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적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지(2)
학습지(3)
정리 및
형성평가
차시예고
(5분)
내용 정리
- 각 모둠별로 수업 중 느낀 바를 이야기 해 본다.
형성평가
- ‘역사는 ( )다.’에서 괄호에 들어갈 적당한 말을 모둠별로 발표해 본다.
(ppt(4))
차시예고
ppt(4)
<학습지(1)>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
지난 2010년 7월 14일 ○○ 발굴단은 기묘한 모양의 유물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유물은 아직 시기가 밝혀지지 않았으며, 가로 30cm, 세로 20cm의 크기로 모양은 아래와 같다.
1. 유물의 용도를 자유롭게 추정해 보자.
2. 선택한 시기와 장소에 맞게 유물의 용도를 추정해 보고, 그 이유를 설명해 보자.
<학습지(2)>
서양 오랑캐가 침범하였을 때 싸우지 않음은 곧 화의하자는 것이요, 화의를 주장함은 나라를 파는 것이다.
위의 글은 흥선대원군이 세운 척화비에 적힌 내용이다. 흥선대원군이 집권 했던 시기는 프랑스, 미국 등의 서양 열강들이 함선을 이끌고 우리나라 연해에 접근해 물리적인 힘으로 통상을 요구해 왔으며, 오페르트는 남연군의 무덤을 파해 치는 만행을 저질렀다. 또한 이웃 나라 청의 상황을 보면, 청과의 무역에서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영국 상인이 아편을 수출함으로써 중국인들의 정신과 신체를 파괴하고 있었으며, 이를 막기 위한 청의 노력에 대해 서양 열강들이 전쟁을 일으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쳤으며 결국 전쟁에서 패한 청나라는 홍콩을 빼앗기고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연히 흥선대원군은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서 서양의 침략에 대해 단호히 대처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 혼란을 막고 우리의 영토와 문화를 지킬 수가 있었다. 흥선대원군은 종종 쇄국 정책 불리는 이런 외교 정책 때문에 망국의 주범으로 몰리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아무런 준비 없는 개화를 통해 타국에 끌려가는 근대화가 과연 우리에게 도움이 되었을 것인가? 분명 무조건적으로 빠르게 근대를 시작하는 것만이 당시의 정답은 아니었을 것이다.
1.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흥선대원군의 외교 정책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에 대해 토의 해 보자.
2. 흥선 대원군의 대외 정책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외국이나 외국 문화에 대해 취해야 할 올바른 태도에 대해 토의해 보자.
<학습지(3)>
역사의 큰 흐름을 놓치다-‘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이 집권했던 시기는 우리나라 역사상 굉장히 중요한 시기였다. 서양에서는 이미 산업화에 성공하여 식민지를 넓히고 있었으며, 중국과 일본도 개화 이후에 근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당시 근대화는 거부할 수 없었던 역사적 흐름이었다. 생산력의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농업 중심의 산업 구조에서 벗어나야만 부국강병을 이룰 수 있었으며, 서양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유교 사상이 아닌 군함과 신무기였다. 또한 낡은 신분제는 더 이상 사회의 버팀목 역할을 할 수 없었다.
하지만 흥선대원군은 철저한 쇄국 정책으로 이런 시대적 흐름을 무시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유교적 신분 질서를 지키고 이를 통해 자신의 권력 기반을 안정시키기 위한 노력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우리는 결국 개화를 선택했으며 근대화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근대화라는 고지를 선점한 일본에 주권을 빼앗기고 식민지로 전락할 수밖에 없었다.
1.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흥선대원군의 외교 정책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에 대해 토의 해 보자.
2. 흥선 대원군의 대외 정책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외국이나 외국 문화에 대해 취해야 할 올바른 태도에 대해 토의해 보자.
<동영상(1)>
학습지(2)
학습지(3)
정리 및
형성평가
차시예고
(5분)
내용 정리
- 각 모둠별로 수업 중 느낀 바를 이야기 해 본다.
형성평가
- ‘역사는 ( )다.’에서 괄호에 들어갈 적당한 말을 모둠별로 발표해 본다.
(ppt(4))
차시예고
ppt(4)
<학습지(1)>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
지난 2010년 7월 14일 ○○ 발굴단은 기묘한 모양의 유물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유물은 아직 시기가 밝혀지지 않았으며, 가로 30cm, 세로 20cm의 크기로 모양은 아래와 같다.
1. 유물의 용도를 자유롭게 추정해 보자.
2. 선택한 시기와 장소에 맞게 유물의 용도를 추정해 보고, 그 이유를 설명해 보자.
<학습지(2)>
서양 오랑캐가 침범하였을 때 싸우지 않음은 곧 화의하자는 것이요, 화의를 주장함은 나라를 파는 것이다.
위의 글은 흥선대원군이 세운 척화비에 적힌 내용이다. 흥선대원군이 집권 했던 시기는 프랑스, 미국 등의 서양 열강들이 함선을 이끌고 우리나라 연해에 접근해 물리적인 힘으로 통상을 요구해 왔으며, 오페르트는 남연군의 무덤을 파해 치는 만행을 저질렀다. 또한 이웃 나라 청의 상황을 보면, 청과의 무역에서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영국 상인이 아편을 수출함으로써 중국인들의 정신과 신체를 파괴하고 있었으며, 이를 막기 위한 청의 노력에 대해 서양 열강들이 전쟁을 일으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쳤으며 결국 전쟁에서 패한 청나라는 홍콩을 빼앗기고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연히 흥선대원군은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서 서양의 침략에 대해 단호히 대처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 혼란을 막고 우리의 영토와 문화를 지킬 수가 있었다. 흥선대원군은 종종 쇄국 정책 불리는 이런 외교 정책 때문에 망국의 주범으로 몰리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아무런 준비 없는 개화를 통해 타국에 끌려가는 근대화가 과연 우리에게 도움이 되었을 것인가? 분명 무조건적으로 빠르게 근대를 시작하는 것만이 당시의 정답은 아니었을 것이다.
1.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흥선대원군의 외교 정책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에 대해 토의 해 보자.
2. 흥선 대원군의 대외 정책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외국이나 외국 문화에 대해 취해야 할 올바른 태도에 대해 토의해 보자.
<학습지(3)>
역사의 큰 흐름을 놓치다-‘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이 집권했던 시기는 우리나라 역사상 굉장히 중요한 시기였다. 서양에서는 이미 산업화에 성공하여 식민지를 넓히고 있었으며, 중국과 일본도 개화 이후에 근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당시 근대화는 거부할 수 없었던 역사적 흐름이었다. 생산력의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농업 중심의 산업 구조에서 벗어나야만 부국강병을 이룰 수 있었으며, 서양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유교 사상이 아닌 군함과 신무기였다. 또한 낡은 신분제는 더 이상 사회의 버팀목 역할을 할 수 없었다.
하지만 흥선대원군은 철저한 쇄국 정책으로 이런 시대적 흐름을 무시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유교적 신분 질서를 지키고 이를 통해 자신의 권력 기반을 안정시키기 위한 노력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우리는 결국 개화를 선택했으며 근대화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근대화라는 고지를 선점한 일본에 주권을 빼앗기고 식민지로 전락할 수밖에 없었다.
1.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흥선대원군의 외교 정책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에 대해 토의 해 보자.
2. 흥선 대원군의 대외 정책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외국이나 외국 문화에 대해 취해야 할 올바른 태도에 대해 토의해 보자.
<동영상(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