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
1) 브레인스토밍의 원칙
2) 브레인스토밍의 단계
2. 버즈그룹(Buzz group)
1) 버즈그룹의 특징
2) 버즈그룹의 기대효과
3. 허들그룹(Huddle group)
1) 허들그룹의 특징
2) 허들그룹의 진행절차
4. 심포지엄(Symposium)
1) 심포지엄의 특징
2) 심포지엄의 기대효과
5. 세미나(Seminar)
1) 세미나의 특징
2) 세미나의 장점
6. 콜로키(Colloquy)
1) 콜로키의 특징
2) 콜로키의 기대효과
7. 패널토의(Panel)
8. 포럼(Forum)
참고문헌
1) 브레인스토밍의 원칙
2) 브레인스토밍의 단계
2. 버즈그룹(Buzz group)
1) 버즈그룹의 특징
2) 버즈그룹의 기대효과
3. 허들그룹(Huddle group)
1) 허들그룹의 특징
2) 허들그룹의 진행절차
4. 심포지엄(Symposium)
1) 심포지엄의 특징
2) 심포지엄의 기대효과
5. 세미나(Seminar)
1) 세미나의 특징
2) 세미나의 장점
6. 콜로키(Colloquy)
1) 콜로키의 특징
2) 콜로키의 기대효과
7. 패널토의(Panel)
8. 포럼(Forum)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와 진행자 간의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해 학습효과를 고양시킬 수 있다.
⑤ 진행자가 체계적 조직적으로 콜로키를 잔행하게 되면 자연스럽고 깊이 있는 토의가 가능해진다. 또한 모든 참석자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해당 주제에 대한 광범위한 학습이 가능하다.
7. 패널토의(Panel)
패널은 특정 주제에 관심 있는 3~6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토론집단이다. 배심토의라고 불리는 패널토의는 패널 구성원이 진행자에 의해 대화의 형태로 토의하는 것이다. 패널들은 보통 청중 앞에 있는 테이블에 앉으며, 사회자가 미리 준비한 질문을 통해 대화를 하게 된다. 대화를 통한 토론의 형식으로 진행되며 청중이나 진행자가 연설하는 것은 허용 형식으로 진행되나 원칙적으로는 청중이나 진행자가 연설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청중은 패널들의 대화를 보고 들으면서 학습하게 되며 때로는 사회자의 재량으로 토론에 참여하기도 한다.
패널토의는 주로 다음과 같은 목직을 위해 실시된다. 첫째, 문제나 논쟁점을 확인하고 명료화할 때, 둘째, 침-여자들에게 주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거나 다양한 견해를 제공할 때, 그리고 주제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이해를 증진하고 광범위한 의견을 활용하고자 할 때 등이다. 패널토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패널토의의 분위기는 공식적일 수도 있고, 또 비공식적일 수도 있다.
② 사전에 패널들과 토의의 범위 및 윤곽 그리고 진행방법에 대하여 의논할 수 있다.
③ 패널들이 질문이나 지시를 묵살하는 경우도 간혹 있으나, 진행자에 의한 통제를 원칙으로 한다.
④ 주제에 대한 다양한 사실 · 의견 · 태도 등이 대두된다.
⑤ 패널들 간의 최대한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⑥ 주제에 대한 조직적이고 활발한 발제, 주장과 견해의 차이, 그리고 경쟁적인 토의 등으로 청중들의 관심을 증가시킬 수 있다.
8. 포럼(Forum)
포럼은 공개토의라 불리는 토의기법이다. 포럼은 여러 형태로 어떤 주제에 관해 새로운 사고방식이나 정보, 자료나 분석결과 등을 제공하고, 참가자에게 그 문제에 대해 질의응답을 함으로써 관심과 열의를 북돋고, 더 나아가서 필요한 정보를 부여하여 문제를 명백히 밝히고 참가자의 사고를 더욱 활발히 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포럼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개최된다. 첫째, 강의 강연 심포지엄 패널 등에서 이미 제기된 쟁점을 더욱 심도있게 분석하거나, 둘째, 집단 구성원에게 아이디어나 의견을 개진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토의를 하려고 할 때, 그리고 이에 대한 전문가의 견해를 들고자 할 때 등이다. 포럼의 특징 및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 포럼은 특정 전문가들의 발표 중심이 아닌 전 참가자들의 토의 참여가 가능하다는점에서 보다 직접적 효과적인 학습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② 포럼은 다른 강의 강연 심포지엄 패널토의 등에서 토의된 내용들을 제기된 주제나 문제를 확인하고 명료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집단 구성원의 의견을 개진하도록 격려하고 토의를 유도하는 데 유용하다.
③ 포럼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은 미리 철저한 준비를 하게 되며 집단 구성원들 역시 주제에 대하여 미리 연구를 한 후, 서로 질의응답을 하게 되므로 효과적인 학습이 일어날 수 있다.
④ 포럼을 통해 도출되는 의견은 소수의 전문가들의 의견이 아닌 집단 구성원들의 견해이므로 풍부하고 의미가 있다.
⑤ 포럼의 진행을 원활하게 이끌어 갈 숙련된 사회자의 확보가 중요하다.
