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봉건제국의 몰락
2. 중화민국의 성립
3. 5.4 신무화운동(1919년)
4. 맑스주의의 전파
5. 신문화 운동 시기 지식인들의 전통에 대한 입장
6. 과학과 철학
2. 중화민국의 성립
3. 5.4 신무화운동(1919년)
4. 맑스주의의 전파
5. 신문화 운동 시기 지식인들의 전통에 대한 입장
6. 과학과 철학
본문내용
13강 5·4시기의 신문화운동과 사상논쟁
신유조약→
신축조약(辛丑條約)으로 수정
*5·4시기: 1915-1923까지의 시기
*무술6군자: 무술변법을 시행하려고 했던 6명
*의화단 운동: 지역사회, 마을중심으로 일어난 종교적 색채보다는 민심적 색채
부청멸양(청나라를 다시 살리고 서양을 배척해야 함)
실제로 조직적 활동X
*청조의 몰락에 결정적 계기
-신해혁명: 1911년 손문(쑨원)에 의해..
-손문은 한족, 중국의 대다수도 한족
-봉건체제 종식, 만주지배체제 종식(청나라는 몽고족에 의해 세워진 나라였으므로)
*흥중회
-무장단체
객관식문제: 삼민주의가 아닌 것은?
*평균지권: 땅을 평등하게 배분하는 것.
*민중들의 이권회수운동↔서태후는 이를 국유화하려..
→민중들의 봉기발생
*무창봉기
-여러 신분들이 함께 봉기
-1912년 1월 1일 남경정부를 중심으로 중화민국 건국
-국민당 / 민주당
공산당(1949.10.1)
∴중국의 입장에서 중국의 역사는 청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but 대만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하지X, 중화민국이 이어지고있다고 생각.
*북경대학의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진독수- 구사상의 근간인 유교사상을 비판
*채원배- 북경대학 초대총장(청나라때 경사대학당에서 북경대학으로 바뀜)
*민주=덕(중국발음de)선생
과학=새(중국발음sai)선생
주관식문제: 공자 사상을 사람 잡아먹는 예교라고 한 사람은?
정답: 노신
*문화혁명
-언어혁명
-문어체에서 구어체사용으로
-계몽을위해 일반민중들이 쉽게 알 수 있도록 간결한 문체, 문자 사용
*맑스주의의 전파
-이대조 “당시의 고등교육기관(대학)에서 역사를 가르치는 교수가운데 유물사관의
영향을 받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었다.”
-유물사관: 노동관계, 경제적 관계로서 역사의 진행과정 설명하는 것.
*1921.7월에 정식으로 공산당 만들어졌다고 알려짐.
5.전통에 대한 입장(전통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것인지의 문제)
·신고: 전통주의자
·의고: 전통이라는 것도 의심해야..급진주의자(대표적 인물: 호적“중국철학사”)
·절충: 개혁주의자
*호적의 “중국철학사”
-1장에 노자
-자신의 말을 먼저쓰고, 공자가 노자의 말 인용(당시로서는 파격적)
-실증주의→“나증거구(拿證據求:증거를 내놓아라)”
-이와 기를 공허한 것으로 생각, 대담하게 가설을 세우고 엄밀히 증명하라.(가설과 증명)
*(1)과학파
(2)현학(철학)파
(3)유물사관파
-1924년 결정적 논쟁→과학과 현학(인생관, 철학)논쟁
*왕국유
-철학에 먼저 입문(30세 이후에 철학 포기)
→가신자 불가애 가애자 불가신
-1+1=2
→과학적 진리(증명가능) 근대, 과학, 이성, 분석, 벌률 →가신자 불가애
나는 순희를 사랑한다
→현학적 진리(증명불가) 전통, 철학(미학), 감성, 직관, 윤리 →가애자 불가신
신유조약→
신축조약(辛丑條約)으로 수정
*5·4시기: 1915-1923까지의 시기
*무술6군자: 무술변법을 시행하려고 했던 6명
*의화단 운동: 지역사회, 마을중심으로 일어난 종교적 색채보다는 민심적 색채
부청멸양(청나라를 다시 살리고 서양을 배척해야 함)
실제로 조직적 활동X
*청조의 몰락에 결정적 계기
-신해혁명: 1911년 손문(쑨원)에 의해..
