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술실에서 환자 맞이하기
Positioning
Gown Technique
Glove Technique
Sponge count
Specimens 다루는 법
봉합사와 봉합침
수술실에서사용하는 기구 및 소모품(종류/특수성/사용법)
Scrub Nurse의 책임
Circulating Nurse의 책임
종류(전신마취, 부분마취)
마취간호사의 역할
사용하는 기구 및 소모품
Immediate Post-op care
Positioning
Gown Technique
Glove Technique
Sponge count
Specimens 다루는 법
봉합사와 봉합침
수술실에서사용하는 기구 및 소모품(종류/특수성/사용법)
Scrub Nurse의 책임
Circulating Nurse의 책임
종류(전신마취, 부분마취)
마취간호사의 역할
사용하는 기구 및 소모품
Immediate Post-op care
본문내용
tube : 튜브를 철사로 감아 외부의 압력으로 튜브가 꼬이거나 꺽이지 않도록 만든 것으로 수술시 환자의 체위에 따라 사용하며, 크기는 일반 튜브와 같게 사용하면 된다.
-Laser tube : 실리콘이 내장되어 있어 레이져 사용시 발생되는 열과 연소를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때는 cuff를 소독된 생리수로 팽창시키는 것이 좋다.
-Double lumen tube(Broncho catheter) : 두 개의 튜브가 같이 있는 것으로 주로 폐수술시 사용한다.
-Aika : 환자가 마취에서 깨면서 tube를 물지 않도록 또한 혀를 깨물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endotracheal tube와 같이 삽입한다.
-탐침(Stylet) : 기관 내 튜브의 만곡도를 유지시켜 주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유연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다. 사용 시 주의할 점은 탐침이 튜브의 바깥쪽으로 튀어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한다.
-Circuit, ambu mask
마취에 필요한 것으로 보통 한 환자당 1개의 circuit과 mask가 사용되며, 사용 전에 마취기에 걸어서 새는 곳이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Airway
oral airway와 nasal airway 두 종류가 있으며 마취 시작할 때와 끝날 때 환자의 기도유지에 사용된다.
-Temperature
수술 중에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보통은 마취기에 부착할 수 있으며 모니터를 통해 알 수 있다.
-Suction catheter
마취 시작할 때, 혹은 마취 끝날 때 환자의 기도에 있는 분비물을 흡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환자의 나이에 따라 준비한다.
-마취 유도 시 사용되는 약물
Fentanyl: 단 시간형 마약성 진통제
Pentotal sodium: 초 단시간 형 마취제
Succicholine: 근 이완제
Vecaron: 골격 이완제
회복실
Immediate Post-op care
회복실이란?
-회복실은 전신마취 및 수술환자가 수술 후 생리적 불균형으로부터 회복될 때까지 집중적인 간호를 받게 되는 곳으로 마취과 의사와 회복실 간호사가 관리하게 된다.
-회복실 설치의 목적 : 의료 인력과 시설을 집중적, 능률적, 경제적으로 관리하여 수술 후의 치료를 신속히 하여 환자의 회복을 도와줌은 물론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에 있다.
-마취과 의사, 외과의사, 수술실 간호사의 협조아래 환자를 수술실로부터 회복실로 이동시킨다.
-환자의 일반적 상태를 관찰하고 수액 및 수혈 유지침이나 수술절개 부위의 배액관(drain)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기도확보를 위해 환자의 턱을 위로 젖히고 구토에 의한 흡인(aspiration)을 막기 위해 환자의 얼굴은 옆으로 향하게 하여 조용히 이동 시킨다.
대상자는 마취로부터 회복하고, 활력징후가 안정되며,
출혈의 징후가 없어질 때까지 PACU에서 간호를 받게
된다.
1. 기초사정
기도: 개방성, 구강이나 비강의 기도, 기관 내 삽관,
쉰 목소리, 급성 후두염, 협착음, 천명음
호흡: 호흡수와 질, 호흡음 청진, 산소 포화도, 비강 캐
뉼러 혹은 마스크를 통한 산소 공급
순환: 심전도 모니터링(심박수와 리듬), 혈압, 체온과 피
부의 색, 말초맥박
신경계: 의식 수준, 지남력, 감각과 운동상태, 구개반사
를 포함한 반사
수술 부위: 드레싱, 상처배액
통증: 절개, 기타
2. 마취 회복
-마취의 효과가 점차 사라지면서 대상자는 통증을 느끼기
시작하고 신음하며 부적절하게 움직이기 시작한다.
PACU간호사는 대상자의 상태를 잘 관찰한다.