참고문헌
김종표 저, 평생교육방법론, 양서원 2016
최은수 저,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공동체 2016
윤옥한 저,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7
박성희, 송영선 외 저, 평생교육방법론, 학지사 2013
⑤ 진행자가 체계적 조직적으로 콜로키를 잔행하게 되면 자연스럽고 깊이 있는 토의가 가능해진다. 또한 모든 참석자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해당 주제에 대한 광범위한 학습이 가능하다.
7. 패널토의(Panel)
패널은 특정 주제에 관심 있는 3~6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토론집단이다. 배심토의라고 불리는 패널토의는 패널 구성원이 진행자에 의해 대화의 형태로 토의하는 것이다. 패널들은 보통 청중 앞에 있는 테이블에 앉으며, 사회자가 미리 준비한 질문을 통해 대화를 하게 된다. 대화를 통한 토론의 형식으로 진행되며 청중이나 진행자가 연설하는 것은 허용 형식으로 진행되나 원칙적으로는 청중이나 진행자가 연설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청중은 패널들의 대화를 보고 들으면서 학습하게 되며 때로는 사회자의 재량으로 토론에 참여하기도 한다.
패널토의는 주로 다음과 같은 목직을 위해 실시된다. 첫째, 문제나 논쟁점을 확인하고 명료화할 때, 둘째, 침-여자들에게 주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거나 다양한 견해를 제공할 때, 그리고 주제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이해를 증진하고 광범위한 의견을 활용하고자 할 때 등이다. 패널토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패널토의의 분위기는 공식적일 수도 있고, 또 비공식적일 수도 있다.
② 사전에 패널들과 토의의 범위 및 윤곽 그리고 진행방법에 대하여 의논할 수 있다.
③ 패널들이 질문이나 지시를 묵살하는 경우도 간혹 있으나, 진행자에 의한 통제를 원칙으로 한다.
④ 주제에 대한 다양한 사실 · 의견 · 태도 등이 대두된다.
⑤ 패널들 간의 최대한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⑥ 주제에 대한 조직적이고 활발한 발제, 주장과 견해의 차이, 그리고 경쟁적인 토의 등으로 청중들의 관심을 증가시킬 수 있다.
8. 포럼(Forum)
포럼은 공개토의라 불리는 토의기법이다. 포럼은 여러 형태로 어떤 주제에 관해 새로운 사고방식이나 정보, 자료나 분석결과 등을 제공하고, 참가자에게 그 문제에 대해 질의응답을 함으로써 관심과 열의를 북돋고, 더 나아가서 필요한 정보를 부여하여 문제를 명백히 밝히고 참가자의 사고를 더욱 활발히 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포럼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개최된다. 첫째, 강의 강연 심포지엄 패널 등에서 이미 제기된 쟁점을 더욱 심도있게 분석하거나, 둘째, 집단 구성원에게 아이디어나 의견을 개진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토의를 하려고 할 때, 그리고 이에 대한 전문가의 견해를 들고자 할 때 등이다. 포럼의 특징 및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 포럼은 특정 전문가들의 발표 중심이 아닌 전 참가자들의 토의 참여가 가능하다는점에서 보다 직접적 효과적인 학습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② 포럼은 다른 강의 강연 심포지엄 패널토의 등에서 토의된 내용들을 제기된 주제나 문제를 확인하고 명료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집단 구성원의 의견을 개진하도록 격려하고 토의를 유도하는 데 유용하다.
③ 포럼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은 미리 철저한 준비를 하게 되며 집단 구성원들 역시 주제에 대하여 미리 연구를 한 후, 서로 질의응답을 하게 되므로 효과적인 학습이 일어날 수 있다.
④ 포럼을 통해 도출되는 의견은 소수의 전문가들의 의견이 아닌 집단 구성원들의 견해이므로 풍부하고 의미가 있다.
⑤ 포럼의 진행을 원활하게 이끌어 갈 숙련된 사회자의 확보가 중요하다.
참고문헌
김종표 저, 평생교육방법론, 양서원 2016
최은수 저,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공동체 2016
윤옥한 저,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7
박성희, 송영선 외 저, 평생교육방법론, 학지사 2013
추천자료
[미래사회와교육]미래사회의 변화모습을 설명하고 이에 적합한 평생교육의 구체적 방안을 제...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방향과 과제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평생교육체제의 발전방향
평생교육 교육방법
[사내대학][사내대학 도입][사내대학 설비기준][평생교육][사내기술대학][사내대학 방향]사내...
평생교육기관의 운영 프로그램 교육방법조사
2013년 1학기 평생교육방법론 중간시험과제물 D형(사회교육방법 중 집단 중심 교육방법)
[일본, 평생교육정책, 장애인고용정책]일본의 평생교육정책, 일본의 장애인고용정책, 일본의 ...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원리와 제한요인 [프로그램개발]
평생교육방법론을 사용한 수업계획안 작성.
성인학습및상담)1) 현대 고령화사회에서 평생교육의 이념에 근거하여 평생교육의 필요성 및 ...
프로그램 개발의 접근방법을 평생교육의 특성을 적용해서 설명하고 이를 근거로 평생교육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