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마의 종류, 다시마의 분포,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인공채묘,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월별관리사항,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효과,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전망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시마의 종류, 다시마의 분포,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인공채묘,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월별관리사항,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효과,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전망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다시마의 종류
1. 참다시마
2. 줄기다시마
3. 애기다시마
4. 긴다시마
5. 주름다시마
6. 쇠다시마
7. 개다시마
8. 괭이발다시마

Ⅲ. 다시마의 분포

Ⅳ.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인공채묘
1. 채묘 시기
2. 채묘 준비
1) 모조(母藻)
2) 모조수송(母藻輸送)
3) 채묘용기 및 해수
4) 채묘틀
5) 종사(種絲)
6) 채묘기(採苗器)
3. 채묘 작업
1) 모조의 음건
2) 유주자 방출
3) 유주자 부착
4) 채묘할 때 주의할 점

Ⅴ.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월별관리사항

Ⅵ.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효과

Ⅶ.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전망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켜 인위적인 자극을 준다.
음건 처리시간은 모조 성숙도와 환경요인, 운반시간 등에 따라 차이가 많으며 보통 2~4시간에서 하룻밤(12시간)을 음건시킨다. 특히 조기 채묘시에는 기온이 높아 음건이 잘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선풍기를 이용하여 통풍이 잘되게 한다.
2) 유주자 방출
음건이 끝나면 모조를 깨끗한 여과해수가 든 채묘 수조에 넣은 다음 잘 휘저어 준다.
이때 모조와 바닷물의 비율은 모조의 숙도 즉 자낭반 형성 정도에 따라 다르나 성숙(成熟)된 다시마 모조가 10~15개체 있으면 1.5~1㎥의 유주자액을 만들 수 있으므로 채묘량(종묘량)을 고려하여 계산하면 될 것이다.
3) 유주자 부착
유주자액의 농도는 운동성이 있는 유주자가 현미경 100배 시야에 10~20개정도 보이면 안전하므로 시간을 맞추어 건져내고 채묘기(채묘틀에다 구라론 실을 감은 것을 말함)를 넣어준다.
유주자가 부착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다시 말하면 채묘기를 유주자액에 담가두는 시간은 환경조건과 모조 숙도에 따라 차이가 심하나 일반적으로 1~2시간에서 최고 5~8시간까지 필요하다고 하며, 유주자가 활동이 거의 끝날 때까지 채묘기를 유주자액에 담가둔다.
유주자 부착을 고르게 하기 위하여 채묘 수조에 넣은 채묘기는 1~2회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바꾸어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이 유주자의 운동이 거의 정지하게 되면 채묘된 채묘기를 깨끗한 바닷물이 든 수조(배양탱크)에 옮겨 수직으로 수하시킨다.
4) 채묘할 때 주의할 점
유주자액에는 다시마 모조에서 유주자 방출과 동시에 만닛트가 유출되므로 모기장 등으로 이를 건져낸 후 채묘기를 넣는 것이 효과가 좋다.
채묘시 수온은 12~17℃정도, 해수비중 1.020이상, 채묘시 밝기(광도)는 2,000~5,000룩스 정도로서 직사광선은 피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조기 채묘를 실시하는 시기가 9월 하순경이므로 자연 수온 상태로는 유주자의 방출 유도가 어렵기 때문에 얼음 등을 사용하여 반드시 수온을 낮추어 주어야 한다.
유주자액 농도는 미역 채묘시 유주자액 농도보다 묽어도 채묘에 지장이 없는데 이는 미역에 비해 유주자의 발아율이 양호하기 때문이다.
Ⅴ.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월별관리사항
관리내용
월별