PACU에 들어온 후 15분 동안은 매 5분마다, 그 후는 매
15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과도한 호흡음은 호흡기도 내에 분비물이 축적되었다는 징후며, 호흡음의 감소는 무기폐, 폐렴 또는 기흉 등 합병증이 있음을 의미한다.
입술의 청색증, 피부색, 손톱 색을 관찰한다. 저산소증의
초기 증상은 안절부절못하는 것으로, 이는 산소 투여가
필요하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수술 직후 상기도 연조직의 폐쇄에 의한 호흡기 폐쇄가
종종 나타난다. 연조직 폐쇄는 보통 혀의 후엽이 이완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후두 경련은 구강 분비물, 혈액, 토물 등이 성대를 자극함으로써 생기며,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므로 즉시
치료해야 한다.
체온의 저하로 오한을 느낄 수 있는데 신체가 열을 발생하기 위해 떨게 되고 동시에 산소 요구도가 증가한다.
마취로부터 운동 기능이 회복될 때 대상자는 사지에 무거운 감을 느끼고 움직이기 어렵지만 점차 감각과 운동
이 회복된다. 간호사의 손을 꽉 쥐어보게 하여 운동 기능의 회복 정도를 사정할 수 있다.
대상자의 행위나 지남력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의 단계를
사정한다. 일반적으로 대상자들은 처음에 통증에 반응 하
고, 그 다음에는 언어 자극과 주변에 반응하며, 마지막으로 대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회복실에서의 퇴실기준
1. 전신마취 수술시 보통 2시간 정도 PACU에 머무르며,
다음과 같은 상태라면 병실로 이동한다.
대상자가 깨어 있거나 쉽게 깨울 수 있다.
활력징후가 안정되어 있다.
호흡기계의 기능이 적절하고 산소포화도가 90% 이상.
지나친 출혈이나 배액이 없고 순환기계의 기능이 적절.
국소마취의 경우, 마취 부위의 감각과 운동 기능이 어느
정도 회복되었을 때.
-당일 수술인 경우
회복실 퇴실 기준에 해당한다.
최소한 30분간 정맥으로 주입하는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
하지 않았다.
오심과 구토가 거의 없다.
배뇨를 했다(수술 절차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환자를 돌볼 수 있는 보호자가 있다.
퇴원 교육을 했고 이해했다.
2. 회복실 퇴실 기준을 점수화 (ARCCC)
-activity(활동), respiration(호흡), circulation(순환),
consciousness(의식), color(피부 색깔)를 점수화 한것
(그림참고)
<회복실 퇴실 기록지>
각각 2점씩 총 10점 만점이다.
총 10점이 되어야 회복실 퇴실이 가능하며, 총점 10점이하시에는 의사의 지시가 있어야 퇴실이 가능하다.
대상자가 회복실에 도착해서 2번 측정하는데, 처음 대상자가 회복실을 방문하면서 한번 체크하며, 퇴실 전에 또 한 번 체크한다.
-Laser tube : 실리콘이 내장되어 있어 레이져 사용시 발생되는 열과 연소를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때는 cuff를 소독된 생리수로 팽창시키는 것이 좋다.
-Double lumen tube(Broncho catheter) : 두 개의 튜브가 같이 있는 것으로 주로 폐수술시 사용한다.
-Aika : 환자가 마취에서 깨면서 tube를 물지 않도록 또한 혀를 깨물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endotracheal tube와 같이 삽입한다.
-탐침(Stylet) : 기관 내 튜브의 만곡도를 유지시켜 주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유연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다. 사용 시 주의할 점은 탐침이 튜브의 바깥쪽으로 튀어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한다.
-Circuit, ambu mask
마취에 필요한 것으로 보통 한 환자당 1개의 circuit과 mask가 사용되며, 사용 전에 마취기에 걸어서 새는 곳이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Airway
oral airway와 nasal airway 두 종류가 있으며 마취 시작할 때와 끝날 때 환자의 기도유지에 사용된다.
-Temperature
수술 중에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보통은 마취기에 부착할 수 있으며 모니터를 통해 알 수 있다.
-Suction catheter
마취 시작할 때, 혹은 마취 끝날 때 환자의 기도에 있는 분비물을 흡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환자의 나이에 따라 준비한다.
-마취 유도 시 사용되는 약물
Fentanyl: 단 시간형 마약성 진통제
Pentotal sodium: 초 단시간 형 마취제
Succicholine: 근 이완제
Vecaron: 골격 이완제
회복실
Immediate Post-op care
회복실이란?
-회복실은 전신마취 및 수술환자가 수술 후 생리적 불균형으로부터 회복될 때까지 집중적인 간호를 받게 되는 곳으로 마취과 의사와 회복실 간호사가 관리하게 된다.
