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병원감염의 정의
병원감염의 증가 원인
병원감염의 예방 가능성
국내 병원 감염 현황
감염관리위원회
감염관리실
감염관리사
감염관리의사 혹은 병원역학자
☆MRSA☆
☆VRE☆
병원감염의 증가 원인
병원감염의 예방 가능성
국내 병원 감염 현황
감염관리위원회
감염관리실
감염관리사
감염관리의사 혹은 병원역학자
☆MRSA☆
☆VRE☆
본문내용
생제의 사용, 악성종양 등의 중증 기저질환이 있거나 장기입원이 필요한 경우, central line, urinary catheter 등의 침습적 조작 및 vancomycin의 사용(경구>정맥 투여) 등이 있다.
치료
일반적으로 colonization의 경우에는 치료적 항생제 투여의 적응이 되지 않으며, 임상적으로 유의한 pathogen에 대해 항균제를 투여한다. 이 때 사용되는 치료제로는 기존의 항생제 중 일부 penicillin, ampicillin 또는 aminoglycoside에 감수성을 보일 경우 사용할 수 있으며, 최근 새롭게 개발된 quinupristin/dalfopristin (Synercid)나 linezolid 등이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들에 대한 내성보고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어 이들 약제의 투여에 신중해야 한다. 그 밖에 새로운 항생제들의 개발이 진행중이나 아직까지 임상적용의 가능한 약제는 없으며 임상에 적용되기까지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예방
VRE의 병원내 출현을 예방하고 감염 전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임상 의사, 임상미생물 검사실, 감염관리실 등 관련부서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종합적이 예방 및 관리대책이 필요하다. 우선 임상에서는 부적절하고 불필요한 경구 또는 주사용 vancomycin 사용 및 광범위 항균제의 남용을 억제하는 것이 VRE의 출현 예방에 중요하다. VRE에 감염 또는 오염된 환자들을 접촉 격리를 하여야 하며, 격리병실에 수용하거나 다른 VRE를 갖고 있는 환자들과 공동 수용하여 적절한 차폐방역지침을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치료
일반적으로 colonization의 경우에는 치료적 항생제 투여의 적응이 되지 않으며, 임상적으로 유의한 pathogen에 대해 항균제를 투여한다. 이 때 사용되는 치료제로는 기존의 항생제 중 일부 penicillin, ampicillin 또는 aminoglycoside에 감수성을 보일 경우 사용할 수 있으며, 최근 새롭게 개발된 quinupristin/dalfopristin (Synercid)나 linezolid 등이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들에 대한 내성보고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어 이들 약제의 투여에 신중해야 한다. 그 밖에 새로운 항생제들의 개발이 진행중이나 아직까지 임상적용의 가능한 약제는 없으며 임상에 적용되기까지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예방
VRE의 병원내 출현을 예방하고 감염 전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임상 의사, 임상미생물 검사실, 감염관리실 등 관련부서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종합적이 예방 및 관리대책이 필요하다. 우선 임상에서는 부적절하고 불필요한 경구 또는 주사용 vancomycin 사용 및 광범위 항균제의 남용을 억제하는 것이 VRE의 출현 예방에 중요하다. VRE에 감염 또는 오염된 환자들을 접촉 격리를 하여야 하며, 격리병실에 수용하거나 다른 VRE를 갖고 있는 환자들과 공동 수용하여 적절한 차폐방역지침을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