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나라 건국소설 봉신연의 1,2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나라 건국소설 봉신연의 1,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말이다. 유사한 표현으로는 血流漂櫓(방패 로{노}; -총19획; lu)
脂如泉。
약붕궐각제계수 혈류표저지여천.
만약 그 뿔이 무너지듯 나란히 머리를 조아리니 피가 흘러 절구공이가 떠나니며 샘처럼 기름졌다.
戎 戒(경계할 계; -총7획; jie)의 원문은 戎(되, 병기 융; -총6획; rong)이다. 戎衣:오랑캐, 융복, 군사의 의복
衣甫着 著(분명할 저; -총13획; zhu,zhuo)의 원문은 着(붙을 착{저}; -총11획; zhuo,zhu)이다.
天下定,更於成湯增光。
융의포착천하정 갱어성탕증광연.
군사의 옷으로 천하를 안정하니 다시 성탕왕의 광채와 아름다움을 더한다.
牧馬華山화산: 화인 현[華陰縣]에 있으며, 친링 산맥[秦嶺山脈]의 동쪽 끝부분에 속한다. 옛날에는 태화산(太華山) 또는 서악(西嶽)이라고 불렸다. 한가운데에 있는 위뉘 봉[玉女峰], 동쪽의 차오양 봉[朝陽峰], 서쪽의 롄화 봉[蓮花峰], 남쪽의 뤄옌 봉[落雁峰], 북쪽의 우윈 봉[五雲峰] 등 5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멀리서 보면 그 모습이 연꽃과 같아 \'화산\'이라고 부른다. 화강암 단괴로 형성된 산으로, 최고봉의 높이는 해발 1,997m이다. 험준하고 기이한 봉우리와 우뚝 솟은 절벽이 웨이허 강[渭河] 평원을 내려다보며, 깎아지른 듯한 천길 낭떠러지를 이루고 있어 예로부터 관광 명승지로 알려졌다. 화산은 비가 많이 오는 지역으로, 물이 암석지대로 몰려들어 하늘로 치솟은 형태의 골짜기를 이룬다. 골짜기에 쌓여 있는 거대한 바위덩어리인 유명한 \'위스\'[魚石]는 청(淸)나라 강희연간(康熙年間:1662~1722)에 폭발한 흙·모래·돌이 섞여 일어난 물사태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화산 북쪽 언덕의 큰 단층은 최근까지도 활동을 계속했다. 1556년 화 현[華縣]에서 발생한 지진은 리히터 척도 8에 해당하는 강력한 것이었다.
示偃武 언무:무기(武器)를 보관(保管)하고 쓰지 않음. 곧 전쟁(戰爭)이 끝이 남
,開我周家八百年。
목마화산시언무 개아주가팔백년.
말을 치고 화산에서 무기를 쉼을 보이니 우리 주나라 800년을 열었다.
太白旗 주(周)의 무왕(武王)이 목야(牧野)에서 은(殷) 주왕(紂王)을 칠 때에 태백기(太白旗)를 휘둘러서 제후를 지휘하였다.
懸獨夫 독부:인심(人心)을 잃어서 원조(援助)를 받을 곳이 없게 된 외로운 남자(男子). 독신(獨身)인 남자(男子). 악정(惡政)을 행(行)하여 국민(國民)으로부터 따돌림을 받은 군주(君主)
死,戰亡將士幽魂潛。
태백기현독부사 전망장사유혼잠.
태백기가 매달리고 한 남자[紂王]가 죽으니 전장에서 죽은 장사의 유명을 달리한 혼이 잠긴다.
天挺人賢號父,封神壇上列花箋,大小英靈尊位次,商周演義古今傳。
천정인현호상보 봉신단상열화전 대소영령존위차 상주연의고금전.
하늘이 사람의 현명함을 잡고 상보라고 호칭하며 봉신단위에 꽃과 전을 나열하니 크고 작은 영웅 신령의 위치가 차례대로 되며 상나라 주나라의 연의가 고금에 전해진다.
成湯乃黃帝之後也,姓子氏。
성탕내황제지후야 성자씨.
성탕은 황제의 후손이며 성은 자씨이다.
