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foley cath insert>
<Foley irrigation>
<oral suction시 oralpharyngeal airway 삽입>
< nasopharyngeal suction>
<L-tube insert>
<L-tube feeding>
<thoracentesis>
<paracentesis>
<spinal tapping>
< chest tube insert>
<thoracic suction 연결>
<Miller -Abbot tube>
< Gomco suction >
<Foley irrigation>
<oral suction시 oralpharyngeal airway 삽입>
< nasopharyngeal suction>
<L-tube insert>
<L-tube feeding>
<thoracentesis>
<paracentesis>
<spinal tapping>
< chest tube insert>
<thoracic suction 연결>
<Miller -Abbot tube>
< Gomco suction >
본문내용
체액, 혈액 또는 공기 제거 : 늑막내압 유지
- 심장수술 후 심장 주위로부터 수액 또는 혈액 제거 : Mediastinal tube 삽입
- 흉막강의 폐쇄
- 폐의 완전한 팽창
- 악성 삼출물 제거후 항암치료제 주입
(2) 준비 물품
- suture set + betadine ball, Guaze 많이, 3zero blue silk나 black silk
chest tube (28, 32Fr), chest bottle , chest bottle걸이,
Lido cath : 16,18G , PVC line
(3) 관리 방법
-삽관 위치
1) 공기 배출 위한 경우 : mid-clavicular line의 제2-3 늑간강(Inter costal space)
2) 삼출액 배출을 위한 경우 : mid-axillary line의 제 5-6 늑간강
- chest bottle 연결
1) chest bottle을 열어 water seal에 멸균증류수를 표시된 부분까지 깔대기를 이용하 여 붓는다.
2) collection bottle의 고무관을 waterseal chamber에 연결한다.
3) 환자쪽의 튜브 끝을 collection bottle에 연결한다.(반대쪽은 자연배액의 경우 멸균 거즈로 막음)
4) chest bottle을 배액병걸이에 꽂아 놓는다.
- 배액병은 항상 환자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고, 관이 꼬이거나 꺽이지 않도록 주 의하고 이를 위한 환자 체위를 교육한다.
환자 이동시에도 배액병은 항상 환자의 가슴아래에 두도록 한다.
- 정기적으로 관의 연결 부위가 꽉 맞고 관이 개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하루에 몇 번씩 환부 쪽의 팔과 어깨의 관절부위 운동을 하도록 한다.
- 금기가 아닌 경우 배액병의 방향으로 자주 관을 짜준다(milk).
- 수술직후나 chest tube 삽입 직후에는 한시간마다 배액량을 체크하여, 시간당 100cc이 상의 배액이 있는 경우 의사에게 알린다.
- 병내의 배액량이 700cc 이상 되면 병을 비우고, 다시 water seal level을 만든다.
- chest bottle 연결
1) chest bottle을 열어 water seal에 멸균증류수를 표시된 부분까지 깔대기를 이용하 여 붓는다.
2) collection bottle의 고무관을 waterseal chamber에 연결한다.
3) 환자쪽의 튜브 끝을 collection bottle에 연결한다.(반대쪽은 자연배액의 경우 멸균 거즈로 막음)
4) chest bottle을 배액병걸이에 꽂아 놓는다.
5) 흡인조절병에 멸균증류수를 water level을 넘지 않도록 채운다. 보통 bubble이 올라 오는 높이로 맞춘다.. (order대로:보통 15~20cm)
6) chest bottle과 흡인기를 연결한다.
7) 흡인기를 작동시켜본다. 과도한 공기거품은 증류수를 일찍 증발시킨다.
< 주의사항 >
- 빠르고 얕은 호흡, 청색증, 흉부의압력, 피하기종 또는 출혈의 증상을 관찰
- 하루에 1000cc 이상 drain 하지 않는다
- 배액중간이 분리되었을 경우 : 환자의 가슴과 가장 가까운 부위의 튜브를 kelly로 잠근 후 V/S check하고 담당의에게 알린다.
- 배액튜브가 빠졌을 경우: 즉시 멸균거즈로 packing하고 sand bag으로 압력을 가한후 V/S check하고 담당의에게 알린다.
(1) 목적
- 장폐색시 장내용물 제거하고 수술 전후 장폐색 예방하기 위함
- 혈액 순환원활되도록 수술부위 긴장감 감소시켜 상처치유 촉진
(2) 준비물품 : MA-tube , 와이어
(3) 방법
① 목적과 방법 설명한다. (삽입시 구역질 날 수 있으며 삽입후 불편감 - 구갈, 연하곤란 점액성 분비물 증가, 덩어리 느낌 )
② 좌위 취한다.
