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영 지도안
1) 수영의 역사, 시설장비, 안전수칙
2) 물 적응하기
3) 영법익히기
2. 인명 구조법
3. 수영수업의 장단점
1) 수영의 역사, 시설장비, 안전수칙
2) 물 적응하기
3) 영법익히기
2. 인명 구조법
3. 수영수업의 장단점
본문내용
영 수중킥 동작과 당기기 동작 연습
종합 연결 동작 연습
2.인명구조법
익수자, 구조대상자: 물에 빠진 사람을 말한다.
구조자: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하는 사람을 말한다.
(1)구조영법
트러젠
트러젠 영법은 수영자가 상당히 먼거리를 갈 때나 구조대상자에게 빠른 속도로 접근해야 할 때에 유용하며 또한 머리를 조금만 조정하여도 접근할 때 구조대상자를 잘 볼 수 있으므로 인명구조시 접근에 유용하다.
팔동작에는 자유형 동작과 같지만 똑같지는 않다(설명 참조)
킥으로는 평영킥과 자유영킥이 있다.
횡영
횡영은 익수자를 물밖으로 끌고 나 올때 많이 쓰이는 영법으로 한쪽귀와 얼굴을 물 밖에 유지토록 한다. 호흡법이 단순하기 때문에 배우기가 수월하다.
잠영
잠영은 물속에 잠겨서 하는 영법으로 물 속에 깊게 가라앉은 구조대상자를 찾을 수 없을 경우 잠영에 의해서 찾는 경우가 많다.
입영
입영은 물 밖으로 머리가 나오는 깊은 물에서 똑바로 서 있는 것이다.
입영은 자신의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여 힘 안들이고 오래 뜰 수 있으면 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손동작으로는 물을 눌러주는 듯한 동작으로 옆으로 누운 8자 형태를 그리는 스컬링이 있고 킥으로 서는 평영킥과 한발씩 한발씩 서로 번갈아 차주는 로터리 킥이 있다.
(2)기본구조
뻗어돕기: 구조자의 팔,다리, 물건를 뻗어 익수자를 구조한다.
내밀어주기(가져다주기): 구조자가 부력이있는 물건을 익수자에게 직접 가져다 주는것이다.
던져주기: 구조자가 적합한 구조장비를 구조대상자에게 던져주어 잡게 한 후 안전지대로 옮 기는 기술이다.
(3)수영구조
☞입수동작
다리 벌려 들어가기: 이 기술은 물의 깊이가 1.5m이상 일 때 쓰인다. 익수자에게 시선확인을 유지하면서 빠르게 입수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다리 모아 들어가기: 낙하 유치가 수면에서부터 1~1.5m알 경우에 사용된다. 물의 깊이를 알 수 없다면 사용해서는 안 된다.
조심 들어가기: 구조대상자가 척추부상으로 추측되거나 물깊이가 1.5m이하일 경우, 또는 물속 상황을 알 수 없을 때 사용한다.
머리 먼저 들어가기: 이 기술은 빠르게 멀리 갈 수 있으며 곧바로 구조 영법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깊이(1.5m이상)와 물의 투명도를 알고 있을 때, 사용된다.
☞풀기: 구조자가 구조하러 갈 때에 익수자에게 붙잡힌 것을 푸는 것이다. 앞쪽에서 머리를 붙잡힐 경우 푸는 방법은 구조원이 재빨리 숨을 들이쉬고 익수자와 함께 잠수한다. 아래로 내려가면서 두 손으로 익수자의 팔 밑 부분을 위로 향하게 잡는다. 위쪽으로 힘차게 밀어내면서 턱을 끌어당기고 어깨를 움추리면 성공적으로 벗어날 수 있다. 이때 재빨리 뒤쪽으로 헤엄쳐 물러나서 더 안전한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이때에 익수자가 체구가 작은 어린아이이거나 안전지대까지의 거리가 짧다면 수영으로 익수자와 함께 안전지대로 이동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4)구조기술
☞의식 있는 구조대상자
준비서기에서(후방접근) 구조자는 손을 뻗어 익수자의 오른(왼)쪽 겨드랑이를 잡아 뒤로 끌 듯하며 위로 올린다. 익수자가 가능하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고 구조자는 익수자의 어깨와 겨드랑이 사이을 감아 잡은후 힘찬 다리차기와 함께 오른(왼) 동작으로 익수자를 수면으로 올리며 이동한다. 익수자의 얼굴이 물위로 나와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식이 없는 구조대상자
익수자의 위치가 수직일 경우에는 구조자의 두 팔로 익수자의 겨드랑이를 잡고 팔꿈치를 익수자의 등에 댄다. 손으로는 끌고 팔꿈치로는 미는 동작을 하여 익수자의 자세가 수면과 수평이 되도록 이끈다.
