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유학 등장의 시대적, 사상적 배경
2. 한유(韓愈)의 도통설(道統說)
3. 신유학의 사상적 원천
4. 주돈이의 태극도설(太極圖說)
5. 장재(張載)의 태허즉기(太虛卽氣)와 <서명(西銘)>
6. <대학>과 <중용>
7. 주자(朱子)의 성즉리(性卽理)
8. 왕양명(王陽明)의 심즉리(心卽理)
2. 한유(韓愈)의 도통설(道統說)
3. 신유학의 사상적 원천
4. 주돈이의 태극도설(太極圖說)
5. 장재(張載)의 태허즉기(太虛卽氣)와 <서명(西銘)>
6. <대학>과 <중용>
7. 주자(朱子)의 성즉리(性卽理)
8. 왕양명(王陽明)의 심즉리(心卽理)
본문내용
있는 비전이라 함.
*신유학의 사상적 원천
-유학 자체
-선종
-종교적 도가
:우주, 음양오행설, 주역(역경:유가만의 경전X)
*주돈이 <태극도설>
-도사(道士), 방사(方士), 신비한 도식이나 힘을 맹신
-우주만물의 순환과정에대한 도식(Click그림 참조)
무극
태극
음정, 양동(음에서 양, 양에서 음)
수,화,목,금,토(무극과 태극, 음과 양이 합쳐져 꽉차여지는 것)
건도성남, 곤도성녀(사람이 본성을 갖는것, 태극으로부터 가장 정기(精氣)를 받음.)
만물화생도
-태극과 무극에서 리(理)가 존재함을 주장. 진리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불교와 반대
☞Click(객관식 문제: 괄호넣기, 정답: 무극, 태극, 태극)
*태허즉기
-아주크게 비어있는곳에는 기가있다.
(기란, 서양적개념인 에테르, 에너지로 설명하기에는 어려움. 관념적개념)
*서명
-존오순사, 몰오영야(存吾順事, 沒吾寧也)
살아서는 순리에 따르고 죽을때는 편안히 죽는다.
*이후 송대와 명대에 수많은 학자들이 나옴.
-송원학안(宋元學案:송대의 철학사를 모아놓은것), 주자의 학설이 주
명류학안(明儒學案:명대의 철학사를 모아놓은것), 왕양명(심학)과 그 제자들의 학설이 주
-학안이란 예를들어 주돈이(주렴계)의 주자전서에서 핵심이 되는 말을 뽑아 모아놓은것.
이후 다른학자들의 핵심이 되는 말을 모아놓은것.
*대학(큰학문)과 중용
-주자와 양명의 사상의 근원이 되는 책
-맹자→대학→주자(성학)
논어→중용→양명(심학, 육구연에서 양명으로)
*삼강령 팔조목(三綱領 八條目:3가지강령과 강령에서나온 8가지조목)
*삼강 → 명명덕(明明德), 친민(親民), 지어지선(止於至善)
-명명덕: 밝은 덕을 밝힘. 동어반복X, 성선론에 입각
-친민: 신민(新民)이라고도 함. 백성들, 사람들과 친해지는 것
-지어지선: 지극한 선에서 그치라.(정도껏 하라. 과유불급)
*팔조목 → 격물(格物), 치지(致知), 수기(修己), 정심(正心), →작은것에서 큰것으로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
-격물: 사물을 연구함.
-치지: 앎에 이름.(격물을 통해)
-수기: 자기를 수양함.
-정심: 마음을 바르게 함.
-수신: 몸을 닦음.
-제가: 집을 가지런히 함.
-치국: 나라는 다스림
-평천하: 세상에 자신의 뜻(유학의 도)을 펼침.
주관식문제: ‘천명지위성이요, 솔성지위도요, 수도지위교니라’를 해석하시오.
*대학은 작은것에서 큰 것으로 이동함에 비해 중용은 그 반대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
-천도와 천리가 세워진 다음에 인간의 본성을 얘기할 수 있음.
(위에서 아래로)
*주자는 기존의 유학사상 집대성(集大成:모아서 크게 만듦.)