-회복실 설치의 목적 : 의료 인력과 시설을 집중적, 능률적, 경제적으로 관리하여 수술 후의 치료를 신속히 하여 환자의 회복을 도와줌은 물론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에 있다.
-마취과 의사, 외과의사, 수술실 간호사의 협조아래 환자를 수술실로부터 회복실로 이동시킨다.
-환자의 일반적 상태를 관찰하고 수액 및 수혈 유지침이나 수술절개 부위의 배액관(drain)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기도확보를 위해 환자의 턱을 위로 젖히고 구토에 의한 흡인(aspiration)을 막기 위해 환자의 얼굴은 옆으로 향하게 하여 조용히 이동 시킨다.
대상자는 마취로부터 회복하고, 활력징후가 안정되며,
출혈의 징후가 없어질 때까지 PACU에서 간호를 받게
된다.
1. 기초사정
기도: 개방성, 구강이나 비강의 기도, 기관 내 삽관,
쉰 목소리, 급성 후두염, 협착음, 천명음
호흡: 호흡수와 질, 호흡음 청진, 산소 포화도, 비강 캐
뉼러 혹은 마스크를 통한 산소 공급
순환: 심전도 모니터링(심박수와 리듬), 혈압, 체온과 피
부의 색, 말초맥박
신경계: 의식 수준, 지남력, 감각과 운동상태, 구개반사
를 포함한 반사
수술 부위: 드레싱, 상처배액
통증: 절개, 기타
2. 마취 회복
-마취의 효과가 점차 사라지면서 대상자는 통증을 느끼기
시작하고 신음하며 부적절하게 움직이기 시작한다.
PACU간호사는 대상자의 상태를 잘 관찰한다.
PACU에 들어온 후 15분 동안은 매 5분마다, 그 후는 매
15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과도한 호흡음은 호흡기도 내에 분비물이 축적되었다는 징후며, 호흡음의 감소는 무기폐, 폐렴 또는 기흉 등 합병증이 있음을 의미한다.
입술의 청색증, 피부색, 손톱 색을 관찰한다. 저산소증의
초기 증상은 안절부절못하는 것으로, 이는 산소 투여가
필요하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수술 직후 상기도 연조직의 폐쇄에 의한 호흡기 폐쇄가
종종 나타난다. 연조직 폐쇄는 보통 혀의 후엽이 이완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후두 경련은 구강 분비물, 혈액, 토물 등이 성대를 자극함으로써 생기며,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므로 즉시
치료해야 한다.
체온의 저하로 오한을 느낄 수 있는데 신체가 열을 발생하기 위해 떨게 되고 동시에 산소 요구도가 증가한다.
마취로부터 운동 기능이 회복될 때 대상자는 사지에 무거운 감을 느끼고 움직이기 어렵지만 점차 감각과 운동
이 회복된다. 간호사의 손을 꽉 쥐어보게 하여 운동 기능의 회복 정도를 사정할 수 있다.
대상자의 행위나 지남력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의 단계를
사정한다. 일반적으로 대상자들은 처음에 통증에 반응 하
고, 그 다음에는 언어 자극과 주변에 반응하며, 마지막으로 대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회복실에서의 퇴실기준
1. 전신마취 수술시 보통 2시간 정도 PACU에 머무르며,
다음과 같은 상태라면 병실로 이동한다.
대상자가 깨어 있거나 쉽게 깨울 수 있다.
활력징후가 안정되어 있다.
호흡기계의 기능이 적절하고 산소포화도가 90% 이상.
지나친 출혈이나 배액이 없고 순환기계의 기능이 적절.
국소마취의 경우, 마취 부위의 감각과 운동 기능이 어느
정도 회복되었을 때.
-당일 수술인 경우
회복실 퇴실 기준에 해당한다.
최소한 30분간 정맥으로 주입하는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
하지 않았다.
오심과 구토가 거의 없다.
배뇨를 했다(수술 절차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환자를 돌볼 수 있는 보호자가 있다.
퇴원 교육을 했고 이해했다.
2. 회복실 퇴실 기준을 점수화 (ARCCC)
-activity(활동), respiration(호흡), circulation(순환),
consciousness(의식), color(피부 색깔)를 점수화 한것
(그림참고)
<회복실 퇴실 기록지>
각각 2점씩 총 10점 만점이다.
총 10점이 되어야 회복실 퇴실이 가능하며, 총점 10점이하시에는 의사의 지시가 있어야 퇴실이 가능하다.
대상자가 회복실에 도착해서 2번 측정하는데, 처음 대상자가 회복실을 방문하면서 한번 체크하며, 퇴실 전에 또 한 번 체크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