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표시]동양사상입문 14강(성균관대학교 한성구 교수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출표시]동양사상입문 14강(성균관대학교 한성구 교수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국 사상사상의 중요 문제들

2. 양수명의 의욕관

3. 과학과 인생관 논쟁

4. 인생관의 특징(장군매)

5. 호적의 과학적 인생관

6. 논쟁의 구도와 결과

7. 근대화와 서구화

8. 중화인민공화국의 건설과 마오쩌둥

9. 덩샤오핑의 개혁개방과 공산당 지도부의 변천

10. 오늘의 중국

본문내용

14강 과학과 철학
2.양수명의 의욕관 - 전통으로의 회귀를 주장(유물론을 거부)
1)의욕향전: 서양문화
2)의욕지중: 조화, 안분, 지족, 과욕, 섭생, 중용
3)의욕향후: 인도문화
*객관식문제: 장군매가 말한 인생관의 특징이 아닌 것은?
정답: 분석적
(10) 소아=개인, 대아=인류
*장군매가 인생관과 과학은 별개의 영역이라는것에 반박해
인생관이라는것도 과학으로서 분석대상이 된다는 내용
*탈아: 아시아를 벗어남→서구화
*아성(亞聖): 아성은 맹자를 지칭(아는 버금간다의 의미, 성은 공자)
아라는 의미가 최고가 아닌것같기에 일본은 자신은 아세아(亞細亞)로 여기지 않고
서양으로 여김.
8.마오쩌둥 →객관식문제: 마오쩌둥의 이론이 아닌 것은? 정답: 흑묘백묘론
1)마오쩌둥과 중국전통
-순자의 인정승천: 사람이 하늘을 이길 수 있다.
-청행유상: 하늘의 움직임에는 일정함이 있다.
-천명가제: 천명은 인간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제어할 수 있다.)
-원기설수용: 원기(물질적 기)의 운동에의해 천기만물이 변화한다.(유물론적 견해)
-전통적 신학목적론을 벗어나 자연과 인간이 실천에의해 연결되고
인간이 자연을 이용함으로써 역사가 발전한다고 주장.
2)모순론
-음양
-모순의 투쟁성: 모순되는 것이 투쟁에의해 새로운 것으로 전환(변증법적 사고)
-모순의 보편성: 위와같은 모순은 어디에나 있음.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사고와 같음.
3)실천론
-실사구시: 실제적인 일에서 진리를 구한다. →실천의 중요성 강조
(중국의 전통적인 공상적 철학에 대립됨.)
-전통적 지행관(지선행후: 선천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지식이 먼저 행동은 다음)비판
공자 “성상지여하우불이”: 상지와 하우는 후천적으로 바뀔 수 없음.
맹자 “양지양능”: 아이가 우물에 빠졌을 때 누구나 살리려고 하는 것..
-가장 중요한 실천을 생산투쟁, 계급투쟁, 과학실험이라고 여김.
*대약진운동
-일시적 생상량 증가
-인간의 노동력에만 의존해 실패
요문원, 오함
*주자파: 자본주의, 수정주의자들(등소평)
*대약진운동 실패와 더불어 문화대혁명으로 중국은 더욱 정체.
문화대혁명은 자본주의확산으로부터 공산주의를 보호하는 운동이었기에..
*등소평의 흑묘백묘론
-고양이가 검은고양이냐 흰고양이냐는 중요하지 않고 쥐만 잘잡으면된다.
-사회주의건 자본주의건 체제는 중요하지 않고 인민들을 배불리하고 경제적부분을
만족시키면 그것이 제대로된 정치이다.
*과학적 발전관
-중국 정부가 정확한 예측을 통해 발전의 속도를 조정하면서 사회주의 발전시키겠다는 것.
화해사회
-사회적 화해를 어떻게 이끌어나갈 것인가의 문제
*분리주의자
-소수민족들의 분리주의운동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9.01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88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