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신문의 효시 『한성순보』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성순보』 창간 배경

(2) 『한성순보』의 창간과정

(3) 『한성순보』의 체제 및 내용

(4) 역사적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다.
『한성순보』가 가진 역사적 의의는 둘째로,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근대정기인쇄신문의 시원을 열어놓은 것이다. 『한성순보』는 비록 아직 근대형의 신문체재를 완비하지는 못하였지만 수백 년 동안 존속되어 온 조보와는 근본적으로 구별되는 근대적 신문으로서의 내용과 형식을 갖추기 시작한 점에서 큰 진보를 보여주었다. 『한성순보』는 그 후 우리나라 근대 부르주아신문의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이 신문은 경험과 공적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활동한 애국문화운동자들에 의하여 이어졌다.
【참고문헌】
차배근오진환정진석이관재임준수신입섭,『우리 신문 100년』방일영문화재단, 2001
이용필,『조선신문100년사』나남출판, 1993
강민남김유원박지동유일상임동욱정대수,『새로 쓰는 한국 언론사』아침, 2001
  • 가격5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0.09.07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95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