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 및 분류
2) 발생원인
3) 판정방법 및 기준
4) 예방
2) 발생원인
3) 판정방법 및 기준
4) 예방
본문내용
염색체 이상증의 병력이 있는 경우 초음파 검사로 태아의 기형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양수 천자나 융모막 조직 검사로 염색체 검사나 대사 질환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출생 후에 확인된 정신 박약을 예방하는 경우는 제한된 질환에서 가능한데, 주로 대사 질환에서 혈청 검사로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선천성 갑상선 기능 부전증은 조기에 발견하여 갑상선 호르몬 치료를 시도함으로써 예방이 가능하고, 소아 간질인 경우 주기적인 항경련제 투여로 지속 간질과 같은 뇌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상태를 미리 예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가장 좋은 예방법은 모든 신생아에서 갑상선 기능 검사와 대사 질환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완전하게 시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추천자료
[장애인 복지론] 정신장애인에 대한연구
(특수교육) 정신지체 장애에 관한 고찰
(장애인 복지) 정신지체 장애인에 대한 사회복지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기관방문 보고서...
[A+]정신지체의 정의와 특성과 교육방법 그리고 특수교육접 접근
과제 집착력과 정신지체
[성교육]정신지체학생을 위한 성교육 실태 및 과제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에 따른 정신지체(지적장애)의 이해와 특수교육
성인 장년 정신건강
장애유형별 특성 및 실태와 주요서비스 -정신지체 발달장애
장애인복지 - 정신지체장애, 발달장애(자폐증), 장애 판정기준에 관해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문제 중 지적장애와 학습장애에 대해 기술하고 차이를 설명
[정신건강 공통] 자기관리의 중요성과 구체적인 방안들을 설명하고 자신만의 자기관리 방법에...
[정신간호학] 기분장애 간호 사전학습,CASE,케이스,요약본
[특수아교육 A형] 정신지체(지적장애), 학습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 방법,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