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서론
Ⅱ.본론
Ⅲ.결론
Ⅳ.참고문헌
Ⅰ.서론
Ⅱ.본론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흥왕의 입장이 되어서 당시의 상황과 진흥왕의 업적을 살펴보았을 때 오로지 내 국가와 내 백성만을 생각한 왕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국제적으로 배신자라는 오명을 받았을 것은 분명할것같다. 그렇기에 백제는 이후 신라와의 관계는 급악화되어 계속하여 신라와 갈등하게된것을 미루어 짐작할 때 가능할것같다. 하지만 이것이 오로지 진흥왕 개인의 사욕을 위한 것 아니라 국가와 백성을 생각한 진흥왕의 고육지책이 아니었을까 라는 생각이 들면서 이후 신라의 삼국통일대업을 달성하기 위한 많은 초석을 다진 것으로 볼 때 진흥왕 개인의 욕심은 아니었던 것이 더욱 분명해진다.
Ⅳ.참고문헌
<한권으로 읽는 삼국왕조실록> 임병주, 들녘, 1998
<한권으로 읽는 신라 왕조 실록> 박영규, 웅진닷컴, 2001
<천년의 왕국 신라> 김기흥 , 창작과 비평사, 2000
<신라통사> 신형식, 도서출판 주류성, 2004
<신라의 역사> 이종욱, 김영사, 2002
<인물로보는 한국사> 정구복, 시아출판사, 2006
<원본 삼국사기> 이강래 역, 한길사, 1998
<하룻밤에 읽는 중국사> 미야자키 마사카츠, 오근영 역, 중앙 M&B, 2001
<이야기 한국고대사> 조법종외 청아출판사.2008
Ⅳ.참고문헌
<한권으로 읽는 삼국왕조실록> 임병주, 들녘, 1998
<한권으로 읽는 신라 왕조 실록> 박영규, 웅진닷컴, 2001
<천년의 왕국 신라> 김기흥 , 창작과 비평사, 2000
<신라통사> 신형식, 도서출판 주류성, 2004
<신라의 역사> 이종욱, 김영사, 2002
<인물로보는 한국사> 정구복, 시아출판사, 2006
<원본 삼국사기> 이강래 역, 한길사, 1998
<하룻밤에 읽는 중국사> 미야자키 마사카츠, 오근영 역, 중앙 M&B, 2001
<이야기 한국고대사> 조법종외 청아출판사.2008
추천자료
한국 동성애자의 역사
영국과 한국의 사회복지역사
서구 페미니즘미술과 한국 페미니즘미술의 역사와 전개과정
한국과 중국의 현대사 비교(역사적인 관점으로 본)
해방 이후의 한국 미술의 역사를 ‘양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20세기 중국의 역사적 경험과 한국사회
라면을 통해 바라본 한국문화 - 라면의역사와유래,라면시장조사,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노동운동(한국의노동정책, 노동운동역사, 지하철노조, 지하철노조의노동운동, 지하철노동문제...
중국과 일본의 한국 역사 왜곡 실태 - 임나일본부설 & 동북공정
한국 경제발전 과정의 역사에 대해
[문화인류학과 한국사회의 역사] 미시사란 무엇인가
[문화인류학과 한국사회의 역사] -몸을 통해 본 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