初,帝 제곡: 옛날 중국(中國)의 오제(五帝)의 한 사람 황제(黃帝)의 증손(曾孫)이요, 요(堯)의 할아버지라고도 함 전욱을 보좌(補佐ㆍ輔佐)하여 그 공으로 신(辛) 땅에 봉하였다가 다시 전욱의 뒤를 이어서 박() 땅에 도읍(都邑)하였으므로 고신씨(高辛氏)라 일컬음
次妃簡狄 \'은나라 契(맺을 계; -총9획; xie)의 어머니는 간적(簡狄)이다. 유융씨의 딸로서 제곡의 둘째 부인이 되었다. 세사람이 목욕을 하다가 현조가 알을 떨어뜨리는 것을 보고 간적이 그것을 주워 삼켰다. 그로하여 잉태한 후 계를 낳았다.\' 이는 고구려의 주몽, 신라의 혁거세, 여섯 가야의 시조 등이 알에서 태어난 것이라든가, 선녀가 물고온 과일을 먹고 잉태하여 만주족의 시조를 낳았다는 설화와 비슷하다.
祈於高,有玄鳥之祥,遂生契。
초제곡차비간적기우고매 유현조지상 수생계.
초기에 제곡의 둘째 비인 간적이 고매에서 기도를 하여 검은 새의 상서로움이 있어서 계를 낳았다.
契事唐虞 당우: 중국(中國)의 도당씨(陶唐氏)와 유우씨(有虞氏). 곧 요와 순의 시대(時代)를 함께 이르는 말로 중국(中國) 사상(思想)의 이상적(理想的) 태평(太平) 시대(時代)로 치는 시대(時代)임
爲司徙,民有功,封於商。
계사당우위사도위사도 교민유공 봉어상.
계는 당우[요순]를 섬겨 사도가 되어 백성을 교화함에 공로가 있어서 상에 봉해졌다.
傳十三世生太乙,是爲成湯 商 湯王:이름 이(履) 또는 천을(天乙) ·태을(太乙). 탕은 자이며, 성탕(成湯)이라고도 한다.
史記에 의하면 시조 설(契)의 14세에 해당한다.
商은 원래 夏의 속국이었는데 하왕조 말년 걸왕(桀王)이 학정을 하여 내부모순이 극에 다달았으나 성탕은 유덕하여 백성들이 따르고 제후들의 대부분이 유덕(有德)한 성탕에게 복종하여 세력은 날로 증강하였다. 걸왕은 이를 눈치채고 성탕을 하대(夏臺)에 유폐하여 죽이려 하였으나, 재화와 교환하여 돌아온 후 하나라를 치기위한 준비를 하였다. 탕왕은 박에서 제후들을 소집하여 하나라 정벌이 청명임을 선포하고 현상(賢相) 이윤(伊尹) 등의 도움을 받아 걸왕을 명조(鳴條)에서 격파하였으며 걸왕은 남소에서 죽었다. 성탕이 국호를 商이라 정하여 개국군주가 되었다. 탕이 즉위 후 관용으로 백성을 다스리니 국력이 강성하였다.
註: 그가 걸왕을 멸한 행위는 유교에서 주(周)나라 무왕(武王)이 은나라 주왕(紂王)을 토벌한 일과 함께, 올바른「혁명」의 군사행동이라 불리고 있다. 「서경(書經)」의 탕서편(湯誓篇)은 그때의 군령(軍令)이라 전해진다.

전십삼세생태을 시위성탕.
13세대에 전해져 태을을 낳으니 이가 성탕왕이다.
聞伊尹이윤: 이름은 집이고 아형이라고도 한다. 상나라 현신이다. 그는 지략이 뛰어나 하나라를 멸망시킬 때 큰 공을 세웠다. 상조 초기 탕왕부터 태갑(4대 왕)까지 줄 곧 상왕조를 보필함으로서 국가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사기 은본기는 「帝 태갑이 즉위한 지 3년이 되었으나 현명치 못하고 포악스러우며 성탕법도 없애고 부덕하여 이윤이 그를 동궁(성탕의 묘가 있는 곳)으로 추방했다」고 적혀 있다. 이것이 그 유명한 이윤이 태갑왕을 내

키워드

주왕,   봉신연의,   허중림,   우혼,   숭후호,   소호,   소전충,   여와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69페이지
  • 등록일2010.07.19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46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