*주자의 주석본이 수백년간 동양사회 지배
*리(理)(원리, 형이상학) - 기(氣)(질료, 형이하학)
-리의 궁극적 모습은 태극(太極)
*"유시리 편유시기"(이 리가 있으면 바로 이 기가 있다)나 "유시리 칙유시기"
*리일분수
-리는 하나지만 역할은 나뉘어있다.
-쉽게 말하자면 "리일"을 강조하는 것은 통일적 원리를 중시한다는 것
"분수"를 강조하는 것은 각각의 사물들에 분배되어진 개체적 원리를 중시한다는 것.
주자는 격물을 중시했는데 격물은 분수의 원리로부터 리일의 원리, 즉 개체의 원리를
탐구하는데서부터 나아가 통일적 원리를 중시하는 것으로 귀납적 방법과 비슷함.
반대로 "리일"을 중시하는 것은 연역적 방법과 비슷.
*월인만천 -강에 비친 달의 모습은 온전하다. 태극과 이에 대한 설명.
달이 태극, 모든 만사만물에게 태극이 내재해 있다.
*격은 이른다.(至)
물은 일(事)을 의미
→사물이나 사건에 경험, 분석, 연구해서 그 안에 내재된 천리를 하나하나 알아가서
결국 활연관통(흩어져있는 천리들을 하나하나분석하다보면 언젠가 도를 깨우침.)
*즉물: 사물과의 접촉
궁리: 물리(사물의 이치)의 연구
지극(至極): 앎을 지극히(투철히) 함
객관식 문제: 양명이 맨처음 학문 방법으로 강조한 것.
정답: 입지
*격물에 대한 해석에 있어 주자와 다른입장.
-격은 정(正), 물은 사(事), 사는 마음
-태극, 천도는 인간에 마음속에 내재, 마음속에 있는 것을 구지 연구할 필요X
-마음을 바로하는 것을 중시.
*주자의 도문학, 양명의 존덕성
-도문학: 학문을 통해 덕성배양, 격물공부를 통해 천리 깨닮음.
-존덕성: 선천적 덕성을 확충, 마음속에 큰 본체를 세우는 것이 공부의 시작
*주자의 존천리, 거인욕(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제거해야..)
-인욕제거에만 강조해 인간의 자연적 욕구 억압하는 결과..
*신유학의 사상적 원천
-유학 자체
-선종
-종교적 도가
:우주, 음양오행설, 주역(역경:유가만의 경전X)
*주돈이 <태극도설>
-도사(道士), 방사(方士), 신비한 도식이나 힘을 맹신
-우주만물의 순환과정에대한 도식(Click그림 참조)
무극
태극
음정, 양동(음에서 양, 양에서 음)
수,화,목,금,토(무극과 태극, 음과 양이 합쳐져 꽉차여지는 것)
건도성남, 곤도성녀(사람이 본성을 갖는것, 태극으로부터 가장 정기(精氣)를 받음.)
만물화생도
-태극과 무극에서 리(理)가 존재함을 주장. 진리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불교와 반대
☞Click(객관식 문제: 괄호넣기, 정답: 무극, 태극, 태극)
*태허즉기
-아주크게 비어있는곳에는 기가있다.
(기란, 서양적개념인 에테르, 에너지로 설명하기에는 어려움. 관념적개념)
*서명
-존오순사, 몰오영야(存吾順事, 沒吾寧也)
살아서는 순리에 따르고 죽을때는 편안히 죽는다.
*이후 송대와 명대에 수많은 학자들이 나옴.
-송원학안(宋元學案:송대의 철학사를 모아놓은것), 주자의 학설이 주
명류학안(明儒學案:명대의 철학사를 모아놓은것), 왕양명(심학)과 그 제자들의 학설이 주
-학안이란 예를들어 주돈이(주렴계)의 주자전서에서 핵심이 되는 말을 뽑아 모아놓은것.
이후 다른학자들의 핵심이 되는 말을 모아놓은것.
*대학(큰학문)과 중용
-주자와 양명의 사상의 근원이 되는 책
-맹자→대학→주자(성학)
논어→중용→양명(심학, 육구연에서 양명으로)
*삼강령 팔조목(三綱領 八條目:3가지강령과 강령에서나온 8가지조목)
*삼강 → 명명덕(明明德), 친민(親民), 지어지선(止於至善)
-명명덕: 밝은 덕을 밝힘. 동어반복X, 성선론에 입각
-친민: 신민(新民)이라고도 함. 백성들, 사람들과 친해지는 것
-지어지선: 지극한 선에서 그치라.(정도껏 하라. 과유불급)
*팔조목 → 격물(格物), 치지(致知), 수기(修己), 정심(正心), →작은것에서 큰것으로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
-격물: 사물을 연구함.
