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의 개념
Ⅲ.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의 실태
Ⅳ.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의 가두리양식
1. 가두리 양식이란
2. 가두리양식과 수질오염
3. 가두리양식 제한 현황
Ⅴ.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의 기술개발
Ⅵ. 아르헨티나의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 사례
Ⅶ. 향후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의 발전 과제
Ⅷ. 결론
참고문헌
Ⅱ.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의 개념
Ⅲ.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의 실태
Ⅳ.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의 가두리양식
1. 가두리 양식이란
2. 가두리양식과 수질오염
3. 가두리양식 제한 현황
Ⅴ.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의 기술개발
Ⅵ. 아르헨티나의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 사례
Ⅶ. 향후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의 발전 과제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을 지원한데 이어, 2,360백만 원을 확보하여 11개소의 집약생산시설을 지원함으로써 土産魚種은 물론 고부가가치 어종인 뱀장어 등을 養殖할 수 있게 하여 어업인 소득증대에 기여할 계획이다.
內水面漁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통적인 양식시설의 環境親和形 현대화시설 전환으로 環境保全 및 비용절감 등을 통한 내수면어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양식품종 다양화 및 관상용 양식 등으로 高所得 內水面漁業開發을 추진한다. 또한 내수면잠재력조사 및 발전방향 용역사업을 통하여 내수면생태계의 회복·보존 관리방안 마련 및 수산자원의 지속적 생산을 위한 중장기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며, 아울러 내수면 水産資源조성을 위한 토산어종 및 연어치어방류 사업을 위한 기반시설조성으로 內水面수산자원을 관광자원화 할 계획이다.
Ⅵ. 아르헨티나의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 사례
o Bariloche에서 Neuquen까지의 Limay 강(400km)과 Neuquen에서 대서양해안까지의 Rio Negro강(600km)에서 연어(Salmon)와 송어(Trucha)의 민물양식이 가능
o 현재 Bariloche지역 Limay 강변에서 송어 및 연어양식장 30-40개가 운영중
o 주정부에서는 양식업체로부터 매년 120만마리의 치어를 제공받아 Limay 강에 방사중
o 동 지역의 청정하천을 이용한 대규모의 양식장은 사업이 유망
o 현재 5개의 댐검설로 조성된 호수지역에서는 매년 2회씩 공개입찰 형식으로 사업자를 결정하나, 하천을 이용한 양식은 주정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여 신청이 가능(3-4 ha 정도의 하천부지를 이용하면 양식사업이 가능)
Ⅶ. 향후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의 발전 과제
ㅇ 전통적인 양식시설의 환경친화형 현대화시설 전환하여 환경보전과 비용절감 및 경쟁력을 제고하고, 양식품종 다양화 및 관상용 양식 등 고소득 내수면 양식어업 개발
ㅇ FTA 체결 가속화에 따른 시장 완전개방 이전에 고부가 양식어업의 개발과 생산량 증대기반 구축
ㅇ 내수면 수산자원을 관광레저와 연계하여 지속 이용관리체계 방안 마련
ㅇ 환경친화적 내수면 고도 양식기술 개발과 생산량 증대
- 국내 소비수요가 많고 경쟁력이 있는 뱀장어 양식시설 등에 집중대규모 융자 지원
- 고부가 창출이 가능한 국내 토속어종의 관상어 품종개발과 양식시설에 융자 지원
ㅇ 우리나라 민물고기 자원의 생태체험관 건립 지원
- 수산자원의 중요성 인식 및 자연학습과 체험교육의 장으로 활용
Ⅷ. 결론
내수면어업 생산량의 42%를 점유한 가두리양식업이 정부의 맑은 물 공급정책에 따라 어업면허가 불허되면서 생산량의 급격한 감소와 육상양식장의 수질환경 규제 강화로 인한 환경시설부담 과중으로 생산성 저하
환경부가 추진 중인 양식장 배출수 수질기준과 관련하여 해양수산부는 별도의 어업인들과의 조정안 제시
참고문헌
류성규(1990) : 양식 개론, 부산 : 태화출판사
이종섭·박일흠(1995) : 수하식 양식시설에 의한 유체저항의 평가와 수치모형, 한국수산학회지
전세규(2000) : 양식어류의 질병 - 해수편, 한국수산신보사
內水面漁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통적인 양식시설의 環境親和形 현대화시설 전환으로 環境保全 및 비용절감 등을 통한 내수면어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양식품종 다양화 및 관상용 양식 등으로 高所得 內水面漁業開發을 추진한다. 또한 내수면잠재력조사 및 발전방향 용역사업을 통하여 내수면생태계의 회복·보존 관리방안 마련 및 수산자원의 지속적 생산을 위한 중장기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며, 아울러 내수면 水産資源조성을 위한 토산어종 및 연어치어방류 사업을 위한 기반시설조성으로 內水面수산자원을 관광자원화 할 계획이다.
Ⅵ. 아르헨티나의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 사례
o Bariloche에서 Neuquen까지의 Limay 강(400km)과 Neuquen에서 대서양해안까지의 Rio Negro강(600km)에서 연어(Salmon)와 송어(Trucha)의 민물양식이 가능
o 현재 Bariloche지역 Limay 강변에서 송어 및 연어양식장 30-40개가 운영중
o 주정부에서는 양식업체로부터 매년 120만마리의 치어를 제공받아 Limay 강에 방사중
o 동 지역의 청정하천을 이용한 대규모의 양식장은 사업이 유망
o 현재 5개의 댐검설로 조성된 호수지역에서는 매년 2회씩 공개입찰 형식으로 사업자를 결정하나, 하천을 이용한 양식은 주정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여 신청이 가능(3-4 ha 정도의 하천부지를 이용하면 양식사업이 가능)
Ⅶ. 향후 내수면양식(민물양식업, 담수양식)의 발전 과제
ㅇ 전통적인 양식시설의 환경친화형 현대화시설 전환하여 환경보전과 비용절감 및 경쟁력을 제고하고, 양식품종 다양화 및 관상용 양식 등 고소득 내수면 양식어업 개발
ㅇ FTA 체결 가속화에 따른 시장 완전개방 이전에 고부가 양식어업의 개발과 생산량 증대기반 구축
ㅇ 내수면 수산자원을 관광레저와 연계하여 지속 이용관리체계 방안 마련
ㅇ 환경친화적 내수면 고도 양식기술 개발과 생산량 증대
- 국내 소비수요가 많고 경쟁력이 있는 뱀장어 양식시설 등에 집중대규모 융자 지원
- 고부가 창출이 가능한 국내 토속어종의 관상어 품종개발과 양식시설에 융자 지원
ㅇ 우리나라 민물고기 자원의 생태체험관 건립 지원
- 수산자원의 중요성 인식 및 자연학습과 체험교육의 장으로 활용
Ⅷ. 결론
내수면어업 생산량의 42%를 점유한 가두리양식업이 정부의 맑은 물 공급정책에 따라 어업면허가 불허되면서 생산량의 급격한 감소와 육상양식장의 수질환경 규제 강화로 인한 환경시설부담 과중으로 생산성 저하
환경부가 추진 중인 양식장 배출수 수질기준과 관련하여 해양수산부는 별도의 어업인들과의 조정안 제시
참고문헌
류성규(1990) : 양식 개론, 부산 : 태화출판사
이종섭·박일흠(1995) : 수하식 양식시설에 의한 유체저항의 평가와 수치모형, 한국수산학회지
전세규(2000) : 양식어류의 질병 - 해수편, 한국수산신보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