇨량을 측정
※잔뇨량 검사
-배뇨 후에 초음파 검사나 관을 넣어서 잔뇨를 빼어낸 후에 잔뇨량을 측정하여서 50cc 이상 남는 경우를 병적인 상태로 평가
(4) 배뇨 양상의 변화
배 뇨 양 상 의 변 화
종 류
정 의
원 인
특 징
관 련 요 인
혈뇨
(hematuria)
적혈구가 포함 된 소변
-사구체 신염, 신우신염, 방광염, 요도염 등으로 인해 소변 내에 적혈구가 비정상적으로 많은 경우.
산성소변-뿌옇거나 혼탁
알칼리성소변-붉은 색
- 암
- 외상
- 지나친 운동
- 항응고 요법
농뇨
(pyuria)
농이 있는 소변
- 화농성 질환
-화농병소가 요도에서 터진 경우
소변이 혼탁
- 감염
다뇨
(polyuria)
1회 배뇨량이 큰 소변
- 소변량을 조절하는 호르몬(ADH)의 이상
-체액량 과다(항상성 조절을 위해 수분을 몸밖으로 많이 내보내기위해)
24시간 총 배뇨량 3,000mL를 초과
- 당뇨병
- 요붕증
- 만성신장질환
- 과다한 수분섭취
- 이뇨제 사용
- 급성 신부전의 이뇨기
핍뇨
(oliguria)
배설량이 적은 소변
-체액량 부족
-신장 기능 이상으로 인한 소변생성 장애
-요도의 막힘.
(소변생성후)
24시간 총 배뇨량 100~400mL
- 쇼크
- 외상
- 수혈반응
- 만성신부전
- 급성신부전의 핍뇨기
- 신관류 감소
- 허혈
무뇨
(anuria)
배설량이 아주 적은 소변
- 신장피질 괴사
- 신동맥 폐색으로 인한 신장 혈류 완전 차단
- 요관 완전 폐색으로 인한 소변 배설 경로 완전 차단
24시간 총 배뇨량
100mL 이하
- 완전신장폐쇄
- 신장부전
배뇨곤란
(dysuria)
배뇨 시 통증이 있거나 배뇨가 어려운 것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용어임)
긴박뇨
(urgency)
요의를 강하게
느끼는 것
-염증과 관련된 평활근의 경련
-비정상적인 배뇨근의 수축
- 전립선염
- 방광염
- 요도염
배뇨통
(urodynia)
소량의 소변이 통증을 수반하며 느리게 배출
- 감염과 염증 및 요도의 손상에서 오는 통증
혈액이 존재할 수 있음
- 방광염
배뇨시 작열감
(pyrosis)
배뇨 중 혹은 배뇨 후 작용통 발생
- 요도염
- 방광염
- 질염
-성병
빈뇨
(frequency)
1일 배뇨횟수의 증가 혹은 소량의 소변을 자주 배뇨하는 것
- 염증이 자극이 되어 잦은 요의 발생
- 긴장과 불안으로 자율신경 활성화
- 임신 중 자궁의 비대로 방광 압박
- 요로염
- 방광염
- 불안
- 스트레스
지연뇨
(hesitancy)
배뇨 시작의 지체
및 어려움
- 좁아진 요도
- 방광수축에 작용하는 신경 이상
- 강박적이고 예민한 성격
- 전립샘 비대
- 신경인성 방광 요도압박
- 요도구 폐색
요
실
금
역리성 요실금
(reflux)
요도구 폐색으로 인한 방광의 팽만으로 소변이 조금씩 넘쳐 흐르는 것
- 짧은 요도
- 골반과 방광에 대한 근육의 지지력 상실
- 임신 중 또는 출산 후
(특히 다산일 경우)
- 노화로 인한 자연적 발생
- 신경질환
- 신결석
- 전립선 비대
유뇨증
(enuresis)
수면 중의 소변 실금
보통 밤에 불수의적 으로 배뇨하는 어린이의 경우
- 심리적인 원인
급뇨성
요실금
(urgency)
배뇨에 대한 대뇌조절을 벗어나 소변의 배출이
강하고 급한 것
- 오랜 시간 동안의
배뇨 지연
스트레스성
요실금
(stress)
기침, 웃음, 재채기, 무거운 물건 들기 등으로 복압이 상승 할 경우 발생
간헐적이고 불수의적인
소변의 누출
- 노화
- 임신
- 다산
- 잦은 도뇨
- 방광
-요도괄약근의 약화
야뇨증
(socturia)
야뇨의 빈뇨상태
- 항이뇨호르몬 분비이상
- 유전
- 해부학적 이상으로 인 한 요로 폐색
- 방광, 괄약근 기능이상
- 수면각성 장애
- 신경정신과적 측면
- 발달지연
수면 중 배뇨를 하기 위해 2번 이상 일어남
- 임신 중 혹은 종양 등으로 인한 방광 용적의 감소
- 신장질환 -심장질환
요
정
체
기
능
적
해부학적 폐색 없이 소변이 나가는 데 장애가 있는 경우
- 요관의 연동운동에 문제가 있을 경우
-심한 옆구리 통증
-배뇨시작시간 지연
-혈뇨, 농뇨, 배뇨통 등 배뇨장애 동반
-소변양이 줄거나 전혀 나오지 않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
-요로 감염, 요독증 등도 나타날 수 있음
-전립선 비대증
-출산 후 방광 팽창
-요로관련 질병(요로결석, 종양, 염증성 협착 등)
-척수손상
(영구정체)
기
계
적
해부학적 폐색에 의한
- 요로관련 질병으로 인해 요로 폐색이 일어난 경우
Ⅲ. 결론
상 황
문 제
해 결
“소변이 나오지 않아 소변 검사물도 받아내지 못하였어요”
체내 수분 부족으로 인한 배뇨곤란
금식과 구토, 설사 및 I/V를 통한 수분 공급불량으로 체내 수분 부족의 보상기전에 따라 신장내 수분 재흡수량 증가 및 배뇨량 감소
“계속 소변줄을 끼고 있어야 해?”
