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다시마의 특징
Ⅲ. 다시마의 분류와 분포
Ⅳ. 다시마양식업(다시마양식어업)의 과정
1. 양성개시 시기
1) 1년생
2) 2년생
2. 종묘상태
3. 양성시설
4. 양성적지 조건
1) 수온
2) 비중 및 영얌염류
3) 수심과 저질
5. 솎아주기
1) 시기
2) 방법
3) 보식
6. 채취 전관리
7. 채취, 수량, 비대도
1) 채취
2) 수량(收量)과 비대도
Ⅴ. 다시마양식업(다시마양식어업)의 종묘생산
1. 씨앗주머니 조사 및 채묘 방법
2. 배양관리
3. 가이식 결과
Ⅵ. 다시마양식업(다시마양식어업)과 다시마산업
Ⅶ. 중국의 다시마양식업(다시마양식어업) 사례
1. 다시마와 가리비의 복합양식
2. 미역과 가리비, 진주담치와 다시마의 복합양식
Ⅷ. 결론
참고문헌
Ⅱ. 다시마의 특징
Ⅲ. 다시마의 분류와 분포
Ⅳ. 다시마양식업(다시마양식어업)의 과정
1. 양성개시 시기
1) 1년생
2) 2년생
2. 종묘상태
3. 양성시설
4. 양성적지 조건
1) 수온
2) 비중 및 영얌염류
3) 수심과 저질
5. 솎아주기
1) 시기
2) 방법
3) 보식
6. 채취 전관리
7. 채취, 수량, 비대도
1) 채취
2) 수량(收量)과 비대도
Ⅴ. 다시마양식업(다시마양식어업)의 종묘생산
1. 씨앗주머니 조사 및 채묘 방법
2. 배양관리
3. 가이식 결과
Ⅵ. 다시마양식업(다시마양식어업)과 다시마산업
Ⅶ. 중국의 다시마양식업(다시마양식어업) 사례
1. 다시마와 가리비의 복합양식
2. 미역과 가리비, 진주담치와 다시마의 복합양식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북방계 해조였지만, 1970년(장권) 일본 홋카이도(北海島)에서 가지고 온 애기다시마의 종묘배양과 양성시험이 성공된 이래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 해역에서 양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후 다시마 종묘의 조기 생산 기술 확립으로 양질의 건다시마 생산이 이루어짐으로서 다시마는 해조류 양식 산업에서 빼어 놓을 수 없는 중요한 양식품종이 되었다.
다시마는 예로부터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중국에서 식용으로 해 왔었으며, 특히 중국에서는 요오드 공급원으로서 식용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약용으로 소중하게 여겨져 왔다. 하지만 중국에서도 원래에는 자생하지 않던 다시마를 1927년 일본 홋카이도(北海島)로부터 요동반도 대련에 이식하여 양식을 실시한 후로 양식방법 개량 및 고온에 견디는 신품종(해청1호; 1962년)을 개발하였고, 최근에는 X-선 처리로 생산성이 높거나 요오드의 함량이 높은 품종을 개량하여 양식하고 있다.
다시마는 한방에서 해대(海帶)라 하여 한약재로 소중하게 여겨져 왔으며, 근래에 와서 각국에서의 연구결과 다양한 효능효과가 알려지고 있다. 지난 1964년 일본 토호후쿠대학 연구팀이 다시마에서 혈압강하 작용을 하는 새로운 성분인 라미닌(laminine)의 존재를 규명하면서부터 다시마에는 글루탐산(glutamic acid)을 비롯한 20여종의 비타민, 45종의 미네랄 및 요오드, 칼슘, 세레늄 등 1백여 가지의 영양소를 함유한 것으로 밝혀져 건강식품으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다시마 가공품의 개발동향을 보면 일본에서는 70년대부터 가공품생산을 추진, 현재 80여 가지의 가공품이 보급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90년대에 들어서면서 가공품 개발이 추진되어 엑기스, 과립 및 환, 비누, 음료수 제품 등이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으며, 다시마 차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쌈용으로 인기가 높은 염장다시마도 연간 1천톤 이상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 전남 서남부 해역의 전복양식 활성화에 따라 전복의 먹이로서 없어서는 안될 해조류로 각광 받게되면서 해조류 양식산업에도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Ⅶ. 중국의 다시마양식업(다시마양식어업) 사례
1. 다시마와 가리비의 복합양식
- 중국수산과학원 황해수산연구소와 캐나다와의 공동연구에 의해 1990년대 초부터 시험적으로 수행되었다.
- 다시마는 수심 2~4m, 가리비는 수심 5~10m에서 양성한 결과 단일종 양 성시 보다 성장 및 생존율이 양호하며, 수확기간은 가리비는 약 2년, 다시마는 약 6개월 후에 수확 가능
- 다시마의 양성으로 진주담치의 부착밀도가 현저히 낮아졌다.
-양성된 다시마는 전복의 먹이로 활용되고 있어 부수적인 효과를 거두웠다.
- 가공처리된 다시마의 수출로 인해 소득증대 기여
2. 미역과 가리비, 진주담치와 다시마의 복합양식
1980년대부터 실시되고 있는 복합양식 방법
Ⅷ. 결론
간석지나 얕은 바다에서 해산물을 기르는 양식업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후반부터이다. 일본으로의 수출을 계기로 활기를 띤 김 양식은 양식업 발달에서 촉매 역할을 하였으며, 1970년대 들어서는 국민의 소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김의 국내 수요가 늘어나 순조롭게 발달할 수 있었다.
