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개혁(the Reformation)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배경 동기

독일에서 먼저 일어난 이유

루터의 95개조 반박문

칼뱅의 종교 개혁

영국의 종교 개혁

종교 개혁의 결과

직업 윤리

본문내용

부여하는 은총이라고 보았다. 이는 직업의 성공적인 징표로 간주되어 왔고, 자본가는 언제나 하느님의 심부름꾼으로서 은총을 받은 자다. 자본을 축적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교회나 사회 전체를 위해 사용해야 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로 모든 사람을 위해 근면해야 한다는 것이다.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는 가르침은 소비와 사치의 풍조를 제한하게 되었고 아울러 자본의 증가를 가져온다고 하였다. 계속적인 노동은 저축을 촉진시켰고 저축의 촉진은 자본의 축적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와 같이 노동은 하느님께 대한 봉사이다. 하느님의 은총을 얻기 위해서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며 결코 태만은 용납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충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항상 근면해야 하며 쾌락의 추구나 자신의 탐닉을 철저히 배격하여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이윤을 기꺼이 사용하는 태도가 절실하게 요청되는 바, 이러한 금욕적 프로테스탄티즘의 태도를 베버는 '禁慾的 職業倫理'라고 불렀다.
이 금욕적 직업 윤리는 유기적 직업 윤리와 같이 국가 사회에 헌신하고 인간 질서에 한 몫을 담당하고 있지만 이 윤리는 직업을 통해 하느님께 봉사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한다. 그리고 금욕적 직업 윤리가 유기적 직업 윤리와 다른 또 하나의 특색은 일에 대한 헌신이 어디까지나 자발적이라는 점이다. 유기적 직업 윤리에서의 헌신적인 봉사는 전체를 위한 자기 부정적이다. 자신의 이익이나 개성까지도 무시되는 입장에서 전체라는 사회적 유기체 속에서 작은 세포로서만이 활동할 수 있는 숙명적인 운명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 정해진 직업으로 만족해야 했다. 이에 반해 금욕적 직업 윤리는 금욕이 지니고 있는 의의가 보다 적극적이다. 전념해야 할 직업 활동에 방해되는 요인들, 즉 나태심, 이기심, 소비성, 무절제, 공명심 등과 같은 인간의 약점을 과감히 제거하는 것이 이 경우의 금욕이다.
또한 금욕적 직업 윤리는 집단 사회와 개인과의 관계를 전체와 개체라는 고정적 개념으로 파악하려 하지 않는다. 개인은 직업 선택의 자유가 완전히 보장되어 있으며 자유롭게 직업을 변경할 수 있다. 유기적 직업 윤리에서처럼 조직이나 집단 속에 하나의 부품처럼 숙명적인 희생을 요구하지 않는다. 개성의 발휘가 우선되기 때문이다. 금욕적 직업 윤리는 인간이 감정을 억제하고 일에 성의를 다할 것을 바라고 있지만, 일 자체를 통하여 자아를 실현하고 자신의 개성을 최대한도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9.07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96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