도뇨에 대한 지식, 정보 부족으로 인한 불편감과 두려움.
대상자의 지식부족은 적절한 간호수행에 장애가 되므로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교육필요.
Ⅳ. 참고문헌
손영희 외.(2003). 제 3판 기본간호학 하. 현문사.
신기수 외.(2006). 제 8판 핵심인체구조와 기능. 계축문화사.
최영희 외.(1999).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전시자 외.(2005). 제 4판.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인터넷
- <빈뇨>
http://healthcare.joins.com/info/info_encyclopedia_article.asp?ecIDX=188
http://www.healthkorea.net/HealthInfo/?kspid=HI000299&disease=81
- <지연뇨>
http://duser.doctorkorea.com/consult/subject_oldin.asp?ck2_num=3&cl_num=22&idx=37595
- <소변생성 그림>
네이버 지식인-<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유지수 교수>
-네이버 백과사전
※잔뇨량: 배뇨 후 방광에 남아 있는 소변의 양
- 정상적으로 매 배뇨마다 1~3㎖의 소변을 제외(정상적인 잔뇨량)하고 나머지는 방광에 서 배설
- 소변량이 적거나 소변을 봐도 시원하지 않을 때 잔뇨량을 측정
※잔뇨량 검사
-배뇨 후에 초음파 검사나 관을 넣어서 잔뇨를 빼어낸 후에 잔뇨량을 측정하여서 50cc 이상 남는 경우를 병적인 상태로 평가
(4) 배뇨 양상의 변화
배 뇨 양 상 의 변 화
종 류
정 의
원 인
특 징
관 련 요 인
혈뇨
(hematuria)
적혈구가 포함 된 소변
-사구체 신염, 신우신염, 방광염, 요도염 등으로 인해 소변 내에 적혈구가 비정상적으로 많은 경우.
산성소변-뿌옇거나 혼탁
알칼리성소변-붉은 색
- 암
- 외상
- 지나친 운동
- 항응고 요법
농뇨
(pyuria)
농이 있는 소변
- 화농성 질환
-화농병소가 요도에서 터진 경우
소변이 혼탁
- 감염
다뇨
(polyuria)
1회 배뇨량이 큰 소변
- 소변량을 조절하는 호르몬(ADH)의 이상
-체액량 과다(항상성 조절을 위해 수분을 몸밖으로 많이 내보내기위해)
24시간 총 배뇨량 3,000mL를 초과
- 당뇨병
- 요붕증
- 만성신장질환
- 과다한 수분섭취
- 이뇨제 사용
- 급성 신부전의 이뇨기
핍뇨
(oliguria)
배설량이 적은 소변
-체액량 부족
-신장 기능 이상으로 인한 소변생성 장애
-요도의 막힘.
