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브레인스토밍이란?
2.브레인스토밍의 특징
3.브레인스토밍을 사용하는 상황
4.브레인스토밍의 4가지 기본원칙
5.브레인스토밍의 진행
6.유의사항
7.장점 및 단점
2.브레인스토밍의 특징
3.브레인스토밍을 사용하는 상황
4.브레인스토밍의 4가지 기본원칙
5.브레인스토밍의 진행
6.유의사항
7.장점 및 단점
본문내용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즉, 진지하게 들어주고 우습게 여기지 않는다는 느낌이 들게 해 준다. 개인적 판단을 피하는 분위기 속에서 모든 구성원에게 참여할 기회를 준다.
아홉 번째, 주어진 시간 내에 나온 토의 내용을 최종적으로 기록자와 구성원이 협의하여 일정한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한다.
3) 구성원(참가자)의 역할
첫 번째, 구성원(참가자)는 브레인스토밍에서 토의될 주제를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두 번째, 구성원는 다른 구성원이 발언한 내용에 대해서 비평하거나 논쟁을 하지 않아야 한다.
세 번째, 구성원은 서로 자유롭게 상대방의 아이디어가 최대한 많이 나올 수 있도록 무언중에 격려하고 상대방의 의견에 대하여 의심을 하지 말아야 한다.
네 번째, 다른 토론에서와 같이 형식에 얽매이지 말고 일정한 규칙 내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최대한 많이 표출 하도록 한다.
다섯 번째, 주제의 내용에서 벗어나거나 자신의 인기에 치중한 의견 제시는 삼가야한다.
여섯 번째, 구성원은 다른 참가자의 의견 주장이 최대한 보장되도록 해야 한다. 즉, 일방적이고 독점적인 발언분위기를 조성해서는 안 된다.
일곱 번째, 구성원은 다른 참가자의 의견 주장이 최대한 보장되도록 해야 한다. 즉, 일방적이고 독점적인 발언분위기를 조성해서는 안 된다.
여덟 번째, 구성원은 가능한 한 다른 참가자가 제시한 내용을 중복적으로 제시하지 말아야 한다.
아홉 번째, 구성원은 다른 참가자의 의견이 재미없고 지루하더라도 끝까지 들어주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6. 브레인스토밍의 유의사항
브레인스토밍식 평생교육방법이 이루어 질수 있는 조건을 중심으로 해서 필요한 유의사항을 보면, 첫 번째로 집단 구성원들끼리 서로 잘 알고 있거나 자유스럽게 이야기 할 수 있는 구성원들로 형성 되면 좀 더 효과적인 브레인스토밍식 평생교육 방법을 전개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집단 구성원 모두가 자유롭게 의사표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세 번째로 집단 구성원 각자의 사회적 지위는 무시되어야 하며 각자의 아이디어 모두가 가치 있다고 여겨져야 한다.
네 번째로 당장 어떤 결론을 내려야 하는 주제가 아니고 장기적 또는 융통성 있게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주제가 좋다.
다섯 번째로 한 주제에 대하여 토론 한 시간은 40~60분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크게 신경을 쓸 필요는 없다. 사회자가 필요에 따라서 시간을 조절 할 수 있다.
여섯 번째로 토론 장소는 자유롭고 진지하게 토의 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7. 브레인스토밍의 장 단점
브레인스토밍의 장점은 첫 번째로 배우기가 쉽고, 두 번째로 재미가 있다는 것 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어떤 주제 던지 토론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단점으로는 첫 번째, 자칫 잘못하면 시간낭비로 끝날 수가 있다. 두 번째로 토론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고도의 사회자의 기술이 필요하다.
8. 참고문헌
도서
평생교육 방법론 <저자: 김남선>
브레인스토밍 100배 잘하기 <저자: 제이슨 리치>
인터넷사이트
삼성경제연구소
아홉 번째, 주어진 시간 내에 나온 토의 내용을 최종적으로 기록자와 구성원이 협의하여 일정한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한다.