-손문은 한족, 중국의 대다수도 한족
-봉건체제 종식, 만주지배체제 종식(청나라는 몽고족에 의해 세워진 나라였으므로)
*흥중회
-무장단체
객관식문제: 삼민주의가 아닌 것은?
*평균지권: 땅을 평등하게 배분하는 것.
*민중들의 이권회수운동↔서태후는 이를 국유화하려..
→민중들의 봉기발생
*무창봉기
-여러 신분들이 함께 봉기
-1912년 1월 1일 남경정부를 중심으로 중화민국 건국
-국민당 / 민주당
공산당(1949.10.1)
∴중국의 입장에서 중국의 역사는 청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but 대만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하지X, 중화민국이 이어지고있다고 생각.
*북경대학의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진독수- 구사상의 근간인 유교사상을 비판
*채원배- 북경대학 초대총장(청나라때 경사대학당에서 북경대학으로 바뀜)
*민주=덕(중국발음de)선생
과학=새(중국발음sai)선생
주관식문제: 공자 사상을 사람 잡아먹는 예교라고 한 사람은?
정답: 노신
*문화혁명
-언어혁명
-문어체에서 구어체사용으로
-계몽을위해 일반민중들이 쉽게 알 수 있도록 간결한 문체, 문자 사용
*맑스주의의 전파
-이대조 “당시의 고등교육기관(대학)에서 역사를 가르치는 교수가운데 유물사관의
영향을 받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었다.”
-유물사관: 노동관계, 경제적 관계로서 역사의 진행과정 설명하는 것.
*1921.7월에 정식으로 공산당 만들어졌다고 알려짐.
5.전통에 대한 입장(전통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것인지의 문제)
·신고: 전통주의자
·의고: 전통이라는 것도 의심해야..급진주의자(대표적 인물: 호적“중국철학사”)
·절충: 개혁주의자
*호적의 “중국철학사”
-1장에 노자
-자신의 말을 먼저쓰고, 공자가 노자의 말 인용(당시로서는 파격적)
-실증주의→“나증거구(拿證據求:증거를 내놓아라)”
-이와 기를 공허한 것으로 생각, 대담하게 가설을 세우고 엄밀히 증명하라.(가설과 증명)
*(1)과학파
(2)현학(철학)파
(3)유물사관파
-1924년 결정적 논쟁→과학과 현학(인생관, 철학)논쟁
*왕국유
-철학에 먼저 입문(30세 이후에 철학 포기)
→가신자 불가애 가애자 불가신
-1+1=2
→과학적 진리(증명가능) 근대, 과학, 이성, 분석, 벌률 →가신자 불가애
나는 순희를 사랑한다
→현학적 진리(증명불가) 전통, 철학(미학), 감성, 직관, 윤리 →가애자 불가신
추천자료
사관이란 무엇인가
조명희의 `낙동강`에 나타난 계급적 민족적 투쟁의식
대중문화와 철학
사회 문화적 비평
일본[관광지,축제,일본인,도시소개,문화]
중국 민족-조사자료
조선 후기의 문화 고찰(17~18세기)
여성주의(페미니즘), 여성주의 정의, 이론적 접근
패러다임입니다.
피아제 콜버그 벡 엘리스의 인지 성격 이론
[한국문화사] <담배의 역사> 담배의 어원과 원산지 및 전래과정, 조선시대와 담배, 일제 시대...
전쟁의 원칙(Principles of War) (집중의 원칙, 기동의 원칙, 기습의 원칙, 전쟁의 원칙의 유...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정치학의 질서관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에서의 질서, 아리스토...
동북아 사회문화 - 중국의 장례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