(소변생성후)
24시간 총 배뇨량 100~400mL
- 쇼크
- 외상
- 수혈반응
- 만성신부전
- 급성신부전의 핍뇨기
- 신관류 감소
- 허혈
무뇨
(anuria)
배설량이 아주 적은 소변
- 신장피질 괴사
- 신동맥 폐색으로 인한 신장 혈류 완전 차단
- 요관 완전 폐색으로 인한 소변 배설 경로 완전 차단
24시간 총 배뇨량
100mL 이하
- 완전신장폐쇄
- 신장부전
배뇨곤란
(dysuria)
배뇨 시 통증이 있거나 배뇨가 어려운 것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용어임)
긴박뇨
(urgency)
요의를 강하게
느끼는 것
-염증과 관련된 평활근의 경련
-비정상적인 배뇨근의 수축
- 전립선염
- 방광염
- 요도염
배뇨통
(urodynia)
소량의 소변이 통증을 수반하며 느리게 배출
- 감염과 염증 및 요도의 손상에서 오는 통증
혈액이 존재할 수 있음
- 방광염
배뇨시 작열감
(pyrosis)
배뇨 중 혹은 배뇨 후 작용통 발생
- 요도염
- 방광염
- 질염
-성병
빈뇨
(frequency)
1일 배뇨횟수의 증가 혹은 소량의 소변을 자주 배뇨하는 것
- 염증이 자극이 되어 잦은 요의 발생
- 긴장과 불안으로 자율신경 활성화
- 임신 중 자궁의 비대로 방광 압박
- 요로염
- 방광염
- 불안
- 스트레스
지연뇨
(hesitancy)
배뇨 시작의 지체
및 어려움
- 좁아진 요도
- 방광수축에 작용하는 신경 이상
- 강박적이고 예민한 성격
- 전립샘 비대
- 신경인성 방광 요도압박
- 요도구 폐색
요
실
금
역리성 요실금
(reflux)
요도구 폐색으로 인한 방광의 팽만으로 소변이 조금씩 넘쳐 흐르는 것
- 짧은 요도
- 골반과 방광에 대한 근육의 지지력 상실
- 임신 중 또는 출산 후
(특히 다산일 경우)
- 노화로 인한 자연적 발생
- 신경질환
- 신결석
- 전립선 비대
유뇨증
(enuresis)
수면 중의 소변 실금
보통 밤에 불수의적 으로 배뇨하는 어린이의 경우
- 심리적인 원인
급뇨성
요실금
(urgency)
배뇨에 대한 대뇌조절을 벗어나 소변의 배출이
강하고 급한 것
- 오랜 시간 동안의
배뇨 지연
스트레스성
요실금
(stress)
기침, 웃음, 재채기, 무거운 물건 들기 등으로 복압이 상승 할 경우 발생
간헐적이고 불수의적인
소변의 누출
- 노화
- 임신
- 다산
- 잦은 도뇨
- 방광
-요도괄약근의 약화
야뇨증
(socturia)
야뇨의 빈뇨상태
- 항이뇨호르몬 분비이상
- 유전
- 해부학적 이상으로 인 한 요로 폐색
- 방광, 괄약근 기능이상
- 수면각성 장애
- 신경정신과적 측면
- 발달지연
수면 중 배뇨를 하기 위해 2번 이상 일어남
- 임신 중 혹은 종양 등으로 인한 방광 용적의 감소
- 신장질환 -심장질환
요
정
체
기
능
적
해부학적 폐색 없이 소변이 나가는 데 장애가 있는 경우
- 요관의 연동운동에 문제가 있을 경우
-심한 옆구리 통증
-배뇨시작시간 지연
-혈뇨, 농뇨, 배뇨통 등 배뇨장애 동반
-소변양이 줄거나 전혀 나오지 않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
-요로 감염, 요독증 등도 나타날 수 있음
-전립선 비대증
-출산 후 방광 팽창
-요로관련 질병(요로결석, 종양, 염증성 협착 등)
-척수손상
(영구정체)
기
계
적
해부학적 폐색에 의한
- 요로관련 질병으로 인해 요로 폐색이 일어난 경우
Ⅲ. 결론
상 황
문 제
해 결
“소변이 나오지 않아 소변 검사물도 받아내지 못하였어요”
체내 수분 부족으로 인한 배뇨곤란
금식과 구토, 설사 및 I/V를 통한 수분 공급불량으로 체내 수분 부족의 보상기전에 따라 신장내 수분 재흡수량 증가 및 배뇨량 감소
“계속 소변줄을 끼고 있어야 해?”
도뇨에 대한 지식, 정보 부족으로 인한 불편감과 두려움.
대상자의 지식부족은 적절한 간호수행에 장애가 되므로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교육필요.
Ⅳ. 참고문헌
손영희 외.(2003). 제 3판 기본간호학 하. 현문사.
신기수 외.(2006). 제 8판 핵심인체구조와 기능. 계축문화사.
최영희 외.(1999).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전시자 외.(2005). 제 4판.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인터넷
- <빈뇨>
http://healthcare.joins.com/info/info_encyclopedia_article.asp?ecIDX=188
http://www.healthkorea.net/HealthInfo/?kspid=HI000299&disease=81
- <지연뇨>
http://duser.doctorkorea.com/consult/subject_oldin.asp?ck2_num=3&cl_num=22&idx=37595
- <소변생성 그림>
네이버 지식인-<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유지수 교수>
-네이버 백과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