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동시이행의 항변권
1. 동시이행 항변권의 개관
2. 동시이행 항변권의 의의
Ⅱ. 동시이행 항변권의 성립요건
1. 쌍방의 채무가 동일한 쌍무계약으로부터 발생할 것
2. 자기 채무의 이행 또는 이행의 제공을 하지 않고 이행청구 할 것
3. 쌍방의 채무가 변제기에 있을 것
Ⅲ. 동시이행 항변권의 효력
1. 이행거절의 항변권
2. 소송상의 효력
3. 항변권 존재의 효력
Ⅳ. 동시이행 항변권의 확장
1.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비쌍무계약에 확장하기 위한 요건
2. 법률에 의한 동시이행의 항변권의 준용규정
3. 판례나 학설에 의한 적용
Ⅴ. 동시이행 항변권과 불안의 항변권
1. 동시이행 항변권의 개관
2. 동시이행 항변권의 의의
Ⅱ. 동시이행 항변권의 성립요건
1. 쌍방의 채무가 동일한 쌍무계약으로부터 발생할 것
2. 자기 채무의 이행 또는 이행의 제공을 하지 않고 이행청구 할 것
3. 쌍방의 채무가 변제기에 있을 것
Ⅲ. 동시이행 항변권의 효력
1. 이행거절의 항변권
2. 소송상의 효력
3. 항변권 존재의 효력
Ⅳ. 동시이행 항변권의 확장
1.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비쌍무계약에 확장하기 위한 요건
2. 법률에 의한 동시이행의 항변권의 준용규정
3. 판례나 학설에 의한 적용
Ⅴ. 동시이행 항변권과 불안의 항변권
본문내용
보책임에 관하여도『쌍무계약에서 발생한 것은 아닐지라도 동일한 생활관계에서 발생한 것으로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어 그 이행에 견련관계를 인정함이 공평의 원칙에 부합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민법 536조를 준용한다.』. 도급계약에 있어서도 도급인의 하자보수청구권 또는 손해배상청구권이 수급인의 보수지급청구권과 동시이행관계를 인정한다. 또한 전세권자의 전세물인도 및 전세권설정등기말소의무와 전세권설정자의 전세금반환의무도 동시이행의 관계가 인정된다.
3. 판례나 학설에 의한 적용
임대차계약의 종료에 의하여 발생된 임차인의 임차목적물 반환의무와 임대인의 연체차임을 공제한 나머지 보증금의 반환의무는 동시이행의 관계가 인정된다. 그리고 계약이 무효나 취소되어 각 당사자가 서로 취득한 것을 반환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동시이행의 관계가 있다고 인정한다.
Ⅴ. 동시이행 항변권과 불안의 항변권
선이행의무를 부담하는 당사자는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주장하지 못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선이행의무자에게 그의 재산상태의 악화와 같은 그가 부담하는 의무의 이행이 곤란할 현저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선이행의무자에게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인정한다. 예컨대, 매매계약에 있어서 매도인이 먼저 목적물을 이전하고 매수인은 3개월 후에 대금을 지급하기로 하였으나, 계약체결 후 매수인의 재산상태가 악화하여 기한도래 후의 매도인의 대급청구가 실효를 거둘 수 없게 된 때에는 매도인은 매수인이 대금을 지급할 때까지 자기의 채무의 이행 즉 목적물의 이전을 거절할 수 있다. 이것은 공평의 원칙과 신의칙을 바탕으로 하는 사정 변경의 원칙의 한 적용이라 할 수 있다.
3. 판례나 학설에 의한 적용
임대차계약의 종료에 의하여 발생된 임차인의 임차목적물 반환의무와 임대인의 연체차임을 공제한 나머지 보증금의 반환의무는 동시이행의 관계가 인정된다. 그리고 계약이 무효나 취소되어 각 당사자가 서로 취득한 것을 반환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동시이행의 관계가 있다고 인정한다.
Ⅴ. 동시이행 항변권과 불안의 항변권
선이행의무를 부담하는 당사자는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주장하지 못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선이행의무자에게 그의 재산상태의 악화와 같은 그가 부담하는 의무의 이행이 곤란할 현저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선이행의무자에게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인정한다. 예컨대, 매매계약에 있어서 매도인이 먼저 목적물을 이전하고 매수인은 3개월 후에 대금을 지급하기로 하였으나, 계약체결 후 매수인의 재산상태가 악화하여 기한도래 후의 매도인의 대급청구가 실효를 거둘 수 없게 된 때에는 매도인은 매수인이 대금을 지급할 때까지 자기의 채무의 이행 즉 목적물의 이전을 거절할 수 있다. 이것은 공평의 원칙과 신의칙을 바탕으로 하는 사정 변경의 원칙의 한 적용이라 할 수 있다.
추천자료
무역에서 필요한 용어 정리
한국의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경영이념(vision)
북핵문제의 해법과 전망
[현실경제론]한일 FTA의 효과 및 대응방향
유럽인의 해외팽창
청구 이의의 소
북미관계의 변화
북한 핵실험 이후 남북관계 개선방향
[민영화][항만 민영화][은행 민영화][방송 민영화][교도소 민영화][보건의료 민영화][연금 민...
[산업][생산][산업별 생산 배경][산업별 생산 요인][산업별 생산 현황][총요소생산성]산업별 ...
국제결제은행(신바젤협약, BIS) 자기자본비율규제의 배경, 도입, 국제결제은행(신바젤협약, B...
만성신부전 case study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