3. 수영수업의 장, 단점.
장점
최근 체력이 저하됨을 느끼면서 힘들었는데 좋아하는 수영을 통해 체력을 보강하는 기회가 되어 뿌듯했다. 여러 레포트를 작성하며 자신을 돌이켜보기도 하고 몰랐던 지식도 채울 수 있었던 것 같다. 무엇보다 집에서도 가깝고 시설 좋은 올림픽수영장에서 수업할 수 있어 좋았고 계절적으로 봄, 여름학기에 수강한 것도 잘 한 것 같다.
단점
학생들의 실력편차가 심한 것에 비에 학생의 수가 너무 많아서인지 체계적 지도를 받기 어렵고 수업시간이 길어 지루한 것 같아서 조금 아쉽다. 조금더 욕심을 가지어 지도를 받고 싶었지만 지도자에 비해 학생이 너무 많은 탓인 것 같다.
-참고자료-
http://www.swimdoctor.co.kr/
http://www.finflier.co.kr
대한수영연맹 사이트
국민생활체욱협의회 사이트
http://pool.cbsec.or.kr/flow/
종합 연결 동작 연습
2.인명구조법
익수자, 구조대상자: 물에 빠진 사람을 말한다.
구조자: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하는 사람을 말한다.
(1)구조영법
트러젠
트러젠 영법은 수영자가 상당히 먼거리를 갈 때나 구조대상자에게 빠른 속도로 접근해야 할 때에 유용하며 또한 머리를 조금만 조정하여도 접근할 때 구조대상자를 잘 볼 수 있으므로 인명구조시 접근에 유용하다.
팔동작에는 자유형 동작과 같지만 똑같지는 않다(설명 참조)
킥으로는 평영킥과 자유영킥이 있다.
횡영
횡영은 익수자를 물밖으로 끌고 나 올때 많이 쓰이는 영법으로 한쪽귀와 얼굴을 물 밖에 유지토록 한다. 호흡법이 단순하기 때문에 배우기가 수월하다.
잠영
잠영은 물속에 잠겨서 하는 영법으로 물 속에 깊게 가라앉은 구조대상자를 찾을 수 없을 경우 잠영에 의해서 찾는 경우가 많다.
입영
입영은 물 밖으로 머리가 나오는 깊은 물에서 똑바로 서 있는 것이다.
입영은 자신의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여 힘 안들이고 오래 뜰 수 있으면 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손동작으로는 물을 눌러주는 듯한 동작으로 옆으로 누운 8자 형태를 그리는 스컬링이 있고 킥으로 서는 평영킥과 한발씩 한발씩 서로 번갈아 차주는 로터리 킥이 있다.
(2)기본구조
뻗어돕기: 구조자의 팔,다리, 물건를 뻗어 익수자를 구조한다.
내밀어주기(가져다주기): 구조자가 부력이있는 물건을 익수자에게 직접 가져다 주는것이다.
던져주기: 구조자가 적합한 구조장비를 구조대상자에게 던져주어 잡게 한 후 안전지대로 옮 기는 기술이다.
(3)수영구조
☞입수동작
다리 벌려 들어가기: 이 기술은 물의 깊이가 1.5m이상 일 때 쓰인다. 익수자에게 시선확인을 유지하면서 빠르게 입수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다리 모아 들어가기: 낙하 유치가 수면에서부터 1~1.5m알 경우에 사용된다. 물의 깊이를 알 수 없다면 사용해서는 안 된다.
조심 들어가기: 구조대상자가 척추부상으로 추측되거나 물깊이가 1.5m이하일 경우, 또는 물속 상황을 알 수 없을 때 사용한다.
머리 먼저 들어가기: 이 기술은 빠르게 멀리 갈 수 있으며 곧바로 구조 영법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깊이(1.5m이상)와 물의 투명도를 알고 있을 때, 사용된다.