세부관리사항
채묘 자재구입
및 시설물제작
9~10
시설자재준비 : 부자, 닻(60관) 또는 파이프(1.3m이상), 친승로프(22mm이상), 간승, 지승, 닻줄
이식
11월
종묘연입 : 감는법 또는 끼우는법
수위조절 : 양성직후 1.0~2.0m
양성관리
12월~8월
수위조절 및 시설물 보강
종묘보식 및 적정부착량 조사
· 보식시기 : 3~4월이전
· 보식다시마 엽장 : 100㎝이하
· 초기 적정부착량 : 친승1m에 50~60개체
시비 (요소, 유안, 복합비료)
다시마 솎아주기
·2월중순~4월중에 실시
·솎아주기에 알맞는 크기 : 엽장20~50㎝정도가 적당
·회수 : 2~3회 나누어 실시
·적정밀도 : 친승1m당 20~25개체, 복합양식 15~20개체 내외
채취
7~8월
1년생(인공종묘)은 8월 초순~8월중순
2년생(자연종묘)은 장마가 끝나는 시점인 7월 하순 전후에 실시
건조
7~8월
다시마 건조장소는 시멘트 바닥이나 자갈밭에 그물망 활용
채취는 청명한날 아침채취 건조된 다시마손질 및 건조도 유지하여 밀봉 습기 예방
Ⅵ.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효과
동일한 사육지내에 부착성이 강한 다시마를 사용함으로써 양식생물의 성장과 수질환경을 개선시키는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동일 사육지 내의 수심의 차이에 따라 바닥 부착식과 수하식 방식을 병행하여 사육할 수 있다.
다시마를 이용한 복합양식 방법은 시설 투자비용이 적지만 생산 효과는 현저하게 높아 양식대상종의 성장이 양호하며, 다른 양식방법과 비교할 때 단일 생산성이 높고 효과가 인정됐다.
Ⅶ.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전망
다시마양식을 다시마 그 자체의 양식만 생각하는 것은 협의의 사고방식이다. 다시마의 성장은 몹시 빨라 1일 1~3㎝ 성장하고 3~6m길이로 성장하는 대형해조류로써 어패류와 해조류의 복합양식에 의해 자연순환형의 지속적 양식생산을 하는 것과 대형해조 다시마에 의한 수산자원 증대에 의미가 있다.
어류의 산란장 및 생육장으로서(Kaim,1967) 또는 전복과 성게 등 수산생물의 먹이로서(呵部,船野,1973:Uki:1981) 직, 간접적으로 연안 수산생물자원 조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고정에 의한 지구온난화 방지대책으로써, 고속도 고효율의 다시마해중림의 조성이다.
예로부터 식용, 약용, 공업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 다시마환, 차, 제리, 엑기스개발 등 다양한 건강식품 개발로 다시마가 대량으로 소비되고 있는 추세다.
우리나라 서해 최북단 백령도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1년내내 다시마를 볼 수 있는 청정해역으로 양질의 2년산 다시마 생산이 가능하여 조기산 다시마 종묘생산 및 양성기술을 3년동안의 실험·연구 끝에 성공함으로써 전국의 양식어업인에게 최우량 다시마를 생산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다.
이렇게 됨으로써 우리나라 제품이 일본, 러시아, 중국제품보다 우수한 국제경쟁력을 갖게 되어 어업인의 소득증대와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되고, 건강 장수식품으로 국민 건강 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확신해 마지않는다.
Ⅷ. 결론
동해안 特産品種인 지누아리의 養殖技術과 다시마 品質向上 기술개발로 동해안의 새로운 양식산업화 品種으로 보급하여 국민 식생활 개선에 기여하고, 참가리비 어장정보 관리시스템 통합체제 구축으로 漁業人에게 실시간 어장정보를 인터넷과 휴대전화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축적된 어장환경 시뮬레이션으로 월간ㆍ연간 변화를 예측함으로서 동해안에 적합한 양식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東海岸에 적합한 수하식 및 바닥식 複合養殖 기술개발로 어장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박응렬 - 다시마와 건강, 국제신문, 2001
박정홍 - 한국산 양식 다시마류의 형태학적 연구, 부산수대 연구보고(자연과학), 1975
백국기·박병하 - 2년생 참다시마 양성시험, 수진사업보고, 1979
장정원 - 양식다시마의 월하 생태조사, 수진사업보고, 1975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8.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72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