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개론] 학벌타파 가능한가? - 개인의 창조성과 열정을 높이 평가하는 미래사회를 위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학개론] 학벌타파 가능한가? - 개인의 창조성과 열정을 높이 평가하는 미래사회를 위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학벌에 대한 우리사회의 현주소
 Ⅰ. 학벌구조의 실태 : 학연 중심의 사회
 Ⅱ. 학벌구조의 원인
  1) 대학의 서열화
  2) 사립대학의 폐해
 Ⅲ. 학벌과 취업의 상관관계

제3장 학벌타파의 극복방안
 Ⅰ. 중·고등교육의 개선
 Ⅱ. 대학의 새로운 변화
  1) 대학 통합네트워크 구축
  2) 대학 특성화와 커리큘럼의 중요성 인지
 Ⅲ. 취업의 새로운 가능성
  1) 기업의 창의적인 채용
  2) 외국기업 페이스북의 인재채용 사례

제4장 맺음말

참고문헌 및 관련자료

본문내용

께 높아질 것이다.
2) 외국기업 페이스북의 인재채용 사례
페이스북은 미국의 대표적인 소셜 네트워크 회사이자 젊은 세대에서 급부상한 대형 기업으로 성장했다. 페이스북의 창립자인 마크 주커버그는 초창기 자신의 학교인 하버드대학 내에서 학생들의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서비스를 시작한데 이어 각 대학으로 퍼트리고 상업화시켜 오늘날 sns라는 거대한 온라인 소통시장을 만들어냈다. 이처럼 페이스북은 기업 자체가 새로움이었기에 인재를 채용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독창적인 사례를 많이 보여주었다. 우선 초창기 마크 주커버그가 스탠포드에서 인재를 모을 때 썼던 방법으로, 예로 엔지니어가 필요하다면 엔지니어링 강의를 찾아내어 해당 과목의 필수교재를 목록에서 찾았다고 한다. 그런 다음 스탠포드 도서관에 가서 그 교재들에 구인 광고를 넣어 두었다고 한다. 학생들이 그 책을 뽑으면 곧바로 페이스북이 남긴 구인 광고를 볼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영화 소셜 네트워크에도 나왔던 방법인데 여러 인원을 모집해놓고 하나의 문제를 먼저 풀어내는 사람에게 바로 채용의 기회를 제공한 부분도 있다. 다른 여러 가지 가능성을 대조하기보다 한 가지 판단에 집중해서 특출하게 우수한 인재를 찾는 것 그리고 내게 필요한 인재를 찾을 때 가만히 앉아서 이력서를 받기보다 직접 나서는 적극성을 발휘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위와 같이 인재채용 사례를 넓힌다면 건강한 취업과 기업의 성장을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제4장 맺음말
내가 전공하고 있는 분야의 예를 들어 한 가지 이야기 하고 싶은 점이 있다. 한 교수님께 칸 영화제나 베를린 영화제 등 세계의 유명한 영화제들을 가보면 영화제에 참여 하고 있는 관객들의 연령이 대부분 40~70세까지 노령의 관객이 상당수를 차지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적이 있었다. 영화를 좋아하는 세대가 고령화 된 것이 아니라 그만큼 유럽사회는 이미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말이었다. 반면 우리나라 부산국제영화제를 떠올려보라. 부산국제영화제는 10~30대 관객이 주를 이뤄 밤잠을 설쳐가며 티켓을 얻기 위해 대기하고 영화와 바다에 대해 토론하기가 부지기수이다. 그만큼 한국사회는 아직 발전가능성과 에너지가 넘치는 사회라는 말이다. 그렇지만 신문의 사회면에는 청년 실업문제와 빈부격차에 대한 이야기가 비일비재하고 늘 사회는 심각한 우울증을 겪는다. 이번 학벌타파에 대해 고민할 거리들을 찾아보고 많이 생각해보고 나를 대입해본 결과 근본적인 개혁 없이는 병폐된 사회구조를 쉽게 바꿀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현재로서는 젊은 세대들이 교육과 관련하여 무기력하고 수용적인 자세를 취하기보다 시대의 흐름을 파악하고 주체로서 목소리를 낼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개인의 창조성과 열정을 높이 사는 건강한 사회구조와 교육을 일궈내 후손들에게 돌아갈 서열화의 대물림을 타파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및 관련자료
도서 부분
『교육의 미래』 김용일 지음, 문음사, 2002
『학벌사회』 김상봉 지음, 한길사, 2004
『국립대 통합네트워크 입시지옥과 학벌사회를 넘어』 정진상 지음, 책세상, 2004
인터넷 자료
http://cafe.naver.com/gaury/5245
(국립대학 통합네트워크 구측) 경상대 사회과학연구원 정책토론회 발표원고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639727
기사: 『지방대 출신 취업 불이익 근본 대책』 강원도민일보. 2013.08.09.
http://www.hangyo.com/APP/news/article.asp?idx=42648
칼럼: 『대학 안 가도 행복한 사회』 한국교육신문. 2013.10.07.
  • 가격9,66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5.27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93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