-치지: 앎에 이름.(격물을 통해)
-수기: 자기를 수양함.
-정심: 마음을 바르게 함.
-수신: 몸을 닦음.
-제가: 집을 가지런히 함.
-치국: 나라는 다스림
-평천하: 세상에 자신의 뜻(유학의 도)을 펼침.
주관식문제: ‘천명지위성이요, 솔성지위도요, 수도지위교니라’를 해석하시오.
*대학은 작은것에서 큰 것으로 이동함에 비해 중용은 그 반대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
-천도와 천리가 세워진 다음에 인간의 본성을 얘기할 수 있음.
(위에서 아래로)
*주자는 기존의 유학사상 집대성(集大成:모아서 크게 만듦.)
*주자의 주석본이 수백년간 동양사회 지배
*리(理)(원리, 형이상학) - 기(氣)(질료, 형이하학)
-리의 궁극적 모습은 태극(太極)
*"유시리 편유시기"(이 리가 있으면 바로 이 기가 있다)나 "유시리 칙유시기"
*리일분수
-리는 하나지만 역할은 나뉘어있다.
-쉽게 말하자면 "리일"을 강조하는 것은 통일적 원리를 중시한다는 것
"분수"를 강조하는 것은 각각의 사물들에 분배되어진 개체적 원리를 중시한다는 것.
주자는 격물을 중시했는데 격물은 분수의 원리로부터 리일의 원리, 즉 개체의 원리를
탐구하는데서부터 나아가 통일적 원리를 중시하는 것으로 귀납적 방법과 비슷함.
반대로 "리일"을 중시하는 것은 연역적 방법과 비슷.
*월인만천 -강에 비친 달의 모습은 온전하다. 태극과 이에 대한 설명.
달이 태극, 모든 만사만물에게 태극이 내재해 있다.
*격은 이른다.(至)
물은 일(事)을 의미
→사물이나 사건에 경험, 분석, 연구해서 그 안에 내재된 천리를 하나하나 알아가서
결국 활연관통(흩어져있는 천리들을 하나하나분석하다보면 언젠가 도를 깨우침.)
*즉물: 사물과의 접촉
궁리: 물리(사물의 이치)의 연구
지극(至極): 앎을 지극히(투철히) 함
객관식 문제: 양명이 맨처음 학문 방법으로 강조한 것.
정답: 입지
*격물에 대한 해석에 있어 주자와 다른입장.
-격은 정(正), 물은 사(事), 사는 마음
-태극, 천도는 인간에 마음속에 내재, 마음속에 있는 것을 구지 연구할 필요X
-마음을 바로하는 것을 중시.
*주자의 도문학, 양명의 존덕성
-도문학: 학문을 통해 덕성배양, 격물공부를 통해 천리 깨닮음.
-존덕성: 선천적 덕성을 확충, 마음속에 큰 본체를 세우는 것이 공부의 시작
*주자의 존천리, 거인욕(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제거해야..)
-인욕제거에만 강조해 인간의 자연적 욕구 억압하는 결과..
추천자료
사관이란 무엇인가
조명희의 `낙동강`에 나타난 계급적 민족적 투쟁의식
대중문화와 철학
사회 문화적 비평
일본[관광지,축제,일본인,도시소개,문화]
중국 민족-조사자료
조선 후기의 문화 고찰(17~18세기)
여성주의(페미니즘), 여성주의 정의, 이론적 접근
패러다임입니다.
피아제 콜버그 벡 엘리스의 인지 성격 이론
[한국문화사] <담배의 역사> 담배의 어원과 원산지 및 전래과정, 조선시대와 담배, 일제 시대...
전쟁의 원칙(Principles of War) (집중의 원칙, 기동의 원칙, 기습의 원칙, 전쟁의 원칙의 유...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정치학의 질서관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에서의 질서, 아리스토...
동북아 사회문화 - 중국의 장례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