③ 큰 수건으로 가슴 덮어주고 턱밑에 농반 댄다.
④ 장갑 낀 후 준비한 tube 삽입의 길이 표시 ( L-tube 삽입길이 + 15cm = 65 cm 표시 )
⑤ tube끝에서 15-20cm정도 수용성 윤활제 바른다.
⑥ 비강 통해 삽입시 막히는 느낌이면 다른쪽으로 넣음
⑦ 인후두 후하방으로 밀어넣을땐 심호흡하게 한다. - 인두이완
⑧ tube가 인두 도달시 꿀꺽 삼키게 하며 그때마다 tube밀어 넣는다.
⑨ 표시된 곳까지 삽입되면 잘 삽입되었는지 확인한 후 2-5ml의 수은을 넣는다.
⑩ 최소 2시간 동안 우측위로 눕게한다.
⑪ 위문 통과후 tube의 장의 연동운동에 의해 점점 더 들어가므로 코밖 tube 는 10cm정도 윤활제 더 발라주고 거즈접어 tube가 반접은 거즈 사이로 밀려들어가도록 느슨하게 이 마에 고정한다.
< Gomco suction >
(1) 원리 및 사용 목적
- 기계에 의한 음압이 압력밸브에 의해 조절되어 간헐적으로 전달되어 흡인
- 위의 팽만과 구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 위장관 폐쇄 환자의 위 내용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 위 수술 전 위 내의 청결을 준비하기 위함이다.
- 수술 후 혈액이나 분비물을 제거를 하기 위함이다.
(2) 준비물품 : Gomco suction, extension 콘센트, extension tube, 연결 카테터
(3) 사용방법
① 전원을 연결한다.
② 배액 튜브를 수집병의 튜브에 연결한다.
③ 수집병의 입구가 병마개로 꽉 조여 있는지 확인한다.
④ 기계 앞면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90mmHg(Low)와 120mmHg(High) 중 하나를 선택하 여 스 위치를 누른다.
⑤ ON 스위치를 누르면 light가 켜지면서 작동이 시작된다. 이 조작 후 4~5분 후에 공기 가 빠지게 되면서 배액이 시작된다. 작동하는 동안 light는 5초 동안 불이 들어오면서 흡인되고, 18초 동안 꺼져 있게 된다.
⑥ rounding시에 자주 disconnect시켜 감압시키고, 기능이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꺽 이지 않았는지, 뚜껑의 잠금장치 등)
⑦ 배액량 check시에는 off시킨다. 배액량 측정은 처방에 따라 tid 또는 daily로 측정하 여 배액량 측정 후 반드시 power를 on 시킨다.
- 심장수술 후 심장 주위로부터 수액 또는 혈액 제거 : Mediastinal tube 삽입
- 흉막강의 폐쇄
- 폐의 완전한 팽창
- 악성 삼출물 제거후 항암치료제 주입
(2) 준비 물품
- suture set + betadine ball, Guaze 많이, 3zero blue silk나 black silk
chest tube (28, 32Fr), chest bottle , chest bottle걸이,
Lido cath : 16,18G , PVC line
(3) 관리 방법
-삽관 위치
1) 공기 배출 위한 경우 : mid-clavicular line의 제2-3 늑간강(Inter costal space)
2) 삼출액 배출을 위한 경우 : mid-axillary line의 제 5-6 늑간강
- chest bottle 연결
1) chest bottle을 열어 water seal에 멸균증류수를 표시된 부분까지 깔대기를 이용하 여 붓는다.
2) collection bottle의 고무관을 waterseal chamber에 연결한다.
3) 환자쪽의 튜브 끝을 collection bottle에 연결한다.(반대쪽은 자연배액의 경우 멸균 거즈로 막음)
4) chest bottle을 배액병걸이에 꽂아 놓는다.
- 배액병은 항상 환자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고, 관이 꼬이거나 꺽이지 않도록 주 의하고 이를 위한 환자 체위를 교육한다.
환자 이동시에도 배액병은 항상 환자의 가슴아래에 두도록 한다.
- 정기적으로 관의 연결 부위가 꽉 맞고 관이 개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하루에 몇 번씩 환부 쪽의 팔과 어깨의 관절부위 운동을 하도록 한다.
- 금기가 아닌 경우 배액병의 방향으로 자주 관을 짜준다(milk).
- 수술직후나 chest tube 삽입 직후에는 한시간마다 배액량을 체크하여, 시간당 100cc이 상의 배액이 있는 경우 의사에게 알린다.
