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효과(unified total effect)를 창출하기 위하여 애썼다. 무대장치의 사실감을 높이기 위하여 영국 특유의 장치 전환 방법인 \'그루브 씨스템\'(groove system)을 없애고 \'자유 배치 방법\'(free plantation system)을 개발했는데 장치의 전환을 위한 기계장치 설비 때문에 무대 위의 일정한 장소에만 획일적으로 장치를 배치하는 방법 대신에 장치를 무대의 아무 곳에나 세울 수 있게 함으로서 무대구성(stage composition)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사실적이고 개성적인 무대그림을 만들어 냈다. 그는 또한 장치 전환을 관객에게 은폐하기 위하여 최초로 전환시에 면막(front curtain)을 사용하여 가렸다. 그리고 그림으로 그린 평면적 장치 대신에 입체적으로 제작된 장치와 대도구들을 많이 사용하여 사실감을 높혀 주었다. 이렇게 복잡한 무대장치와 기계설비에 의존하게 됨에 따라 그는 공연 전에 배우들 중심으로 하는 총연습(dress rehearsal)외에 스탭들 중심으로 하는 기술 연습(technical rehearsal)을 최초로 시도했다.
제임스경의 또 하나의 커다란 기여는 그가 개스등을 도입하여 조명술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1820년경에 처음 발명된 개스등(gas light)은 종전의 기름램프나 양초보다 몇 배 밝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통제가 가능했다. 중앙 집중식의 개스 테이블(gas table)을 조작하여 극장 안의 모든 조명을 동시에 켜고 끄는 것이 용이했으며 렌즈를 사용하여 비추고 싶은 지역만 선택적으로 비출 수 있는 스폿트 라이트(spot light)가 개발
제임스경의 또 하나의 커다란 기여는 그가 개스등을 도입하여 조명술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1820년경에 처음 발명된 개스등(gas light)은 종전의 기름램프나 양초보다 몇 배 밝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통제가 가능했다. 중앙 집중식의 개스 테이블(gas table)을 조작하여 극장 안의 모든 조명을 동시에 켜고 끄는 것이 용이했으며 렌즈를 사용하여 비추고 싶은 지역만 선택적으로 비출 수 있는 스폿트 라이트(spot light)가 개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