김 양식의 발달에 힘입어 굴 양식 또한 크게 번창하였는데, 1980년대 후반부터는 기르는 수산물의 종류가 더욱 많아져 대하, 꼬막, 홍합, 동죽, 우렁쉥이, 미역, 다시마 등의 생산량도 크게 늘었다.
참고문헌
강제원·고남표(1977), 해조양식, 부산 : 태화출판사
국립수산진흥원(1973), 다시마 양식, 부산 : 예문사
공영근(1993), 자연산 및 양식다시마의 생장과 형태변이
장정원(1975), 양식 다시마의 월하 생태조사, 수진 사업보고
다시마는 예로부터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중국에서 식용으로 해 왔었으며, 특히 중국에서는 요오드 공급원으로서 식용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약용으로 소중하게 여겨져 왔다. 하지만 중국에서도 원래에는 자생하지 않던 다시마를 1927년 일본 홋카이도(北海島)로부터 요동반도 대련에 이식하여 양식을 실시한 후로 양식방법 개량 및 고온에 견디는 신품종(해청1호; 1962년)을 개발하였고, 최근에는 X-선 처리로 생산성이 높거나 요오드의 함량이 높은 품종을 개량하여 양식하고 있다.
다시마는 한방에서 해대(海帶)라 하여 한약재로 소중하게 여겨져 왔으며, 근래에 와서 각국에서의 연구결과 다양한 효능효과가 알려지고 있다. 지난 1964년 일본 토호후쿠대학 연구팀이 다시마에서 혈압강하 작용을 하는 새로운 성분인 라미닌(laminine)의 존재를 규명하면서부터 다시마에는 글루탐산(glutamic acid)을 비롯한 20여종의 비타민, 45종의 미네랄 및 요오드, 칼슘, 세레늄 등 1백여 가지의 영양소를 함유한 것으로 밝혀져 건강식품으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다시마 가공품의 개발동향을 보면 일본에서는 70년대부터 가공품생산을 추진, 현재 80여 가지의 가공품이 보급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90년대에 들어서면서 가공품 개발이 추진되어 엑기스, 과립 및 환, 비누, 음료수 제품 등이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으며, 다시마 차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쌈용으로 인기가 높은 염장다시마도 연간 1천톤 이상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 전남 서남부 해역의 전복양식 활성화에 따라 전복의 먹이로서 없어서는 안될 해조류로 각광 받게되면서 해조류 양식산업에도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Ⅶ. 중국의 다시마양식업(다시마양식어업) 사례
1. 다시마와 가리비의 복합양식
- 중국수산과학원 황해수산연구소와 캐나다와의 공동연구에 의해 1990년대 초부터 시험적으로 수행되었다.
- 다시마는 수심 2~4m, 가리비는 수심 5~10m에서 양성한 결과 단일종 양 성시 보다 성장 및 생존율이 양호하며, 수확기간은 가리비는 약 2년, 다시마는 약 6개월 후에 수확 가능
- 다시마의 양성으로 진주담치의 부착밀도가 현저히 낮아졌다.
-양성된 다시마는 전복의 먹이로 활용되고 있어 부수적인 효과를 거두웠다.
- 가공처리된 다시마의 수출로 인해 소득증대 기여
2. 미역과 가리비, 진주담치와 다시마의 복합양식
1980년대부터 실시되고 있는 복합양식 방법
Ⅷ. 결론
간석지나 얕은 바다에서 해산물을 기르는 양식업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후반부터이다. 일본으로의 수출을 계기로 활기를 띤 김 양식은 양식업 발달에서 촉매 역할을 하였으며, 1970년대 들어서는 국민의 소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김의 국내 수요가 늘어나 순조롭게 발달할 수 있었다.
김 양식의 발달에 힘입어 굴 양식 또한 크게 번창하였는데, 1980년대 후반부터는 기르는 수산물의 종류가 더욱 많아져 대하, 꼬막, 홍합, 동죽, 우렁쉥이, 미역, 다시마 등의 생산량도 크게 늘었다.
참고문헌
강제원·고남표(1977), 해조양식, 부산 : 태화출판사
국립수산진흥원(1973), 다시마 양식, 부산 : 예문사
공영근(1993), 자연산 및 양식다시마의 생장과 형태변이
장정원(1975), 양식 다시마의 월하 생태조사, 수진 사업보고
추천자료
양식업(양식어업)의 의미, 양식업(양식어업)의 종류, 개꼬시래기의 양식업(양식어업), 다랑어...
양식어업(양식업)의 종류와 특성, 넙치양식어업(광어양식업)의 실태, 넙치양식어업(광어양식...
다시마의 종류, 다시마의 분포,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의 인공채묘, 다시마양식어업(...
[다시마양식]다시마의 특성, 다시마의 형태, 다시마양식업(다시마양식어업)의 환경, 다시마양...
[다시마][다시마분포][다시마 성육단계][다시마 효능][다시마 해적생물][다시마양식업]다시마...
다시마의 종류와 분포, 다시마의 영양, 다시마양식어업(다시마양식업) 환경, 다시마양식어업(...
양식업(양식어업)의 발달 과정, 양식업(양식어업)의 현황, 양식업(양식어업)의 품종수급, 양...
전복의 서식장소, 전복의 수출입동향, 전복양식업(전복양식어업)의 질병과 대책, 전복양식업(...
[다시마][다시마 성분][다시마 효능][다시마 양식][복합양식어업][복합양식업]다시마의 특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