- 병내의 배액량이 700cc 이상 되면 병을 비우고, 다시 water seal level을 만든다.
- chest bottle 연결
1) chest bottle을 열어 water seal에 멸균증류수를 표시된 부분까지 깔대기를 이용하 여 붓는다.
2) collection bottle의 고무관을 waterseal chamber에 연결한다.
3) 환자쪽의 튜브 끝을 collection bottle에 연결한다.(반대쪽은 자연배액의 경우 멸균 거즈로 막음)
4) chest bottle을 배액병걸이에 꽂아 놓는다.
5) 흡인조절병에 멸균증류수를 water level을 넘지 않도록 채운다. 보통 bubble이 올라 오는 높이로 맞춘다.. (order대로:보통 15~20cm)
6) chest bottle과 흡인기를 연결한다.
7) 흡인기를 작동시켜본다. 과도한 공기거품은 증류수를 일찍 증발시킨다.
< 주의사항 >
- 빠르고 얕은 호흡, 청색증, 흉부의압력, 피하기종 또는 출혈의 증상을 관찰
- 하루에 1000cc 이상 drain 하지 않는다
- 배액중간이 분리되었을 경우 : 환자의 가슴과 가장 가까운 부위의 튜브를 kelly로 잠근 후 V/S check하고 담당의에게 알린다.
- 배액튜브가 빠졌을 경우: 즉시 멸균거즈로 packing하고 sand bag으로 압력을 가한후 V/S check하고 담당의에게 알린다.
(1) 목적
- 장폐색시 장내용물 제거하고 수술 전후 장폐색 예방하기 위함
- 혈액 순환원활되도록 수술부위 긴장감 감소시켜 상처치유 촉진
(2) 준비물품 : MA-tube , 와이어
(3) 방법
① 목적과 방법 설명한다. (삽입시 구역질 날 수 있으며 삽입후 불편감 - 구갈, 연하곤란 점액성 분비물 증가, 덩어리 느낌 )
② 좌위 취한다.
③ 큰 수건으로 가슴 덮어주고 턱밑에 농반 댄다.
④ 장갑 낀 후 준비한 tube 삽입의 길이 표시 ( L-tube 삽입길이 + 15cm = 65 cm 표시 )
⑤ tube끝에서 15-20cm정도 수용성 윤활제 바른다.
⑥ 비강 통해 삽입시 막히는 느낌이면 다른쪽으로 넣음
⑦ 인후두 후하방으로 밀어넣을땐 심호흡하게 한다. - 인두이완
⑧ tube가 인두 도달시 꿀꺽 삼키게 하며 그때마다 tube밀어 넣는다.
⑨ 표시된 곳까지 삽입되면 잘 삽입되었는지 확인한 후 2-5ml의 수은을 넣는다.
⑩ 최소 2시간 동안 우측위로 눕게한다.
⑪ 위문 통과후 tube의 장의 연동운동에 의해 점점 더 들어가므로 코밖 tube 는 10cm정도 윤활제 더 발라주고 거즈접어 tube가 반접은 거즈 사이로 밀려들어가도록 느슨하게 이 마에 고정한다.
< Gomco suction >
(1) 원리 및 사용 목적
- 기계에 의한 음압이 압력밸브에 의해 조절되어 간헐적으로 전달되어 흡인
- 위의 팽만과 구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 위장관 폐쇄 환자의 위 내용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 위 수술 전 위 내의 청결을 준비하기 위함이다.
- 수술 후 혈액이나 분비물을 제거를 하기 위함이다.
(2) 준비물품 : Gomco suction, extension 콘센트, extension tube, 연결 카테터
(3) 사용방법
① 전원을 연결한다.
② 배액 튜브를 수집병의 튜브에 연결한다.
③ 수집병의 입구가 병마개로 꽉 조여 있는지 확인한다.
④ 기계 앞면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90mmHg(Low)와 120mmHg(High) 중 하나를 선택하 여 스 위치를 누른다.
⑤ ON 스위치를 누르면 light가 켜지면서 작동이 시작된다. 이 조작 후 4~5분 후에 공기 가 빠지게 되면서 배액이 시작된다. 작동하는 동안 light는 5초 동안 불이 들어오면서 흡인되고, 18초 동안 꺼져 있게 된다.
⑥ rounding시에 자주 disconnect시켜 감압시키고, 기능이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꺽 이지 않았는지, 뚜껑의 잠금장치 등)
⑦ 배액량 check시에는 off시킨다. 배액량 측정은 처방에 따라 tid 또는 daily로 측정하 여 배액량 측정 후 반드시 power를 on 시킨다.
소개글