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평준화에 관한 언론사별 입장차이와 동일자료에 대한 해석, 나의 의견 정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고교평준화란
2. 고교평준화를 주제로 선택한 이유

Ⅱ. 본론
1. 고교평준화에 관한 언론사들 입장과 그 근거 비교
2. 고교평준화에 관한 동일한 자료에 대해 상이한 보도 제시
3. 고교평준화에 관한 토론결과, 합의한 내용과 견해 차이

Ⅲ. 결론

Ⅳ. 수집자료

본문내용

유로 인해서 고교평준화 제도를 반대한다. 함께 토론한 ‘000’양도 비슷한 의견을 가졌는데 정리를 해보면 다음과 같다. 평준화 제도를 도입하는 이유가 입시위주의 교육과 학교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한 것인데 학생들의 개인차가 존중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판하였고 학습기회의 평등을 위해서라도 비평준화가 실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비평준화가 실시되면 학생들의 수준이 비슷해지기 때문에 교사가 가르칠 때도 효율적이지만, 평준화제도는 받아들이는 이해영역과 정도, 능력이 다르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하였다. 그리고 가정형편상 특목고를 가지 못하는 상위권 아이가 손해를 보게 된다고 하였다. 서로 각자에게 맞는 교육이 아니기 때문에 학습 면에서 능률도 떨어지고 분위기 조성되지 않아 공부하는데 혼란스러울 것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고교평준화를 반대하였다.
각자의 의견과 주장에 대해 서로 토론한 결과, 합의한 내용에 따르면 고교평준화를 반대하는 이유를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사교육이 증가한다. 사교육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원래의 목적과는 반대로 역효과가 나타나 사교육의 부담이 더 커지고 사교육비가 더 많이 든다는 문제가 생긴다. 둘째,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수업 분위기와 집중도가 떨어지고 수준차이도 생기기 때문이다. 셋째, 형식상의 평준화에 불과하다. 평준화라는 틀 안에서의 비평준화 교육이 이루어지다. 그리고 평준화제도라는 것은 곧 실속 없는 교육과 같다. 이러한 이유로 고교평준화 제도에 대해 반대하였다.
Ⅲ. 결론
이상으로 고교 평준화에 대한 중앙일보와 Pressian의 입장과 그 근거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보수 신문사인 중앙일보는 고교 평준화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었고, 진보 신문사인 Pressian은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다. 이번 과제를 하면서 신문사별로 입장차이가 분명하다는 것을 몸소 깨닫게 되었다. 중앙일보는 고교평준화 제도에 대해서 토론 도중 나왔던 반대의견만을 가지고 사설을 쓰고, 자신들에게 유리한 내용만을 발취해 기사를 내보내는 등 고교평준화 제도에 대해서 반대하는 입장을 드러냈다. 반면에 Pressian은 이러한 중앙일보의 태도와 기사내용에 비판하는 기사를 쓰며 고교평준화 제도를 찬성하고 문제점이 있으면 보안을 해서 계속 시행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이상으로 고교평준화 제도에 대한 중앙일보와 Pressian의 기사를 찾아보고 그 신문사들의 입장과 그에 따른 근거에 대해서도 알아보았고, 그에 대해 토론도 하며 과제를 통해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았다. 솔직히 말해 신문이나 뉴스를 즐겨 보는 스타일이 아니라서 어렸을 때뿐만 아니라 이번 수업을 듣기 전까지만 해도 신문이나 언론의 입장차이가 이렇게 심각하다는 것을 알지 못하였다. 그저 선생님의 말은 항상 옳은 것으로 믿고 따라온 것처럼 신문도 마찬가지로 항상 옳은 것과 사실만을 보도한다고 생각했던 것은 착각이었단 걸 지금은 알게 되었다. 교육사회라는 수업을 들음으로써 언론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그리고 정치인들의 입장과 이익을 대변해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를 이번 과제를 통해서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소수의 정치인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다수의 일반인을 상대로 하는 언론이라는 매체를 이용한다는 것이 정말 파렴치하고 정당하지 못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학생들을 상대로 가르쳐야 할 교사의 꿈을 안고 사는 한 사람으로써 이러한 정치와 그리고 교육과 관련된 사항을 너무나 무시하고 외면했다는 사실이 조금은 부끄러워진다. 앞으로 교단에 서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제대로 된 사회와 교육을 인식하게 하고 올바르게 나가가도록 길을 인도하기 위해서 교사가 되는 그날까지, 교사가 된 이후에도 마찬가지이지만 끊임없이 노력하고 전공공부 뿐만 아니라 정치와 교육과 관련된 사항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Ⅳ. 수집자료
네이버 백과사전
Pressian : [기사]국제학력평가 1위, 핀란드의 비결은? 2007-10-22
Pressian : [칼럼]산소마스크를 쓰고 연명하는 고교평준화 2007-07-03
Pressian : [기사]정운찬 총리發, 교육 개혁? "글쎄…" 2009-09-03
Pressian : [기사]"평준화 지역이 수능 성적·학업 성취도 더 높다" 2009-09-24
Pressian : [기사]"경기도 평준화 지역, 학력 더 높고 격차 작다" 2009-10-07
Pressian : [칼럼]'가짜 평준화'에 속았다? 제 얼굴에 침뱉는 언론 2009-10-15
Pressian : [기사]교육부총리 "평준화 정책 유지" 2003-10-27
Pressian : [리포트]“고교 평준화 폐지" 7명 전원 반대 2002-02-27
Pressian : [칼럼]당신의 아들딸이 '특수학생'이 된다면? 2008-08-27
Pressian : [기사]고교평준화가 '문제의 축'인가 2002-02-27
Pressian : [기사]"획일적인 교육통제 반대가 꼭 평준화 해체론은 아니다" 2006-09-06
중앙일보 : [기사][고교 평준화 30년을 해보니…] 사교육의존 `부익부 빈익빈 2003.11.13
중앙일보 : [칼럼]윤종용 `평준화 말도 안돼…경쟁없이 발전없다` 2010.06.23
중앙일보 : [사설]드러난 고교 학력차 무시할 수 있나 2004-09-10
중앙일보 : [사설칼럼][반론] 박정희는 왜 평준화 조치를 취했을까 2009.12.07
중앙일보 : [기사]언.수.외 3영역 표준점수 합산 상위 30곳 중 일반고 4곳뿐 2010.04.16
중앙일보 : [사설칼럼][내생각은…] 고교 평준화가 부른 교육 혼란 2007.12.17
중앙일보 : [기사]경기교육감 `고교평준화 문제 많다 2006.11.24
중앙일보 : [사설칼럼][온&오프토론방] 고교 준화制 유지해야 하나 - 반대 2003.10.20
중앙일보 : [사설칼럼][중앙시평] 칼집 2009.11.19
중앙일보 : [사설칼럼]고교평준화 무차별 폐지는 안돼] 2003.11.05
중앙일보 : [기사]평준화가 고교 획일화 조장 수월성·평등성 모두 죽었다`] 2006.09.04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7.14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3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