3) 구성원(참가자)의 역할
첫 번째, 구성원(참가자)는 브레인스토밍에서 토의될 주제를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두 번째, 구성원는 다른 구성원이 발언한 내용에 대해서 비평하거나 논쟁을 하지 않아야 한다.
세 번째, 구성원은 서로 자유롭게 상대방의 아이디어가 최대한 많이 나올 수 있도록 무언중에 격려하고 상대방의 의견에 대하여 의심을 하지 말아야 한다.
네 번째, 다른 토론에서와 같이 형식에 얽매이지 말고 일정한 규칙 내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최대한 많이 표출 하도록 한다.
다섯 번째, 주제의 내용에서 벗어나거나 자신의 인기에 치중한 의견 제시는 삼가야한다.
여섯 번째, 구성원은 다른 참가자의 의견 주장이 최대한 보장되도록 해야 한다. 즉, 일방적이고 독점적인 발언분위기를 조성해서는 안 된다.
일곱 번째, 구성원은 다른 참가자의 의견 주장이 최대한 보장되도록 해야 한다. 즉, 일방적이고 독점적인 발언분위기를 조성해서는 안 된다.
여덟 번째, 구성원은 가능한 한 다른 참가자가 제시한 내용을 중복적으로 제시하지 말아야 한다.
아홉 번째, 구성원은 다른 참가자의 의견이 재미없고 지루하더라도 끝까지 들어주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6. 브레인스토밍의 유의사항
브레인스토밍식 평생교육방법이 이루어 질수 있는 조건을 중심으로 해서 필요한 유의사항을 보면, 첫 번째로 집단 구성원들끼리 서로 잘 알고 있거나 자유스럽게 이야기 할 수 있는 구성원들로 형성 되면 좀 더 효과적인 브레인스토밍식 평생교육 방법을 전개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집단 구성원 모두가 자유롭게 의사표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세 번째로 집단 구성원 각자의 사회적 지위는 무시되어야 하며 각자의 아이디어 모두가 가치 있다고 여겨져야 한다.
네 번째로 당장 어떤 결론을 내려야 하는 주제가 아니고 장기적 또는 융통성 있게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주제가 좋다.
다섯 번째로 한 주제에 대하여 토론 한 시간은 40~60분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크게 신경을 쓸 필요는 없다. 사회자가 필요에 따라서 시간을 조절 할 수 있다.
여섯 번째로 토론 장소는 자유롭고 진지하게 토의 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7. 브레인스토밍의 장 단점
브레인스토밍의 장점은 첫 번째로 배우기가 쉽고, 두 번째로 재미가 있다는 것 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어떤 주제 던지 토론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단점으로는 첫 번째, 자칫 잘못하면 시간낭비로 끝날 수가 있다. 두 번째로 토론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고도의 사회자의 기술이 필요하다.
8. 참고문헌
도서
평생교육 방법론 <저자: 김남선>
브레인스토밍 100배 잘하기 <저자: 제이슨 리치>
인터넷사이트
삼성경제연구소
추천자료
[평생교육 방법론]평생교육 인터뷰 조사
평생교육방법에서의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평생교육방법의 형태 중에서 브레인스토밍에 대하여
기관별 평생(사회)교육방법론
평생교육의 이념과 평생교육의 발전방향과 과제
매체중심 평생교육 방법론
평생교육방법의 형태 중에서 브레인스토밍에 대하여
[교육학과]평생교육 학습 지도안 및 평생교육방법 평가 프로젝트 -독서 논술 수업-
[평생학습]평생학습(평생교육)의 의의, 평생학습(평생교육)의 배경, 평생학습(평생교육)의 요...
평생교육(평생학습)의 정의, 평생교육(평생학습) 목표, 평생교육(평생학습) 특성, 평생교육(...
[평생학습][평생교육]평생학습(평생교육)의 개념, 평생학습(평생교육)의 성격, 평생학습(평생...
평생교육 방법론
평생 교육 방법론
[평생교육] 토의법의 유형 - 브레인스토밍, 버즈그룹, 허들그룹, 심포지엄, 세미나, 콜로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