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하나. ‘경쟁’권하는 사회
둘. 우리에게 지워 진 짐
둘. 우리에게 지워 진 짐
본문내용
‘닫힌 사고’ 에서부터 나온다. 전체를 보지 못하고 당장 지금 ‘우리’라는데 집착하는 닫힌 사고. 그리고 그들이 닫힌 사고를 배워왔던 ‘학교’. 때문에, 문제는 다시 학교교육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 결과를 낳는다. 매우 복잡한 연결 고리이며, 어떻게 이것을 해결해야 할지도 너무나 어려운 일이다. 때문에 나는 더욱더 ‘홀로스 사고’에 의미를 두고 싶다. 한순간에 모든 것이 바뀌리라는 기대는 그저 허황될 뿐이다. 하지만 언젠가는 바뀐다는 믿음. 그리고 그것을 위해 힘쓰는 사람들이 있을 때 지금 우리의 경쟁적 사회는 반드시 바뀌리라는 기대를 할 수 있다. 불과 몇십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사람들이 여성의 지위가 이정도로 올라가리라고는 예측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런 맥락과 같이 우리의 학교도 바뀔 것이라는 희망이 있다. 때문에 나는 우리의 어깨가 더욱 무겁다고 느껴진다. 지금은 홀로스 사고의 중요성을 아는 이들, - ‘홀로스 사고’를 읽었던, 혼자 터득했던 간에- 그리고 이것을 교육에 실현시키고자 하는 이들의 어깨가 더욱더 무거운 때이다. 언젠가 모든 이들이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화합과 통합으로 함께 어울리며 ‘홀로스 사고’를 실천해 나갈 날을 기대해 본다.
추천자료
[교육학개론] 학교 교육에서의 ‘체벌’에 대한 심층 고찰
[특수교육학개론] 13장 의사소통장애아 교육
[교육학개론] 교육 사회의 이해
[교육학개론] 가드너[H.Gardner]에 대한 소고
[교육학개론] 팬덤 문화, 청소년문화,
[특수교육학개론] 정신지체아의 정의, 분류, 정신지체아 교육, 진단과 평가, 정신지체아 원인...
[특수교육학개론] 정신지체아의 정의, 분류, 정신지체아 교육, 진단과 평가, 정신지체아 원인...
[교육학개론] 현대 교육사조의 4가지 대표적 사조에 관해서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 ...
[교육학개론] 학벌타파 가능한가? - 개인의 창조성과 열정을 높이 평가하는 미래사회를 위하여
[교육학개론과제] 초중고 생활 중 1)가장 좋았던 일은 무엇이며 왜 좋아했는가 2)학교생활 중...
[교육학개론] 교육사회의 이해 - 교육사회학과 인간, 교육사화학의 이론들, 교육의 사회적 기...
[교육학개론]교육방법에 대한 이해 - 교육방법의 기초, 교수-학습지도, 교수 이론, 교육방법...
[교육학개론 과제] 내가 꿈꾸는 교사의 모습
[교육학개론] 철학의 연구영역의 이해 (존재론(ontology), 인식론(epistemology), 가치론(axi...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