☞풀기: 구조자가 구조하러 갈 때에 익수자에게 붙잡힌 것을 푸는 것이다. 앞쪽에서 머리를 붙잡힐 경우 푸는 방법은 구조원이 재빨리 숨을 들이쉬고 익수자와 함께 잠수한다. 아래로 내려가면서 두 손으로 익수자의 팔 밑 부분을 위로 향하게 잡는다. 위쪽으로 힘차게 밀어내면서 턱을 끌어당기고 어깨를 움추리면 성공적으로 벗어날 수 있다. 이때 재빨리 뒤쪽으로 헤엄쳐 물러나서 더 안전한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이때에 익수자가 체구가 작은 어린아이이거나 안전지대까지의 거리가 짧다면 수영으로 익수자와 함께 안전지대로 이동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4)구조기술
☞의식 있는 구조대상자
준비서기에서(후방접근) 구조자는 손을 뻗어 익수자의 오른(왼)쪽 겨드랑이를 잡아 뒤로 끌 듯하며 위로 올린다. 익수자가 가능하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고 구조자는 익수자의 어깨와 겨드랑이 사이을 감아 잡은후 힘찬 다리차기와 함께 오른(왼) 동작으로 익수자를 수면으로 올리며 이동한다. 익수자의 얼굴이 물위로 나와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식이 없는 구조대상자
익수자의 위치가 수직일 경우에는 구조자의 두 팔로 익수자의 겨드랑이를 잡고 팔꿈치를 익수자의 등에 댄다. 손으로는 끌고 팔꿈치로는 미는 동작을 하여 익수자의 자세가 수면과 수평이 되도록 이끈다.
3. 수영수업의 장, 단점.
장점
최근 체력이 저하됨을 느끼면서 힘들었는데 좋아하는 수영을 통해 체력을 보강하는 기회가 되어 뿌듯했다. 여러 레포트를 작성하며 자신을 돌이켜보기도 하고 몰랐던 지식도 채울 수 있었던 것 같다. 무엇보다 집에서도 가깝고 시설 좋은 올림픽수영장에서 수업할 수 있어 좋았고 계절적으로 봄, 여름학기에 수강한 것도 잘 한 것 같다.
단점
학생들의 실력편차가 심한 것에 비에 학생의 수가 너무 많아서인지 체계적 지도를 받기 어렵고 수업시간이 길어 지루한 것 같아서 조금 아쉽다. 조금더 욕심을 가지어 지도를 받고 싶었지만 지도자에 비해 학생이 너무 많은 탓인 것 같다.
-참고자료-
http://www.swimdoctor.co.kr/
http://www.finflier.co.kr
대한수영연맹 사이트
국민생활체욱협의회 사이트
http://pool.cbsec.or.kr/flow/
추천자료
[구조조정사례]현대중기산업의 구조조정 사례, 한국전기초자의 구조조정 사례, 대우의 구조조...
[철도산업구조개혁]철도산업구조개혁의 필요성, 철도산업구조개혁의 추진배경, 철도산업구조...
[철도산업구조개혁][철도산업][철도개혁]철도산업구조개혁의 추진배경과 필요성, 철도산업구...
[공공부문구조조정][공공부문][구조조정][공공부문개혁][공기업][구조조정]공공부문의 의의, ...
[경쟁구조, 시장, 차입경영]경쟁구조와 시장, 경쟁구조와 차입경영, 경쟁구조와 자연적 지배...
[경영구조, 관광사업 경영구조, 재벌기업 경영구조, 학급 경영구조, 은행 경영구조, 일본인지...
[산업구조, 기술지식집약적, 지역, 전력, 관광, 미디어]기술지식집약적 산업구조, 지역산업구...
[기업구조조정, 기업구조조정 의미, 기업구조조정 원칙, 기업구조조정 방법]기업구조조정의 ...
[노동시장구조, 내부노동시장, 청년층노동시장, 여성빈곤]노동시장구조와 내부노동시장, 노동...
[기업구조조정, 기업, 구조조정, 기업구조조정 유형, 기업구조조정 원칙, 기업구조조정 현황]...
[공기업구조조정, 공기업, 기업, 구조조정, 공기업구조조정 경위]공기업구조조정의 경위, 공...
[기업지배구조]기업지배구조의 정의, 기업지배구조의 재산권이론, 기업지배구조의 결정요인, ...
[기업지배구조][지배구조]기업지배구조의 개념, 기업지배구조의 의의, 기업지배구조의 결정요...
[기업지배구조][기업지배구조 이사회]기업지배구조의 의미, 기업지배구조의 의의, 기업지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